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마케팅

“화장품산업 망치는 불량정보 마케팅 멈춰라!”

최지현 씨, 파라벤 프리‧EWG 등급은 '가짜 유해정보'…"기업·소비자 모두에게 毒"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자극은 반응을 부른다. 강한 자극은 더 강한 반응을 몰고 온다. 상업 마케팅에서는 빠른 효과를 내기 위해 더 ‘센’ 것을 찾는다.
 
불안과 공포는 힘이 세다. 모든 인간이 지닌 불안과 공포에는 고정수요가 있다. 불안 심리를 건드리는 마케팅이 득세하는 이유다. 화장품업계에서 화학물질에 대한 공포증을 자극하는 케미포비아가 마케팅이 자행되고 있다.
 
“화장품업계와 소비자 모두에게 독이 되는 불량정보 마케팅을 멈춰라.”
 
'화장품이 궁금한 너에게' 저자이자 '나 없이 화장품 사러가지 마라' 번역가인 최지현 씨. 그가 오늘(19일) 코엑스(서울 삼성동 소재)에서 열린 ‘뷰티인사이트북 콘서트’에서 내놓은 일침이다.
 
화장품 비평가로도 활동하는 그는 화장품 마케팅 속 불량 정보를 파헤쳤다. 대표 사례가 파라벤 프리와 EWG 위해등급이다. 
 
“화장품 성분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전해 화학성분에 대한 오해를 유도하는 마케팅이 판을 치고 있습니다. ‘파라벤 프리’가 대표적 예에요. 파라벤은 나쁘다는 인식이 낳은 결과죠. 파라벤은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보존제입니다.”
 
'파라벤-프리' 내세우면서 치명적 댓가 치르는 화장품 산업
 
이에 불구하고 파라벤 프리를 내세워 광고와 홍보전을 펼치는 화장품이 우후죽순 쏟아지면서 업계와 소비자 모두에게 독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는 파라벤 프리 마케팅으로 업계가 치러야 할 대가를 네가지로 제시했다. 
 
첫째, 화장품회사는 가장 효과적인 보존제를 쓰지 못하고 있다. 둘째, 페녹시에탄올‧클로페네신 등 다른 보존제에 대한 안전 논란이 일었다. 셋째, 보존제 리스크가 증가했다. 대체 보존제를 사용함으로 인해 화장품 사용기한이 짧아지고 미생물 억제 효과 등이 부족해질 수 있다. 즉 보존력‧보존기간‧보존효과가 전반적으로 하락하게 된다. 넷째, 보존제 가격이 올라가면서 소비자 가격이 상승한다.
 
그는 “가장 안전한 보존제를 두고 다른 성분을 써야 하는 아이러니에 빠졌다”며 “화장품 회사는 덜 안전하고 덜 효과적인 보존제를 사용하면서 높은 가격을 치르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파라벤 외 다른 성분으로 대체하면서 보존제 비용만 16~1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장품 가격에 고스란히 반영돼 소비자가 떠안게 된다”고 설명했다.
 
'EWG위해등급', 안전한 화장품도 위험하게 여기게 만드는 불량정보
 
‘EWG위해등급’도 화장품업계의 발전을 막고 소비자를 현혹할 수 있는 대표적 불량정보로 꼽았다.
 
EWG 등급제는 미국의 민간 환경단체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가 만들었다. 자체 기준을 정해 화장품 성분에 대한 안전등급을 매기고 있다. 이를 1~10 등급으로 나누고 숫자가 낮을수록 안전한 등급으로 소개한다.
 
“전 세계 화장품은 각 나라의 법과 안전규정을 통과해 시장에 나온다. EWG위해등급은 모든 안전한 화장품을 위험하게 여기게 만든다. 소비자 심리에도 영향을 미친다. 화학성분에 벌벌 떨게 만들고 작은 논란만 있어도 기피하게 만든다. 초예민 소비자를 양산한 것이 바로 이 EWG 등급제다.”
 
그는 화장품 브랜드가 유해도가 낮아 안전하다고 강조하는 ‘EWG 그린 등급’ 화장품의 품질에 의문을 표한다. ‘EWG 그린 등급 화장품이 사용감‧효과가 좋을 수 있나’ 물음표를 던진다.
 
“초예민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예민해질수록 불만과 의심이 많기 때문이다. 클레임은 계속 늘 것이다. EWG 그린 등급 화장품으로도 만족 못시키는 소비자를 위해서는 대체 어떤 마케팅을 해야 할 것인가.”
 
불량정보 마케팅을 멈춰야 하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불량정보는 가장 강력한 마케팅 도구지만 그만큼 치러야할 대가도 크다. 대가는 화장품업계와 소비자를 넘어 사회 전체의 몫으로 남는다.
 
그는 MSG와 카제인나트륨 논란을 낳은 조미료와 커피믹스 광고를 예로 들었다. 이들 광고는 공정거래위원회 제제를 받았다. 제품은 사라졌거나, 시장 점유율 10%에 머물고 있다. 과연 누구에게 이익이 돌아갔을까. 
 
“소비자 불신은 사회 전체에 반기업적‧반제도적 정서를 낳는다. 엄청난 비용을 소모시킨다. 작은 결정에도 많은 논란과 비용,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무엇보다 불신 없는 건강한 화장품 문화를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다. 이를 위해 소비자와 기업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기업은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 제공해야할 사회적 책임이 있다. 소비자에게 전하는 정보가 사회의 상식과 지식이 되기 때문이다. 불량정보를 통해 화장품에 대한 두려움과 오해를 조장하는 일을 멈춰라. 소비자는 화학을 정확히 알기 위해 힘써야 한다. 불량정보는 한쪽의 노력으로 바로 잡히지 않는다. 전문가‧소비자‧식약처 모두 노력해야 바뀐다.”
 
피가 낭자한 공포 장면만 반복되는 영화는 결국 외면당한다. 관객도 잃고 돈도 잃고, 이도저도 다 잃을 수 있다. 양날의 검이다. 검을 무차별적으로 휘두르기만 하면 다음 한 수를 두기 어렵다.
 
“네 의지의 격률이 언제나 동시에 보편적 입법의 원리가 되도록 행위하라.” 칸트의 말은 아름다움을 파는 화장품업계가 귀담아들어야 할 귀한 조언으로 다가온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