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63% "ESG가 제품구매에 영향"

  • 등록 2021.05.31 10:51:16
크게보기

대한상공회의소, ESG 경영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최근 ESG(환경 Environment·사회 Social·지배구조 Governance)가 기업경영의 핵심 가치로 떠올랐다. 기업들의 ESG 활동이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최근 국민 300명을 대상으로 ‘ESG 경영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했다.

 

ESG 우수기업에 지갑 연다 88.3%

기업의 ESG 활동이 제품구매에 영향을 주는지 묻는 질문에 전체의 63%는 ‘그렇다’고 답했다.

 

‘ESG에 부정적인 기업의 제품을 의도적으로 구매하지 않은 경험이 있는가’를 묻는 질문에 70.3%가 ‘그렇다’고 밝혔다.

 

‘친환경·사회공헌·근로자 우대 등 ESG 우수기업 제품은 경쟁사 동일제품 대비 추가 가격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88.3%에 달했다.

 

이재혁 고려대 교수는 “ESG경영은 투자 유치와 매출 상승 효과는 물론 문제발생을 방지하는 리스크 관리 기능도 담당한다. SNS와 동영상 플랫폼 등을 통해 기업의 ESG 관련 이슈가 쉽게 공유되는 만큼 ESG 경영에 신경써야 한다”고 말했다.

 

플라스틱 절감‧기후변화 관심 둬야

기업이 잘 대응하지 못하는 ESG 분야는 △ 지배구조(41.3%) △ 환경(35.0%) △ 사회(23.7%) 순이었다.

 

환경 부문에서 기업이 관심 가져야할 주제는 ‘플라스틱 과다사용에 따른 생태계 오염’(36.7%)이 꼽혔다. 이어 △ 기후변화 가속화(21.0%) △ 환경호르몬(19.7%) △ 미세먼지(15.0%) △ 지하수‧수돗물 오염(3.3%) △ 각종 동식물 멸종(2.3%) 등이다.

 

지배구조 이슈로는 △ 부적절한 경영권 승계(36.3%) △ 회사 자산 사적유용 등 경영진의 모럴해저드(32.7%) △ 일감 몰아주기(12.0%) 등이다.

 

기업의 역할이 무엇이냐는 질문에는 ‘주주 이익과 사회구성원 전체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응답이 51.0%에 달했다. 기업의 최우선 과제는 ‘소비자가 신뢰할만한 제품 생산’(32.3%)을 들었다.

 

윤철민 대한상의 ESG경영팀장은 “전세계적으로 ESG 경영이 기업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자리 잡았다. 기업은 ESG 경영을 기반으로 장기적 성장을 꾀하고, 소비자 인식을 개선할 시점이다”고 말했다.

정연심 기자 good@cosmorning.com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























PC버전으로 보기

(주)케이비엠 | 서울특별시 마포구 방울내로 11길 23, 제202호(망원동, 두영빌딩) TEL : 02-338-8470 | FAX : 02-338-8471 | E-mail : kbm@cosmorning.com 발행일 : 2016.8.15 | 발행 · 편집인 : 김래수 | 등록번호 : 서울 다 50330 | 등록일자: 2016년 6월 22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52337 |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19년5월15일 사업자등록번호: 315-81-36409 | 개인정보관리 및 청소년보호책임자 : 허강우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