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산업, 책임판매업체 증가로 소기업 편중 심화

  • 등록 2023.08.13 19:15:07
크게보기

창업지원 보다 경쟁력 갖춘 기존 기업의 육성·정책 차원 지원 모색 절실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은 책임판매업체(브랜드 기업)의 지속 증가로 인해 소기업 편중현상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업의 ‘압정구조’(소수의 대기업과 다수의 소기업으로 이뤄진 비대칭 산업 구조를 의미하는 표현)가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결국 국가 차원의 산업 발전을 보다 건전하게 이뤄가기 위해서는 창업지원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보다는 경쟁력 갖춘 기존 기업에 대한 육성과 정책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러한 내용은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사업단장 황재성 경희대학교 교수·이하 사업단)이 식품의약품안전처 발표 ‘화장품 생산·수출실적’ 통계를 포함, 시기·사안별 발표 자료 등을 기반으로 분석한 ‘국내 화장품 기업 현황과 생산실적 트렌드 리포트’를 통해 확인한 사실이다.

 

화장품 기업 현황

지난 2022년 화장품 영업자는 △ 책임판매업체 2만8천15곳 △ 제조업체 4천548곳으로 나타났다.

책임판매업체는 2013년 3천884곳에서 10년 동안 2만4천131곳으로 늘어났다. 연평균 24.6%, 7.2배 규모로 증가한 수치다. 제조업체는 2013년 1천535곳에서 10년 간 3천13곳, 연평균 12.8%, 3.0배 규모로 증가했다.

 

 

특히 책임판매업체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이는 같은 기간의 제조업체 수 증가율(연평균 12.8%)은 물론 생산액 연평균 증가율 6.1%보다도 크게 높다.

 

그렇지만 2022년 책임판매업체 2만8천15곳 가운데 생산실적을 보고한 업체는 1만119곳에 그쳤다. 따라서 2013년 48.8%였던 실적보고 업체 비율은 2016년 60.7%로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 매년 하락세다.

 

지난해에는 36.1%까지 떨어졌다. 이는 책임판매업체 10곳 중 3.6곳 만이 생산실적이 있으며 나머지 6.4곳은 생산실적이 없는 업체로 볼 수 있다.

 

사업단은 “이러한 현상은 외형 상 화장품 기업이 성장하는 것처럼 착시현상을 일으킨다”고 지적하고 “실제로는 오히려 건전한 산업발전을 저해하는 부정 신호가 될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생산규모별 제조·판매업체 현황

생산규모별 제조·판매업체 분포를 보면 그동안 지적해 온 ‘극단적 소기업 편중현상’(압정구조)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 2020년 생산규모별 제조·판매업체 분포는 1천억 원 이상은 11곳(0.1%)에 지나지 않는다. △ 500억~1천억 원 12곳(0.1%) △ 100억~500억 원 85곳(1.0%) △ 50억~100억 원 91곳(1.0%) △ 10억~50억 원 445곳(5.0%)이다.

 

종합하면 10억 원 이상 생산실적이 있는 기업은 모두 644곳, 7.2%뿐이다. 전체 제조·판매업체의 92.8%를 차지하는 8천298곳의 기업들은 생산실적이 10억 원 미만에 그치고 있다.

 

국내 화장품 생산은 소수의 생산규모가 큰 기업이 주도하고 있다, 전체 제조·판매업체의 0.1%에 해당하는 1천억 원 이상 생산기업이 생산액 10조2천986억 원을 기록하며 2020년 국내 화장품 생산의 67.9%를 차지하고 있다.

 

 

500억~1천억 원 규모의 기업은 8천78억 원으로 국내 화장품 생산의 5.3%를 점유한다. 반면 전체 제조·판매업자의 92.8%를 차지하는 10억 원 미만 기업들이 화장품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천126억 원으로 4.0%에 지나지 않는다.

 

기업의 생산규모별로 기업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생산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종합‧비교할 때 △ 소수의 생산규모가 큰 기업이 생산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으며 △ 생산 10억 원 미만의 기업은 전체 기업 수의 92.8%에 이르지만 생산 규모에서는 4.0%에 그침으로써 영세 기업 위주의 불균형 구조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연도·유형별 생산실적

지난 해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13조5천908억 원으로 전년 대비 3조625억 원(-18.4%) 감소했다. 2013년 이후 연평균 6.1%의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오던 화장품 생산은 지난 2020년(-6.8%)과 2022년, 두 차례에 걸쳐 마이너스 성장에 그쳤다. 이는 중국발 수출감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2022년 유형별 생산실적에서 기초화장용 제품류가 7조5천220억 원으로 전체 생산의 55.4%를 차지했다. △ 인체세정용 제품류가 1조8천184억 원으로 13.4% 점유 △ 색조화장용 제품류가 1조6천639억 원으로 12.2% 점유 △ 두발용 제품류가 1조6천526억 원으로 12.2% 점유했다. 이외의 9개 유형 제품은 모두 9천339억 원, 6.9%를 차지해 생산 규모에서 상위권 유형과의 차이가 크다.

