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화장품 수출 41억8330만 달러 달성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중국 악재 등 난관 딛고 44% 성장…27.5억 달러 흑자

 

홍콩·미국·동남아·유럽 등 시장 개척·다변화 전략 주효

 

 

차이나 리스크를 포함한 많은 악재와 우려 속에서도 지난해 화장품 수출실적은 전년대비 43.8% 성장한 41억8천330만 달러(한화 약 4조8천819억 원)를 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수입실적은 2015년보다 2.6% 늘어난 14억3천315만 달러(한화 약 1조6천725억 원)를 기록, 27억5천만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최근 관세청이 집계·발표한 2016년 화장품 수출입실적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중국의 금한·한한령의 본격화를 포함한 비관세장벽 강화조치에 따라 예년에 비해 그 증가세가 크게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성장세와 무역수지 흑자기조를 유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대 중국 수출은 15억7천만 달러로 전년대비 34.0%의 성장률을 기록, 지난 2015년 101.5%의 성장률에 비해 3분의 1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나 하반기부터 본격화됐던 중국 정부의 제재조치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홍콩과 미국, 일본을 포함한 전통적인 수출대상국에 대한 증가세가 일정 부분 유지됐을 뿐만 아니라 태국·싱가포르·베트남·말레이시아 등 동남 아시아권 국가에 대한 성장세가 두드러짐에 따라 지난 2014년의 52.2%, 2015년의 55.3% 성장률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비교적 양호한 성적표를 받을 수 있었다.

 

국가별 수출실적을 살펴보면 역시나 중국이 34.0%의 성장률과 37.5%의 점유율로 1위를 고수했다. 그렇지만 성장률은 전년보다 67.5% 포인트, 점유율은 2.8% 포인트 하락해 중국 정부의 전 방위적인 제재조치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위에 랭크된 홍콩은 상대적으로 그 위상이 높아졌다. 지난 2015년 보다 81.6% 성장한 12억4천8백만 달러를 기록해 점유율 역시 전년대비 6.2% 포인트 상승했다. 3억4천7백만 달러를 기록한 미국은 45.7%의 성장률로 3위를 고수했고 2015년에 5위로 밀려났던 일본은 최근 4년 중 가장 높은 32.6%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1억8천3백만 달러의 실적을 기록해 4위 자리를 되찾았다.

 

이밖에 △ 대만 1억3천6백만 달러(2.5% 감소) △ 태국 1억1천8백만 달러(26.9% 증가) △ 싱가포르 9천4백만 달러(42.8% 증가) △ 베트남 7천1백40만 달러(33.1% 증가) △ 말레이시아 6천1백만 달러(27.0% 증가) △ 러시아연방 4천7백80만 달러(34.4% 증가) 등을 기록하면서 상위 10위에 올랐다.

 

특히 지난해 수출실적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동남 아시아권 국가들에 대한 높은 성장세와 함께 프랑스·스페인·이탈리아·영국 등 유럽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실적이 크게 향상됐으며 미국과 캐나다에 대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즉 프랑스의 경우 128.0%가 늘어난 3천3백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스페인은 236.7%나 증가한 1천570만 달러, 이탈리아는 209.1% 증가한 1천513만 달러의 실적을 나타냈다. 캐나다는 45.8%가 증가한 1천62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편 화장품 수출실적은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0.84%의 비중을 차지했지만 이는 지난 2015년의 0.55%에 비해 0.29% 포인트 늘어나는 양상을 보여 점진적인 비중 확대 기조를 이어나갔던 것으로 나타났다.

 

◇ 연도별 화장품 수출입 실적·무역수지 현황                                         <단위: 천 달러·%>

연도 수출 수입 무역수지
수출금액 증감률 수입금액 증감률
2016 4,183,303 43.8 1,433,152 2.6 2,750,151
2015 2,910,136 55.3 1,397,171 0.8 1,512,965
2014 1,873,570 52.2 1,386,355 8.7 487,215
2013 1,231,289 25.9 1,275,188 2.9 -43,899
2012 977,866 20.1 1,239,181 3.0 -261,315
2011 813,978 2.9 1,203,465 16.6 -389,487
2010 791,399 75.4 1,032,429 20.2 -241,030
2009 451,152 17.8 859,175 -0.1 -408,023
2008 383,076 22.1 860,287 12.8 -477,211
2007 313,823 8.4 762,360 9.9 -448,537
2006 289,448 6.5 693,399 16.2 -403,951
2005 271,897 6.0 596,900 9.9 -325,003
2004 256,407 46.7 542,946 -1.2 -286,539

<자료: 관세청 수출입 통계, 2016년 실적은 일부 조정이 필요한 잠정치임>

 

♠ 국가별 수출실적 자료는 자료실>통계자료 참고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