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해외

중국인 선호 샴푸 성분, ‘무실리콘’

코트라 중국 칭다오 무역관 리포트

 

중국 샴푸시장은 지난 2015년 기준 전첵 규모 331억 위안(약 5천 6억원)을 넘어서며 5%대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샴푸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로 트리트먼트 시장 역시 둔화를 나타내고 있어 새로운 성장 자극 요소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코트라 중국 칭다오 무역관 은 현재 중국인들의 각광을 받고 있는 ‘무실리콘’ 샴푸가 그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했다.

 

해외브랜드, 아직은 압도적

 

현 중국 샴푸시장은 해외 브랜드가 압도적인 우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0년 이후 P&G가 중국 샴푸시장을 장악해 시장점유율 50%를 넘어섰고 그 뒤를 이어 유니레버, 바이어스도로프, 헨켈, 로레알 등이 진출한 상황이다.

 

중국 로컬 샴푸 기업으로는 환아그룹·라팡쟈화·명신건강·바왕그룹이 대표적으로, 환아그룹이 2014년 3월 출시한 무실리콘 샴푸 브랜드인 ‘쯔위안(Seeyoung)’은 2년 내에 10억 위안(약 1천678억원)의 판매규모를 달성하며 중국 샴푸시장 4.6%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했다.

 

쯔위안의 성공은 샴푸시장 성장의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했으며 더 많은 소비자들을 신개념 무실리콘 샴푸 소비로 인도했다고 무역관은 전했다.

 

라팡쟈화의 2012년부터 3년간 영업이익은 영업이익은 각각 9천만 위안(약 151억원), 1억1천400만 위안(약 191억원), 1억4천800만 위안(약 248억원)을 달성해 매년 상승하는 추세이다.

 

A해외 제품, 독점적 지위 흔들

 

샴푸시장의 경쟁은 ‘제품, 유통, 가격, 판촉’ 4가지 중요한 요소로 해외 브랜드의 경우 기술, 규모, 브랜드 이미지에 있어서 장점이 있고, 이는 중국 로컬 브랜드의 성장을 막는 주요 원인이 됐다.

 

최근 중국인들의 구매력 향상과 소비 업그레이드 현상으로 소비자들은 가격에 대한 민감도가 하락하고 있으며 품질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해외 브랜드가 원가우위로 쌓은 탑이 무너지고 있어 본래 외국브랜드의 ‘유통, 제품, 판촉’ 등 강점이 약화되고 중국 로컬 브랜드의 고급화 전략으로 역전할 기회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에 글로벌 브랜드의 복잡한 신제품 개발 과정은 중국 브랜드에 발전 기회를 제공해 지난해부터 무실리콘 샴푸가 유행하면서 중국의 샴푸 공장들은 무려 3개월이란 짧은 시간 내에 무실리콘 샴푸 제품을 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B고급 브랜드, 온라인 시장서 분명한 우위

 

현재 고급 샴푸 브랜드는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중국의 1, 2선 도시에만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동시에 전자상거래와 온라인 유통을 통해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면서 더 많은 2선 도시 이하 소비자들이 고급 샴푸를 접촉할 수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티몰의 온라인 구매 데이터를 보면 로레알 산하 모발용품 고급 브랜드인 케라시타즈가 티몰에 입점 후, 오프라인에서 해당 제품을 구매할 수 없었던 3·4선 도시 소비자들에게 유통경로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중국 대부분 샴푸 브랜드는 슈퍼마켓을 통해 유통되고 있고 중국 유명 브랜드인 쯔위안의 경우 지난 2014년 6월부터 대대적으로 슈퍼마켓을 통한 유통경로를 확보했다.

 

현재 월마트, 까르푸, 따룬파, 세기마트, 화룬완쟈, 용호이 등을 포함한 각종 대형마트와 왓슨스, 샤샤 등에도 입고 돼있다.

 

C무실리콘 샴푸 인기

 

중국의 무실리콘 샴푸는 3분기 온라인 판매액 2억6천만 위안(약 436억원)으로 시장점유율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다.

 

무실리콘 샴푸는 고급 샴푸시장과 함께 부상 중으로 무실리콘 샴푸는 출시 초기부터 ‘첨단기술’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고가 샴푸시장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3분기 샴푸 제품 가격대별 판매 비중을 보면 무실리콘 샴푸를 포함한 모든 샴푸는 30~100위안 제품 판매량이 가장 높았으며 약 62%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무실리콘 샴푸의 고급 샴푸시장에서의 판매비중은 시장 전체에서의 비중보다 높으며 고급시장의 약 72%에 달하고 있다.

 

D‘온라인 판매’ 브랜드 집중도 높아

 

쯔위안은 무실리콘 샴푸 온라인 시장 선두기업으로 42%의 점유율 기록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중국 로컬 브랜드들이 무실리콘 샴푸 TOP10 브랜드 중 총 5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로레알, P&G는 모두 무실리콘 샴푸 TOP10 브랜드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으며 헨켈 산하 브랜드인 슈바츠코프, 사이오스는 2개 자리를 기록했다. 한국 브랜드로는 LG생활건강의 리엔이 무실리콘 샴푸 TOP10 브랜드에 진입해 있다.

 

모발 복구 기능이 가장 중요

 

무실리콘 샴푸는 ‘친환경’, ‘건강’ 등 특성과 연결돼 각 브랜드는 모발 복구 클리닉 기능을 더한 제품을 출시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들의 구매력 향상과 소비 업그레이드 현상으로 인해 샴푸시장은 ‘무첨가’, ‘건강’ 등 키워드를 내세워 마케팅하는 브랜드가 많아지고 있다.

 

무실리콘, 무황산염, 무방부제 제품은 향후 고급 샴푸시장의 주요 트렌드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가격보다 브랜드 이미지 확립에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무역관은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