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15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법·제도·정책

화장품생산 13조 돌파·수출 5조 육박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생산-22% 성장·수출-62% 증가…악재 뚫고 고공행진

 

지난 3분기 주요 화장품 기업들은 시장 외적인 불안요소에도 불구하고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을 중심으로 비교적 순조로운 경영실적을 보였던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이 13조원을 돌파했다. 무역수지는 전년보다 무려 112% 급증한 3조5천955억 원에 달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http://www.mfds.go.kr)는 오늘(27일)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생산실적이 전년보다 21.6% 증가한 13조514억 원을 기록했고 수출은 41억7천842만 달러(한화 4조8천491억 원)로 전년대비 61.5%의 증가율을 보이며 이에 따른 무역수지 흑자가 3조5천955억 원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

 

식약처는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이 같은 성장은 국내 화장품이 가격대비 우수한 품질로 높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동시에 화장품 원료에 대해 ‘네거티브리스트 제도’(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를 고시하고 그 밖의 원료는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를 도입하는 등 꾸준히 제도를 정비한 것이 결실을 맺은 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하고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의 주요 특징은 △ 생산실적 고속 성장세 유지 △ 무역 흑자 3조 돌파 △ 화장품 수출지역 다변화 △ 기능성 화장품의 꾸준한 성장세 등을 꼽을 수 있다”고 밝혔다.

 

생산실적 13조 넘어서…21.6% 증가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은 13조514억 원으로 최종 집계됐다. 이는 2015년 생산실적 10조7천328억 원보다 21.6% 증가한 수치다.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지난 2015년 사상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선데 이어 지난해 불거졌던 ‘차이나 리스크’에도 불구, 21.6%의 증가율을 보이는 등 꺾이지 않는 성장세를 유지했다. 특히 20%가 넘는 성장률은 지난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이 전체의 58.1%를 차지한 7조5천858억 원으로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으며 △ 색조 화장용(2조2천919억 원·점유율 17.6%) △ 두발용(1조4천98억 원·점유율 10.8%) △ 인체 세정용(1조1천637억 원· 점유율 8.9%) 등의 순이었다. 최근 4년간 유형별 생산실적 점유율 순위는 변동없었다.

 

업체별로는 (주)아모레퍼시픽이 4조3천899억 원(점유율 33.6%)의 생산실적을 기록하며 변함없이 1위를 차지했고 △ (주)엘지생활건강 3조5천825억 원(점유율 27.5%) △ 애경산업(주) 2천528억 원(점유율 1.9%) △ (주)이니스프리 1천961억원(점유율 1.50%) △ (주)더페이스샵이 1천692억 원(점유율 1.30%) 등의 순으로 상위권에 랭크됐다.

 

특히 우수한 품질로 무장한 마스크 팩, 쿠션 등의 수출호조에 힘입어 △ 코스토리(증가율 4,456%) △ 카버코리아(증가율 201%) △ 더샘인터내셔널(증가율 130%) △ 클리오(증가율 77%) 등이 경이적인 성장률을 기록하며 생산실적 상위 20위 기업으로 새로 진입했다.

 

거듭된 악재 불구, 꺾이지 않은 수출호조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총 41억7천842만 달러(한화 4조8천491억 원)를 기록, 전년도의 25억8천780만 달러(한화 2조9천281억 원)보다 무려 61.5%의 성장률을 보이는 기염을 토했다.

 

특히 최근 5년간 평균 수출 성장률도 39.8%에 달해 그 어느 다른 산업과 비교불가한 호조를 보였다. 지난해의 경우 하반기부터 냉각된 한·중 관계로 인해 수출에 대한 우려가 심각하게 제기됐음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성장률과 무역흑자를 나타냄으로써 그 동안 다져온 수출전선이 의외로 탄탄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 같은 수출호조에 힘입어 화장품 무역수지 역시 괄목할 만한 실적을 나타냈다. 지난 2012년 처음 흑자기조로 돌아선 후 △ 2014년 7억5천250만 달러(8천514억 원) △ 2015년 15억10만 달러(1조6천973억 원) △ 2016년 30억9천822만 달러(3조5천955억원)에 이르기까지 꺾일 줄 모르는 고속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결실 맺기 시작한 수출 다변화 노력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을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는 역시 중국. 15억6천971만 달러(한화 1조 8천216억 원)였으며 뒤를 이어 △ 홍콩(12억4천409만 달러·한화 1조4천438억 원) △ 미국(3억4천697만 달러·한화 4천27억 원) △ 일본(1억8천267만 달러·한화 2천120억 원) 등이 주요 수출 대상국이었다.

 

중국을 위시해 홍콩, 대만 등 중화권 국가의 비중이 여전히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으나 △ 프랑스(138.4%) △ 이탈리아(246.6%) △ 스페인(276%) 등으로 수출지역이 다양화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페인과 이탈리아는 수출 상위 20위 국가에 새로 진입했다.

