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특집

코스모닝 창간기념 설문조사 분석-2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 설문5. 귀하는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저해(또는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이라고 판단하십니까?


중국시장 편중 수출·중국기업 추격이 위협 요인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저해하거나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응답자의 29.1%에 이르는 124명이 중국시장에 편중돼 있는 수출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는 저해요소가 아니라 위협요소라고 분석할 수 있는데, 즉 현재 우리나라 화장품산업의 성장 배경에는 ‘중국시장’이라는 거대하고도 분명한 영역을 인정함과 동시에 이 현실 자체가 위협이 될 것이라는 ‘양날의 검’으로도 인식한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 질문에 세 번째로 높은 응답률(84명·19.7%)을 기록한 ‘중국 화장품산업의 성장세와 이에 따른 추격’이라는 응답을 더 하면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48.8%) 응답자들이 중국시장을 우리나라 화장품산업 국제경쟁력과 연관지어 생각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매출 1천억 원 대 이상을 기록한 기업이 12개사에 이르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이라는 양대산맥에 근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실제로는 0%’에 가깝다는 현실을 반영하듯 대기업 중심의 산업 편중현상 지속(112명·26.3%)이 국제경쟁력 저해의 한 요인으로 파악하고 있었다.


이밖에는 ▲ 법규·행정적인 규제(56명·13.1%) ▲ 브랜드 관리의 부재(50명·11.7%)를 들었다. 특히 브랜드 관리의 부재는 4번 문항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해 역점을 둬야 할 부분으로 지적된 ‘브랜드 파워 제고’라는 응답과 맞물려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설문 6. 귀하는 화장품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어떠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책적 지원 보통 이하정부 vs 업계 견해 차이 뚜렷


지난 2000년 7월 1일부터 시행돼 올해로 16년을 넘긴 화장품법은 제정 당시부터 ‘산업 발전과 위상 제고를 위한 필연적 장치 VS 법 자체가 규제를 수반하는 것’이라는 찬반양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시행 16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K-코스메틱’ ‘K-뷰티’로 그 상징성과 존재감이 부각되면서 중앙 정부 또는 지방자치제 차원의 다양한 지원책들이 발표되고 진행 중에 있지만 이에 대해 산업 종사자들은 정작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을까?


결론은 부족(160명·37.6%)하거나 매우 부족(46명·10.8%)하다는 인식을 보였다. 여기에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보통(184명·43.2%)이라는 응답까지 더하면 실질적으로 정부 지원에 대한 목마름은 절대적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응답자(36명)만이 충분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 설문7. 귀하는 화장품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면 어느 분야에 중점적으로 지원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중소·중견 기업에 중점 지원 이뤄져야 발전 기대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대한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기는 하지만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가장 우선적으로 진행돼야 할 분야는 중소기업(224명·52.6%)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화장품산업 구조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수치라고 할 수 있다.


그 뒤를 이어 ▲ 중견기업(66명·15.5%) ▲ 원료기업(50명·11.7%) ▲ OEM·ODM 기업(44명·10.3%) ▲ 브랜드 기업(28명·6.6%) 등의 순으로 꼽았다. 화장품산업 성장 발전의 중심에서 튼실한 허리 역할을 해 줄 중견·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소위 ‘강소기업’으로서의 면모를 갖춰나가야 할 지향점을 제시하고 있는 대목이라고 해석된다.


♠설문8. 귀하는 화장품산업의 발전을 위해 정부가 해야 할 역할이나 지원이 필요하다면 무엇이 선행돼야 하는지 우선순위대로 세 가지만 순서대로 기입해 주세요.


정부 차원 규제 완화·R&D자금 지원 간절


화장품산업 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 또는 지원의 선행 과제는 최우선적으로 규제를 완화(116명·27.2%)하고 이어서 R&D 자금을 지원(108명·25.4%)해야 한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여기에 ▲ 관련 법률 개선(80명·18.8%) ▲ 행정절차 개선(74명·17.4%)을 든 점을 감안하면 화장품법을 위시해 관련 법률에 의한 업계의 부담은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2순위로는 ▲ 행정절차 개선(116명·27.2%) ▲ 규제 완화(100명·23.5%) ▲ R&D자금 지원(82명·19.2%) ▲ 시장정보 제공(70명·16.4%) ▲ 법률 개선(58명·13.6%)을 순서대로 꼽았다.


3순위로 선택한 선행 과제로는 ▲ 행정절차 개선(102명·23.9%) ▲ 규제 완화(90명21.1%) ▲R&D 자금 지원(84명·19.7%) ▲ 법률 개선(80명·18.8%) ▲ 시장정보 제공(70명·16.4%) 등의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화장품업계는 정부의 역할과 지원에 대해 현재보다 규제나 간섭의 범위와 강도는 줄여나가되 산업 발전을 위한 기본적인 토대를 다지기 위한 R&D 자금 지원을 늘려달라는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