 

 

기초화장용 제품류의 비중은 지난 2013년 56.7%에서 2022년 55.4%로 1.3% 포인트 감소, 큰 변화가 없었다. △ 인체세정용 제품류는 2013년 7.6%에서 2022년 13.4%로 5.8% 포인트 증가했고 △ 생산규모 5위인 두발 염색용 제품류는 0.2%(2013년)에서 2.2%(2022년)로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색조화장용 제품류는 14.1%에서 12.2%로, 두발용 제품류는 15.3%에서 12.2%로 각각 1.9% 포인트, 3.1% 포인트 줄어드는 양상이었다.

 

업체당 평균 생산규모

책임판매업체의 평균 생산실적은 매년 감소하고 있는 모습이다. 상위 10곳을 제외한 업체당 평균 생산금액 또한 5억 원 내외로 매년 감소세다.

 

 

2022년 책임판매업체의 평균 생산실적은 13억4천만 원으로 2013년의 42억1천만 원에 비해 1/3 규모로 감소했다. 이러한 업체당 평균 생산금액의 감소는 책임판매업체 수가 지난 10년 간 7.2배 규모로 크게 증가한 영향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과도한 기업수 증가는 오히려 화장품 산업의 건전성 약화로 이어지는 셈이다.

 

기능성화장품 연도별 생산실적

2022년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4조6천억 원으로 전체 화장품 생산의 33.8%를 차지했다. 기능성 화장품 생산은 지난 2019년 5조3천448억 원으로 최고액을 기록한 이후 감소추세에 접어들었다.

 

 

즉 2013년 2조5천638억 원에서 2019년까지 꾸준한 증가 양상이었지만 2020년에 4조5천325억 원으로 감소했다. 2020년과 2022년의 감소는 전년대비 감소를 의미한다.

 

2022년 기능성화장품의 각 기능별 생산실적을 보면 △ 복합 기능성화장품이 1조8천778억 원으로 전체 기능성화장품 생산의 40.8%를 점유했다. 이어 △ 주름개선 1조1천711억 원(점유율 25.5) △ 탈모완화 4천703억 원(점유율 10.2%) △ 자외선차단 4천192억 원(9.1%) 순이었다.

 

2013년 대비 2020년 기능성화장품 기능별 생산실적을 살표보면 생산량이 가장 많은 복합 기능성화장품이 6천519억 원(1.5배) 증가했다. △ 주름개선 화장품 4천808억 원(1.7배) △ 탈모완화 화장품 3천196억 원(3.1배) △ 자외선차단 화장품 383억 원(1.1배) △ 미백화장품 650억 원(1.2배)이 증가했다.

 

 

반면 염모용 화장품은 2017년에 비해 1천119억 원 감소했다. 여기서 주목할 만한 변화는 탈모완화 화장품이다. 기능성화장품 영역에 추가, 지난 2017년부터 생산실적 보고를 시작한 후 6년간 3.1배 늘어났다.

 

지난 2013년 대비 2022년 점유율 변화는 △ 복합 기능성화장품 47.8% → 40.8% △ 주름개선 화장품 26.9% → 25.5% △ 자외선차단 화장품 14.9% → 9.1% △ 미백화장품 10.4% → 7.2%로 각각 감소세를 나타냈다.

 

복합 기능성화장품·자외선차단 화장품·미백화장품의 감소율이 타 유형에 비해 크다. 동시에 생산규모 증가가율이 높은 탈모완화 화장품의 점유율은 지난 2017년 3.1%에서 2022년 10.2%로 7.1% 포인트 높아졌다.

 

사업단은 이번 트렌드 리포트와 관련 “국내 화장품 산업 규모에 비해 책임판매업체나 제조업체 수가 과도하게 많다는 점이 오히려 약점이 될 수 있다”고 전제하고 “화장품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정책지원 방향을 창업지원보다는 △ 강소기업의 육성 △ 중견기업으로의 성장 중심으로 설정하고 경쟁력이 뒤지는 소규모 기업의 자연스러운 도태를 통해 기업 수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허강우 기자 kwhuh@cosmorning.com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



















PC버전으로 보기

(주)케이비엠 | 서울특별시 마포구 방울내로 11길 23, 제202호(망원동, 두영빌딩) TEL : 02-338-8470 | FAX : 02-338-8471 | E-mail : kbm@cosmorning.com 발행일 : 2016.8.15 | 발행 · 편집인 : 김래수 | 등록번호 : 서울 다 50330 | 등록일자: 2016년 6월 22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52337 |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19년5월15일 사업자등록번호: 315-81-36409 | 개인정보관리 및 청소년보호책임자 : 허강우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