 

특히 프랑스·이탈리아·미국 등 소위 화장품 선진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 실적은 6억4천696만 달러로 전년도의 3억6천578만 달러보다 76.9% 늘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기능성화장품 성장세, 5년 평균 20%대 유지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 실적은 4조4천439억 원. 전년도 실적 3조8천559억 원보다 15.3%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성장률도 20.1%를 기록,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미백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5천796억 원으로 전년도의 3천558억 원보다 62.9% 증가했다.

 

지난 5월부터 기능성 화장품 범위가 3종에서 10종으로 확대됨에 따라 기능성화장품 시장의 성장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연도별 화장품 생산실적

구 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
업체수(개)* 640 1,810 1,895 2,735 3,840 4,961
생산품목(개) 93,682 101,296 88,806 101,362 105,318 119,051
생산금액

 

(억원)

 

(성장률%)

63,856

 

(6.17%)

71,227

 

(11.54%)

79,720

 

(11.92%)

89,704

 

(12.52%)

107,328

 

(19.65%)

130,514

 

(21.60%)

* : 생산실적을 보고한 제조판매업체 수

 

 

♠ 유형별 화장품 생산실적 <단위: 억원>

구 분 유형 2015년 2016년
생산금액 점유율 생산금액 점유율
 총 계 107,328 100% 130,512 100%
1 기초화장용 제품류 62,016 57.78% 75,858 58.12%
2 색조화장용 제품류 17,225 16.05% 22,919 17.56%
3 두발용 제품류 13,942 12.99% 14,098 10.80%
4 인체세정용 제품류 8,247 7.68% 11,637 8.92%
5 눈화장용 제품류 2,573 2.40% 2,952 2.26%
6 면도용 제품류 1,478 1.38% 1,209 0.93%
9 손발톱용 제품류 739 0.69% 561 0.43%
7 영.유아용 제품류 574 0.53% 652 0.50%
8 방향용 제품류 286 0.27% 382 0.29%
10 두발염색용 제품류 165 0.15% 164 0.13%
11 목욕용 제품류 48 0.04% 52 0.04%
12 체취방지용 제품류 35 0.03% 29 0.02%

 

 

♠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단위: 억원>

구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 2016

 

점유율<%>

총 계 16,418 21,483 25,638 29,744 38,559 44,439 34.04
복합기능성 5,935 7,804 12,259 16,438 20,980 22,326 17.1
주름개선 3,231 6,665 6,903 7,518 10,087 11.462 8.78
자외선차단 4,138 4,027 3,809 3,408 3,934 4,855 3.72
미백 3,113 2,987 2,667 2,379 3,558 5,796 4.44

 

 

♠ 상위 20개 제조판매업체 생산실적<단위: 억원> 

순위 제조판매업자 ‘15년 ‘16년
생산금액 점유율 생산금액 점유율
총 계 107,328 100% 130,512 100%
소계(상위 20위) 84,708 78.94% 101,661 77.91%
1 (주)아모레퍼시픽 37,485 34.93% 43,899 33.64%
2 (주)엘지생활건강 28,866 26.90% 35,825 27.45%
3 애경산업(주) 1,978 1.84% 2,528 1.94%
4 이니스프리 1,578 1.47% 1,961 1.50%
5 ㈜더페이스샵 1,757 1.64% 1,692 1.30%
6 엘앤피코스메틱(주) 1,252 1.17% 1,549 1.19%
7 ㈜코리아나화장품 1,432 1.33% 1,450 1.11%
8 ㈜카버코리아 477 0.44% 1,436 1.10%
9 애터미(주) 1,213 1.13% 1,169 0.90%
10 ㈜리더스코스메틱 986 0.92% 1,168 0.90%
11 ㈜토니모리 1,029 0.96% 1,160 0.89%
12 ㈜에뛰드 1,045 0.97% 1,120 0.86%
13 ㈜에이블씨앤씨 1,369 1.28% 1,084 0.83%
14 ㈜잇츠스킨 1,278 1.19% 1,008 0.77%
15 ㈜클리오 469 0.44% 834 0.64%
16 ㈜코스모코스 660 0.61% 827 0.63%
17 ㈜코스토리 18 0.02% 820 0.63%
18 ㈜네이처리퍼블릭 763 0.71% 810 0.62%
19 ㈜더샘인터내셔날 302 0.29% 696 0.53%
20 ㈜마임 751 0.70% 625 0.48%

 

 

