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마케팅

‘사드 이슈’에 직격탄 맞은 투 톱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아모레, 매출·이익 역신장…LG, 매출 2%·이익 9% 성장 그쳐

 

 

아모레퍼시픽그룹(회장 서경배)과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 국내 화장품 업계의 투톱도 ‘사드 이슈’로 야기되고 장기화된 차이나리스크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했다.

 

양 사가 최근 발표한 올 상반기 실적은 최근 들어 가장 저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의 상반기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1% 감소한 3조2천683억 원, 영업이익은 30.2% 감소한 5천89억 원, 그리고 당기순이익은 36.0%가 줄어든 3천662억 원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아모레퍼시픽그룹 측은 “장기화되고 있는 국내 내수 경기 침체와 외국인 관광객, 특히 중국인 관광객의 유입 감소로 인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역신장했다”고 밝히고 “국내 내수 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브랜드와 채널 정비, 글로벌 시장 다각화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LG생활건강의 경우 아모레퍼시피그룹 실적보다는 나았으나 증가세는 현저하게 떨어졌고 화장품 부문의 경우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한 결과를 보였다.

 

매출 3조1천308억 원에 영업이익 4천924억 원, 당기순이익 3천489억 원을 나타내며 전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 1.9%·영업이익 7.3%·당기순이익 9.0%의 성장을 시현했으나 속을 들여다보면 아모레퍼시픽과 별반 차이없는 성적표를 받아든 것으로 분석된다.

 

화장품 부문의 경우 상반기 전체로는 매출 1조6천354억 원, 영업이익 3천254억 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각각 1.2%와 5.0%의 성장세를 나타냈다. 그렇지만 사드이슈가 본격화된 2분기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7% 줄어든 7천812억 원, 영업이익 역시 2.7% 감소한 1천487억 원에 그쳤다.

 

특히 중국 관광객 수 급감이라는 악재로 인해 면세점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26% 감소하는 등 차이나리스크의 직접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LG생활건강 측은 “면세점 채널의 매출이 줄어들긴 했지만 중국 내 럭셔리 화장품 매출 상승을 통해 면세점 매출 감소를 상당 부분 상쇄했고 국내 백화점과 방문판매 채널의 매출은 지속적으로 성장했기 때문”이라고 전체적인 실적에 대해 설명을 덧붙였다.

  • 아모레퍼시픽 : 매출 2조 7,740억·영업이익 4,184억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은 면세 채널과 관광 상권 매장 위축으로 매출과 영업이익 성장률이 감소했다. 국내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1% 감소한 1조9천100억 원, 글로벌 사업은 사드 이슈에 따른 불확실성에 의해 성장세가 둔화됐음에도 7.3% 성장한 8천85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 국내 사업 : 매출 1조9,100억·영업이익 3,166억  국내 사업은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인한 면세 채널 부진(-14.7%)과 함께 그 외 전 경로 관광 상권의 매출 급감으로 매출이 줄었다. 매출 하락으로 인한 고정비 부담 증가와 중장기 성장을 위한 인력·브랜드·고객 경험에 대한 투자 지속으로 영업이익 또한 감소했다. 아모레퍼시픽은 내수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2분기 동안 설화수 윤조마스크를 위시해 헤라 블랙쿠션 등 다양한 혁신 신제품을 출시, 브랜드 매력도를 강화하고 경쟁력 제고에 힘썼다.

 

▲ 해외 사업 : 매출 8,855억·영업이익 1,079억  해외 사업은 지정학적 불확실성으로 매출 성장세가 둔화됐다. 아시아 지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7% 성장한 8천407억 원. 중국과 홍콩 등 중화권 지역의 성장세가 둔화되며 수익성이 하락했다. 아세안은 성장 시장인 태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 등에서 고성장세를 유지했다.

 

북미 지역은 브랜드 투자 확대와 유통 포트폴리오 재정비로 매출(-13.8%)과 이익 모두 감소했다. 설화수와 아모레퍼시픽 브랜드는 온-오프라인 연계 고객 커뮤니케이션을 강화, e-커머스 매출이 확대됐고 라네즈는 세포라닷컴, 직영몰 론칭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확장했다. 유럽 역시 롤리타 렘피카 브랜드 라이센스 종료에 따라 매출(-31.8%)과 이익이 감소했다.

 

▲ 이니스프리 : 매출 3,518억·영업이익 685억   이니스프리는 외국인 관광객 유입 감소로 면세 채널과 관광 상권 매장의 매출이 부진했다. 그린 라운지 확장, 온라인 전용 제품군 강화 등 온-오프 고객 경험 제고를 위한 투자 확대로 영업이익 역시 감소했다.

