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 www.kcii.re.kr ·이하 연구원)이 오는 11월 20일과 21일 이틀 동안 로얄호텔서울(서울 명동 소재) 로얄볼룸(2F)에서 ‘2024 국제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화장품 안전관리 동향과 성분 안전성 평가 동향을 종합 분석하고 글로벌 규제 대응을 위한 해외 유관기관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기획했다.
연구원 측은 “특히 화장품 산업의 급변하는 글로벌 환경에 발빠르게 대응하는 동시에 국내 기업들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최신 정보와 통찰력을 공유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강조했다.
심포지엄 첫 날(11월 20일)은 ‘화장품 안전성 평가 동향’이 주제다.
△ 글로벌 화장품 안전성 규제 개요와 대한민국 안전관리 동향(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이정표 실장) △ In-silico 기법을 이용한 화장품 성분 안전성 평가(덕성여자대학교 정주희 교수) △ 감작성 위험 식별·정량적 위해성 평가·IFRA 규정 준수(에스티 로더 Mihwa Na 박사) △ EU 화장품 규제 동향과 규제 예측(COSMED Caroline Bassoni 박사) 등의 내용을 다룬다.
둘째 날(11월 21일)에는 ‘최신 대체 시험법 트렌드’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 대한민국의 화장품 위해평가 체계(단국대학교 김규봉 교수) △ 화장품 성분 안전성 검토 (CIR Jinqiu Zhu 박사) △ 동물대체시험법 접근 방식(에스티 로더 Mihwa Na 박사) △ 규제 의사결정을 위한 NGRA 활용 촉진 협력 방안(ICCS Donna Macmillan 박사) △ 예측시험법을 활용한 천연추출물 안전성 평가(이화여자대학교 임경민 교수) 등 최신 연구 동향과 실제 적용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심포지엄에는 국제적 명성과 권위를 얻고 있는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와 규제 대응에 관한 최신 지견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더욱 크다.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고 보다 안전하고 혁신성에 기반한 제품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심포지엄을 기획·진행하는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은 화장품 안전성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과 글로벌 규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히고 “특히 △ In-silico 기법 △ 대체 시험법 △ NGRA(Next Generation Risk Assessment)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안전성 평가 방법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화장품 산업 종사자를 포함, 연구원·학계 관계자 등 120명 내외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오는 11월 15일 수요일 오후 4시까지(선착순 마감) 올코스 화장품산업정보포털( https://www.allcos.biz ) 교육/세미나 탭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