♠ 생산실적 상위 20 품목

연번 제조판매업자 제품명 생산금액(천원)
1 아모레퍼시픽 라네즈 타임프리즈 에센스 172,080,311
2 아모레퍼시픽 라네즈 트러블 릴리프 토너 165,154,859
3 아모레퍼시픽 헤라 센슈얼 루즈5 135,804,315
4 (주)엘지생활건강 보닌 마제스타 프로텍티브 크림 107,795,714
5 (주)엘지생활건강 보닌 모노다임 밸런싱 토너 98,014,686
6 아모레퍼시픽 (중국)설화수 동백윤모 오일 67,738,841
7 (주)엘지생활건강 라끄베르리:블라섬크림 66,957,383
8 아모레퍼시픽 라네즈워터슬리핑마스크 65,251,333
9 (주)엘지생활건강 보닌 더스타일 블루파워 모이스처 스킨 59,450,361
10 (주)엘지생활건강 라끄베르 리얼모이스트모이스쳐 락인에멀전 58,590,105
11 아모레퍼시픽 헤라 센슈얼 루즈4 55,598,039
12 (주)엘지생활건강 이자녹스 녹스랩 바이오리치 크림 55,575,932
13 (주)엘지생활건강 보닌 더캐릭터골드 프로텍션 스킨 52,647,177
14 (주)엘지생활건강 라끄베르 트루 클렌징 크림 51,660,808
15 아모레퍼시픽 리리코스 마린 하이드로 앰플 이엑스 48,490,413
16 (주)엘지생활건강 오휘 리얼 컬러블러셔 2호 48,268,567
17 (주)엘지생활건강 보닌 더캐릭터 뉴트리션 서플라이 에멀전 47,945,476
18 (주)엘지생활건강 더 사가 오브 수 효혜윤 가윤유액 47,838,529
19 아모레퍼시픽 오딧세이 블루에너지 리차징 에멀전 47,822,334
20 (주)엘지생활건강 보닌 더스타일 블루파워 모이스처 스킨 46,982,179

 

 

♠ 주요 국가별 수출실적<단위: 천달러·%>

순위 2015 2016
국가명 금액 점유율 국가명 금액 점유율 전년대비

 

증감률(%)

1 중국 1,062,370 41.05 중국 1,569,712 37.6 47.8
2 홍콩 641,816 24.80 홍콩 1,244,089 29.8 93.8
3 미국 188,519 7.28 미국 346,972 8.3 84.1
4 일본 122,377 4.73 일본 182,674 4.4 49.3
5 대만 119,033 4.60 대만 135,952 3.3 14.2
6 태국 83,408 3.22 태국 118,331 2.8 41.9
7 싱가포르 58,094 2.24 싱가포르 93,869 2.2 61.6
8 베트남 47,037 1.82 베트남 71,399 1.7 51.8
9 말레이지아 41,466 1.60 말레이지아 60,938 1.5 47.0
10 러시아 연방 32,502 1.26 러시아 연방 47,817 1.1 47.1
11 호주 15,492 0.60 프랑스 33,004 0.8 138.4
12 프랑스 13,845 0.54 호주 24,859 0.6 60.5
13 미얀마 11,981 0.46 필리핀 22,576 0.5 117.2
14 인도네시아 11,447 0.44 캐나다 16,199 0.4 85.3
15 필리핀 10,394 0.40 스페인 15,654 0.4 276.0
16 몽골 9,851 0.38 이탈리아 15,125 0.4 246.6
17 카자흐 9,711 0.38 인도네시아 15,007 0.4 31.1
18 캐나다 8,741 0.34 미얀마 12,826 0.3 7.1
19 마카오 8,595 0.33 영국 12,473 0.3 50.7
20 영국 8,275 0.32 몽골 9,916 0.2 0.7
기타(110개국) 82,850 3.20 기타(108개국) 129,029 3.1 55.7
총계(130개국) 2,587,803 100.0 총계(128개국) 4,178,421 100.0 61.5

 

 

♠ 주요 국가별 수입실적 <단위: 천달러·%>

순위 국 가 ‘16 ‘15
수입금액 점유율 수입금액 점유율
총 계 1,080,200 100% 1,087,698 100%
소 계(상위 20위) 1,064,287 98.53% 1,076,037 98.92%
1 프랑스 293,805 27.20 307,346 28.26
2 미국 293,456 27.17 316,409 29.09
3 일본 170,563 15.79 128,030 11.77
4 이탈리아 47,514 4.40 50,469 4.64
5 영국 46,176 4.27 44,742 4.11
6 독일 39,017 3.61 35,960 3.31
7 캐나다 24,615 2.28 27,320 2.51
8 태국 22,749 2.11 35,630 3.28
9 중국 20,332 1.88 20,267 1.86
10 아일랜드 20,047 1.86 27,359 2.52
11 스위스 18,883 1.75 19,672 1.81
12 이스라엘 17,689 1.64 16,191 1.49
13 스페인 10,276 0.95 11,920 1.10
14 호주 8,685 0.80 7,563 0.70
15 인도 8,257 0.76 5,031 0.46
16 벨기에 5,525 0.51 6,778 0.62
17 스웨덴 5,470 0.51 5,228 0.48
18 말레이시아 4,927 0.46 4,871 0.45
19 타이완 3,241 0.30 3,471 0.32
20 폴란드 3,060 0.28 1,538 0.14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