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인체적용시험 전문기업 피엔케이피부임상연구센타(각자대표 박진오·이해광, 이하 P&K)이 급변하는 글로벌 뷰티 시장 트렌드를 선도하고 발빠른 대응을 위해 ‘글로벌제도협력팀’을 신설하고 아모레퍼시픽에서 약 25년간 R&D·인증 실무를 담당했던 육심욱 상무를 영입했다.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 민텔과 BASF가 공통으로 선정한 올해 화장품 산업 트렌드는 △ 정확한 효능을 가진 소재와 제품 △ 과학성에 기반한 검증과 평가 △ 친환경을 생각하는 지속가능 가치 실현 △ 안티 에이징을 넘어 선 에이징 예방(슬로우 에이징) △ 프리쥬비네이션(Prejuvenation·예방 목적 재생술)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소비자 중심의 가치 전환이 가속화하고 화장품 소재와 인체적용시험 등에 이르기까지 밸류 체인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 국내 인디 뷰티 브랜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다만 △ 국가별로 다른 인증제도와 등록 △ 광고 등을 포함한 규제 환경은 해외 진출의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의 시행이 오는 2028년부터 단계별로 이뤄진다.
P&K는 이러한 시장 변화에 효과 높이 대응하기 위해 그동안 분산해 있던 RA(Regulatory Affairs) 기능을 통합, 글로벌제도협력팀을 신설했다.
국내 뷰티 기업, 특히 인디 브랜드와 스타트업이 미국·유럽·일본 등 주요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복잡한 법규와 인증 절차를 해결하는 전문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
P&K에 새로 합류한 육심욱 상무는 화장품 연구개발·글로벌 인증 프로세스 구축 등의 업무와 연구경영실장 등을 역임했다. 일본 지사 근무를 통해 현지 시장 전략 수립과 글로벌 프로젝트를 수행한 실무형 전문가로 평가받고 있다.
P&K는 육 상무의 전문성과 현재 보유한 글로벌 RA 시스템을 고도화해 고객사의 해외 시장 진출을 효율성 높고 실질성에 기반해 뒷받침할 수 있는 지원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해 P&K 관계자는 “단순히 제품을 수출하는 단계를 넘어 브랜드 철학과 제품력을 글로벌 소비자에게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라며 “글로벌제도협력팀은 복잡한 해외 규제를 명확하게 풀어주고 국내 브랜드가 ‘K-뷰티 2.0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제도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