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쁜 쓰레기에서 값진 자원으로!'

2021.06.09 16:10:41

‘화장품 포장재 재활용,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ESG가 글로벌 기업 경영의 핵심으로 떠올랐다. 화장품업계에서도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며, 투명하고 윤리적인 지배구조로 개선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화장품업계는 친환경 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반면 화장품 용기는 구조나 재질 특성상 재활용이 어려워 대부분 폐기물로 버려지는 실정이다.  

 

화장품을 친환경 미래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산관학이 머리를 맞댔다. 

 

국회 환경위원회 소속 노웅래 의원이 오늘(9일) 오후 2시 서울 영등포구 이룸센터 누리홀에서 ‘화장품 포장재 재활용,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는 △ 노웅래 국회의원 △ 한정애 환경부 장관 △ 김승환 아모레퍼시픽그룹 대표 △ 임재영 애경산업 대표 △ 윤여란 로레알코리아 부사장 △ 박헌영 LG생활건강 대외협력총괄 전무 △ 이명규 대한화장품협회 부회장 등이 참석했다.

 

재활용 소재 기반 친환경 미래산업 육성

 

△ 화장품 리필 활성화 △ 포장재 없는 점포 확산 △ 친환경 소재 사용.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화장품산업의 도약을 위한 3대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똑같은 물건도 방치되면 쓰레기지만 모으면 자원이 된다. 폐플라스틱을 자원화하려면 제조 단계서부터 재활용을 염두에 둔 설계와 소재를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화장품 포장재는 재질·성분·구조가 다양해 재활용이 어렵거나 재활용품의 품질이 떨어진다. 화장품 용기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화장품업계에서 친환경 소재를 활용하는 동시에 정부는 포장재 없는 점포를 지원해 리필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화장품업계는 1월 2030 화장품 플라스틱 이니셔티브를 선언하는 등 순환경제 실현에 힘써왔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화장품의 본질적 가치를 포장제에도 반영해야 한다. 화장품 포장재 재활용을 위한 제도적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김승환 아모레퍼시픽그룹 대표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자연과 공존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전세계 사업장에서 탄소중립을 실현할 계획이다. 플라스틱 용기 재사용·재활용·퇴비화를 위한 로드맵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리필 제품·용기 다양화…소비자 니즈 충족해야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의무 고용 제도 개선

 

이동학 쓰레기센터 대표는 ‘국내 재활용 현실과 화장품 포장재 재활용 활성화 과제’를 발표했다.

 

이 대표는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이 2019년 10월부터 2020년 7월까지 화장품 용기를 조사한 결과 90% 이상이 재활용 어려움에 해당한다고 보고했다. 

 

화장품 용기는 △ 다양한 첨가제 사용 △ 복잡한 구조 △ 내용물 잔존 등 각종 문제를 안고 있기 때문. 

 

이에 화장품 생산·유통·소비·폐기 전 단계에서 친환경성을 강화하기 위해 △ 맞춤형화장품 판매장의 조제관리사 의무 고용 제도 개선 △ 화장품 용기 발생량과 재활용률 정보 공유 △ 기업의 친환경 경영에 대한 투명성 제고 △ 화장품 EPR 제도 도입 △ 화장품 재활용 전담기구 신설 △ 견본품 생산 제한 등을 제안했다.

 

양래교 알맹상점 대표는 서울 합정동 알맹상점에서 운영하는 화장품 리필 스테이션을 소개했다.

 

문턱 높은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제도와 인력·자금 부족 등으로 리필 스테이션을 늘리는 데 어려움을 있다는 말도 덧붙였다. 

 

그는 ”전국 친환경 소분샵 100여개 가운데 화장품 리필숍을 운영하는 곳은 5개 정도다. 현실과 맞지 않는 과도한 규제 때문이다. 화장품 단순 소분을 위한 인력과 위생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리필 제품의 다양성이 부족해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다. 세척·재활용 용이한 리필 용기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다.

 

"화장품 리필 쉽고 편해야"...안전성 확보 필수

포장재 재질·구조 변경해 용기 재활용률

 

 

2부 토론회에서는 화장품 포장재 재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방안이 도출됐다. 

 

배연정 서울대 그린에코공학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화장품업계에 바이오 플라스틱 용기가 도입되는 추세다. 정부 정책 상 바이오 플라스틱은 재활용 어려움 등급에 속하므로 보완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이사장은 화장품 포장재 재사용 활성화를 위해 온오프라인 역회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또 플라스틱 복합재질을 단일재질로 변경하고, 무색 페트병을 사용하는 등 재활용이 용이한 소재 활용률을 늘려나가 한다고 봤다. 

 

이소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은 2030년까지 모든 플라스틱 포장재를 재사용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전환하는 EU의 사례를 소개했다.

 

이 연구위원은 재사용 가능한 플라스틱 용기가 화장품 품질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규명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재사용 포장재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 친환경 의식을 기대하며 비싼 가격을 요구해온 측면이 있다. 재사용 가능 포장 시스템으로 바꿔 나가려면 소비자가 편리하게, 합리적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서영태 환경부 자원재활용과 과장은 화장품 포장재 관련 정부 제도를 제시했다. 

 

서 과장은 "정부가 2019년 12월부터 '포장재 재질·구조 평가·표시제'를 시행하고 있다. 화장품 포장 품목 8천여개를 평가한 결과 64%가 재활용 어려움 등급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화장품 용기 특성상 화려한 색상이나 복잡한 구조를 사용한 경우가 많아 재활용률을 높이려면 재질·구조 개선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정부는 생산자가 포장재를 재활용이 쉬운 재질과 구조로 생산하도록 유도해왔다. 재활용이 어려운 포장재에 '도포·첩합마크'를 표시하도록 하는 고시 개정안 발령을 앞뒀다"고 했다.  

 

더불어 화장품 리필매장에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를 필수 배치해야 하는 규정에 대해 문제성을 인식하고, 식약처와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서 과장은 정부 정책은 탈 플라스틱과 플라스틱 매립 제로에 맞춰져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매립을 전제로 한 생분해성 플라스틱보다 단일 재질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것이 환경적으로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나아가 화장품 리필을 활성화하기 위해 △ 재활용 포장재 개발  △ 포장재 없는 점포 확산 △ 리필 제품 다양화 등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연심 기자 good@cosmorning.com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
















PC버전으로 보기

(주)케이비엠 | 서울특별시 마포구 방울내로 11길 23, 제202호(망원동, 두영빌딩) TEL : 02-338-8470 | FAX : 02-338-8471 | E-mail : kbm@cosmorning.com 발행일 : 2016.8.15 | 발행 · 편집인 : 김래수 | 등록번호 : 서울 다 50330 | 등록일자: 2016년 6월 22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52337 |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19년5월15일 사업자등록번호: 315-81-36409 | 개인정보관리 및 청소년보호책임자 : 허강우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

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