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마케팅

2018년 1분기 화장품기업 62社 경영실적 분석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차이나리스크 완화됐어도 영향력 미미

 

매출 성장세 둔화·수익성 악화 현상 두드러져

 

 

차이나리스크가 완화에 따른 국내 화장품 산업의 경기회복 기대감은 단지 심리적인 측면에서만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을 뿐 기업들의 실질적인 경영실적에까지 반영되기에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5월 27일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을 통해 1분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유가증권·코스닥 상장기업과 기타 법인 등 화장품·뷰티 기업(관련 산업 포함) 62곳의 경영실적을 취합, 분석한 결과 지난 1분기 동안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성장을 이룬 곳은 모두 37곳이었으며 25곳은 역신장에 그쳤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성은 매출부문보다 더 좋지 않았다. 영업이익의 경우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성장세를 보인 곳은 27곳에 머물렀다. 적자로 전환한 기업이 6곳, 적자가 확대된 기업은 4곳, 적자폭이 줄어들기는 했으나 여전히 적자에 머문 곳도 5곳이었으며 단순히 영업이익 역신장을 기록한 곳은 20곳이었다.

 

1분기 동안의 순이익 지표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흑자전환에 성공한 7곳을 포함해 모두 29곳이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순이익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마이너스 성장을 보인 19곳을 비롯해 적자전환과 적자확대 기업이 각각 3곳이었고 순이익 적자가 지속된 곳도 8곳 등 33곳의 기업이 수익경영을 시현하지 못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매출액 1천억 이상 기업 10곳 이름 올려                                 아모레퍼시픽그룹과 LG생활건강, 그리고 (주)아모레퍼시픽이 박빙으로 1~3위의 위치를 지켰다. 다만 LG생활건강이 매출액·영업이익·순이익 등 3개 지표 모두에서 소폭이나마 성장세를 유지한 반면 아모레퍼시픽그룹과 (주)아모레퍼시픽은 마이너스 성장세를 벗어나지 못했다.

 

매출액 증가율 상위 기업들을 살펴보면 △ CSA코스믹 146.4% △ 에프앤리퍼블릭 140.4% △ 에이피알 132.4% 등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두 배 이상의 매출 증가를 시현했으며 △ 콜마비앤에이치 79.2% △ 한국콜마홀딩스 74.0% △ 에스디생명공학 64.7% △ 아우딘퓨처스 55.9% △ 리더스코스메틱 41.9% 등이 매출액 증가율 상위 그룹에 랭크됐다.

 

상위 3사가 1조4천억 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지만 4위에 이름을 올린 신세계인터내셔날의 매출은 3천44억 원에 머물러 여전히 투톱과의 간극을 좁히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 이어졌다.

 

OEM·ODM 영역을 이끌고 있는 쌍두마차 코스맥스(31.8%)와 한국콜마(20.4%)는 비교적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8위에 이름을 올린 애경산업(1천691억 원)의 약진이 눈에 띄는 부분이다.

 

“하반기 이후 성장국면 접어들 것” 전망

 

수출보다 내수경기 회복이 성장위한 동력 제공

 

리더스·네이처리퍼블릭 등 6곳, 흑자전환 성공                             수익성 악화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서 6곳의 기업은 그 동안의 부진을 떨치고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특히 지난 2년여 동안 부진에 빠져 있었던 네이처리퍼블릭과 리더스코스메틱은 지난 1분기를 기점으로 완연한 회복조짐을 보이고 있어 향후 행보에 귀추가 주목된다.

 

이들 두 기업 이외에도 CSA코스믹·아이큐어(주)·차바이오텍·코스메랩 등 모두 6곳이 이번 분기 영업이익에서 흑자로 돌아섬으로써 나름 수익경영에 진입하는 모양새를 갖췄다.

 

영업이익 증가율 상위기업들은 △ 에이피알(1,776.5%·25억 원) △ 코스맥스비티아이(214.5%·58억 원) △ 에프앤리퍼블릭(172.4%·41억 원) △ 미원상사(170.9%·59억 원) △ 신세계인터내셔날(169.2%·118억 원) 등이었다.

 

29곳만 순이익 성장세…33곳은 마이너스 성장                              영업이익 만큼이나 순이익 지표에서도 고전한 흔적이 역력했다. 흑자전환에 성공한 곳은 모두 7곳이었다. △ 코스맥스비티아이(▲ 6억 원→37억 원) △ (주)연우(▲ 3억 원→12억 원) △ 리더스코스메틱(▲ 12억 원→46억 원) △ CSA코스믹(▲ 28억 원→6억 원) △ 아이큐어(주)(▲ 1억5천만 원→20억 원) △ 코스메랩(▲ 1억8천만 원→1억1천600만 원) △ 알바이오(▲ 11억3천만 원→190억 원) 등이 그 주인공들이다.

 

순이익 증가율 상위기업들은 △ 에이피알(3,411.4%·25억 원) △ 토니모리(3,366.3%·35억 원) △ MP한강(528.3%·29억 원) △ 케어젠(298.6%·66억 원) △ 코스맥스(202.9%·76억 원) △ 미원상사(186.7%·55억 원) △ 코리아나화장품(179.1%·7억6천만 원) △ KCI(167.6%·24억 원) 등이 상위에 포진했다.

 

실질 경영지표까지 연결되려면 3분기 지나야                                지난 1분기 성적표를 받아든 화장품 기업 담당자들과 증권사 관계자들은 “연초부터 사드 이슈 등을 포함한 차이나 리스크가 사라지게 되면 국내 화장품 경기가 호전되리라는 기대가 컸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 같은 기대가 실질적인 경영지표로까지 연결되기에는 아직 이른 감이 있다”고 전제하고 “특히 사드 이슈 이전과 같이 중국 단체 관광객 유입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다 앞으로도 그 정도 규모의 방한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무엇보다 내수시장의 침체가 국내 기업들의 성장을 가로막고 있는 주 요인으로 판단돼 이를 타개하는 것이 하반기 이후 매출은 물론 수익경영을 결정하게 될 키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투자은행 전문가는 “연초부터 화장품 업계의 인수합병 사례가 예년보다는 활발했던 것은 사실이지만 이러한 움직임과 각 기업의 경영실적은 별개로 판단해야 할 사안”이라고 지적하면서 “다만 거시적 관점에서의 경제지표가 나쁘지 않고 지금까지 진행해 온 화장품·뷰티기업들의 경영활동을 감안한다면 2분기의 소폭 상승 국면을 지나면서 3분기부터 성장을 이룰 수 있는 여지는 충분해 보인다”고 예측을 내놨다.  <2018년 1분기 화장품기업 62社 경영실적 지표-자료실: 통계/마케팅>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