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처럼 흰 꽃이 눈을 뗄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눈빛승마 @정연옥
■ 학 명 : Cimicifuga dahurica (Turcz. ex Fisch. & C. A. Mey.) Maxim.
■ 생약명 : 승마(升麻)
■ 화장품 원료성분명 : 눈빛승마추출물(Cimicifuga Dahurica Root Extract)
■ 중국수출가능여부 : CIMICIFUGA DAHURICA EXTRACT
(兴安升麻(CIMICIFUGA DAHURICA)提取物)
■ 과 명 : 미나리아재비과
■ 개화기 : 8월
■ 적용 산업 분야 : 의약품소재, 화장품 원료
▶채취방법 : 이른 봄에 어린순을 채취하고, 뿌리를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식용법 :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사용부위 : 어린순, 뿌리
▶성분 : cimicifugine, salicylic acid, caffeic acid, 뿌리 줄기에 ferulic acid, isoferulic acid, coumarin, 전초에는 플라보노이드인 쿠에르세틴과 켐페롤, 알칼로이드 0.5%가 들어있다.
▶생육특성 : 눈빛이라는 이름은 꽃 때문에 붙여졌는데 하얀 꽃이 마치 눈처럼 소복하게 쌓여 핀 모습이 아주 아름답다. 눈빛승마는 지리산·계룡산·속리산·설악산과 강원도 이북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로 유기질 함량이 높은 흙이나 반그늘 혹은 양지에서 잘 자란다.
키는 약 2m에 이르며 야생화로서는 키가 아주 커서 어떤 것은 2.5m까지 자라기도 한다. 그래서 일반 가정에서는 키우기가 쉽지 않다. 감상하기 위해 화단에 심을 때는 중간 또는 뒷부분에 심으면 늘씬하게 자라는 모습이 꽤 보기 좋은데, 특히 꽃이 아주 멋지다.
눈빛이라는 이름 그대로 햇빛을 받으면 은색으로 빛난다. 줄기는 크고 곧게 서며 많은 가지를 치고 잎은 길이가 6∼12㎝, 너비는 2∼7㎝로 타원형이다. 잎의 끝은 뾰족하고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길이가 약 1m 정도나 되어 아주 크다.
8월에 흰색의 꽃이 원줄기 윗부분에 원뿔 모양으로 달리는데 작은 꽃들이 마치 눈꽃송이처럼 모여서 핀다. 열매는 8∼9월경에 둥글게 맺는다.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관상용으로 쓰이고 뿌리와 줄기는 약재로 이용된다. 우리나라와 몽골,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주요성분 쓰임새
-salicylic acid(살리실산) : 주요 약효인 해열작용은 아주 옛날부터 알려져 왔다. 살리실산은 여드름·건선·피부경결·티눈·모공각화증과 사마귀를 치료하는 피부 관리 제품의 주성분으로 사용된다.
-caffeic acid(카페익산) : 커피산, 클로로겐산 모두 항산화기능을 갖는다. 커피콩을 포함한 배와 같은 과일과 바질·타임·버베나·타라곤·오레가노·민들레 같은 약용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페놀 화합물이다.
-ferulic acid(페룰산) : 식물의 세포벽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성분
-isoferulic acid(이소페룰산) : 유기 화합물의 일종인 하이드록시신나마이산이다. 중국 허난에서 프로폴리스를 분석한 결과 항균 성질을 보여주는 최초의 3개 화합물과 함께 시나피닉산·이소페룰산·카페인산·크리신을 발견했다.
-coumarin(쿠마린) :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물질로 달콤한 냄새가 난다. 쿠마린은 쿠마린을 생성하는 식물에서 살충제로 작용한다. 쿠마린은 간과 신장에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음식 첨가제로서의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kaempferol(켐페롤) : 플라보노이드의 하나이다.
-cimicifugine(시미시푸긴) : 수지류 물질에 속하는데, 피부를 충혈하고 심하면 궤양을 형성하며, 내복하면 위에 대하여 자극성이 있어서 위염을 일으킬 수 있다.
▶비슷한 식물들
-승마 : 뿌리가 굵고 자줏빛을 띤 검은색이며, 키는 약 1m이다.
-촛대승마 : 꽃이 흰색으로 눈빛승마와 비슷하나 꽃이삭이 갈라지지 않아 촛대처럼 생겼다.
-나도승마 : 굵은 뿌리줄기가 길게 옆으로 벋으며 끝에서 새싹이 무리 지어 돋는다. 백운산에만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황새승마 : 깊은 산속 숲 언저리에서 자라며, 키는 1∼1.5m이다. 8∼9월에 노란빛을 띤 흰색 꽃이 핀다.

◇ 약력
△ (주)수이케이 기술연구소장(현)
△ 원광대학교 대학원 농학박사
△ 마산대학교 한약재개발학과 교수
△ 원우바이오텍 야생화연구소 소장(현)
△ 한국자원식물학회 상임이사(현)
△ 한국약용작물학회(현)
△ 한국임상보건과학회 이사(현)
△ 세종대학교 연구교수(현)
◇ 주요 저서
△ 한국야생화식물도감-봄편/여름편/가을편
△ 약용작물 재배와 이론 △ 야생화약초도감
△ 지리산야생화 약용식물-상/하
△ 야생화 산약초도감 △ 사계절야생화도감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