 

그러나 이 같은 영업환경에서도 제주 이니스프리 숲 ‘마이 시크릿 포레스트’ 개장,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서울 ‘공병 공간’ 오픈 등을 통해 브랜드 가치 전파에도 집중, 미래 발전을 위한 다양한 움직임을 전개한 것으로 평가됐다.

 

▲ 에뛰드 : 매출 1,399억·영업이익 83억    에뛰드는 플래그십 스토어 오픈을 통해 고객 체험형 매장을 구축하고 ‘스윗 드림’ 브랜드 스토리를 구현했다. 다양하고도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와 메이크업 런웨이 쇼 ‘핑크 플레이 콘서트’ 등을 통해 브랜드 매력도 강화에 힘썼다. 면세 채널과 관광 상권 브랜드 숍 매출이 부진을 면치못하며 매출,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세를 피하지 못했다.

 

▲ 에스쁘아 : 매출 223억 원…영업적자 확대   에스쁘아는 온라인 채널 판매 확대로 매출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적자를 면치못하고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브랜드 캠페인과 마케팅 부문의 투자는 지속적으로 확대함으로써 프로페셔널 메이크업 전문 브랜드로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 에스트라 : 매출 9%·영업이익 16% 성장    에스트라는 이너뷰티 제품과 메디컬 뷰티 브랜드(리제덤 RX·아토베리어 등)의 판매 확대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했다. 피부 자극을 줄인 신제품(아토베리어 더마온 선크림·리제덤 RX 듀얼 선크림 등)을 출시해 메디컬 뷰티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데 역점을 뒀다.

 

▲ 아모스프로페셔널 : 매출 465억·영업이익 116억         아모스프로페셔널은 대표 상품(트루 싱크 염모제·녹차실감·컬링 에센스 등)의 판매 확대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성장세를 시현했다. 다양한 헤어 스타일링과 컬러(스프링 히피 룩·페스티벌 히피 룩·2017 선-키스 룩) 제안, 마케팅 활동(살롱 인스피레이션 세미나)을 선보이며 프로페셔널 헤어 케어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데 주력했다.

  • LG생활건강: 매출 3조1,308억·영업이익 4,924억

(주)LG생활건강 지난 상반기 동안 △ 매출 3조1천308억 원(1.9%) △ 영업이익 4천924억 원(7.3%) △ 당기순이익 3천489억 원(9.0%)을 달성했다.

 

일단 외형적으로는 지속되는 내수침체와 중국 관광객 수의 급격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생활용품·음료로 구성한 안정적인 사업 포트폴리오와 럭셔리 중심의 화장품 사업 운영으로 매출과 이익 성장을 이어가며 사상 최대의 반기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안정적인 사업구조와 재무 건전성을 바탕으로 부채비율이 전년 6월말 대비 21.3%p 개선된 59.5%로 낮아졌다. 지난해 12월 한국신용평가에 이어 지난 6월 NICE신용평가와 한국기업평가의 신용등급 또한 ‘AA’에서 ‘AA+’로 상향 조정됐다.

 

그러나 2분기 매출은 1조5천30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줄었다. 다만 영업이익 2천325억 원(3.1%)·당기순이익 1천683억 원(5.6%)을 달성해 위안으로 삼을 정도였다.

 

▲ 화장품사업: 매출 1조6,354억·영업이익 3,254억    상반기 매출 1조6천354억 원, 영업이익 3천2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 5.0% 증가했다. 그렇지만 2분기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 보다 4.7% 감소한 7천812억 원, 영업이익 역시 2.7% 줄어든 1천487억 원에 그쳤다.

 

LG생활건강 측은 “중국 관광객 수 급감의 영향을 받은 면세점 채널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6%나 감소했지만 중국 내 럭셔리 화장품 매출 상승을 통해 상당 부분 상쇄했고 국내 백화점과 방문판매 채널의 매출이 지속 성장함으로써 이 같은 실적을 보일 수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 생활용품사업: 매출 8,036억·영업이익 936억          상반기 매출 8천36억 원과 영업이익 936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4%, 2.1% 성장했다.

 

2분기 매출은 3천732억 원으로 중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윤고’가 중국관광객이 감소하며 매출이 축소된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387억 원으로 3.5% 증가했다. 차별화된 제품 출시와 프리미엄화를 통한 브랜드력 강화로 상반기 시장점유율은 1.2% 포인트 증가한 37.1%를 달성했다.

 

▲ 음료사업: 매출 6,918억·영업이익 735억        음료사업의 경우 상반기 동안 매출 6천918억 원, 영업이익 73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2%, 28.2%의 성장을 시현했다.

 

2분기 매출은 3천757억 원, 영업이익 451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4.3%, 28.1% 증가했다. 주요 탄산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성장한 가운데 씨그램, 토레타, 갈아만든 배 등 비탄산 매출이 고성장을 실현했다. 상반기 시장점유율은 전년 대비 0.9%포인트 증가한 30.9%를 기록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