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WD 발표 ‘The 2024 Top 100 Beauty Companies’ 지난해 전 세계 화장품·뷰티 매출 상위 100곳 기업의 총매출은 2천520억8천650만 달러(한화 약 343조 원)를 기록, 전년도의 2천449억8천510만 달러 보다 2.9%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프랑스(13기업)가 744억2천580만 달러로 2023년에 이어 1위를 고수했다. 13곳의 이들 프랑스 기업이 올린 매출은 전년도의 712억8천850만 달러보다 4.4%가 증가한 수치다. 미국은 2023년보다 100위 권 내에 진입한 기업이 2곳 줄어들어 30곳의 기업이 685억4천970만 달러의 매출과 2.6%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2위를 지켰다. 뒤를 이어 △ 영국(4곳·285억4천700만 달러·2.2%) △ 일본(11곳·168억6천650만 달러·-3.9%) △ 독일(4곳·141억2천630만 달러·5.4%) 등이 지난해와 같이 3위~5위 권을 유지했다. 이같은 내용은 미국 화장품·뷰티·패션 전문 미디어 WWD가 발표한 ‘The 2024 Top 100 Beauty Companies’ 최신 리포트를 코스모닝 편집국이 입수해 분석한 사실이다. 2023년에 이미 11곳의 기업이
미국 화장품 시장은 세계 최대 규모인 만큼 규제도 그만큼 엄격하다. K-뷰티의 글로벌 진출 러시 속에서 미국 시장은 가장 큰 타깃이지만 동시에 가장 조심해야 할 시장이기도 하다. 로레알, 록시땅과 같은 글로벌 기업도 수억 원의 제재를 받은 미국의 화장품 광고 규제, 그 실체를 세 차례에 걸쳐 파헤쳐본다. FDA와 FTC-이원화 화장품 규제 체계의 이해 미국 화장품 규제의 가장 큰 특징은 FDA(식품의약국)와 FTC(연방거래위원회)의 이원화 규제 체계다. 이 두 기관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해 이해하는 것이 미국 진출의 첫걸음이다. FDA는 화장품 제품 자체를 관리한다. 제품 안전성과 라벨링을 주로 감독하며 연방 식품·의약품·화장품법(FD&C Act)과 공정 포장·라벨링법(FPLA)에 근거해 규제한다. FDA가 정의하는 화장품은 ‘청결·미용·매력 증진 또는 외모 변화’를 목적으로 하는 제품이다. 가장 중요한 점은 질병 치료나 신체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주는 목적으로 홍보할 경우 해당 제품은 즉시 의약품으로 간주된다는 데 있다. 이렇게 되면 의약품에 적용되는 훨씬 더 엄격한 사전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반면 FTC는 화장품의 광고와 마케팅을 규제한다. F
클린뷰티 예비 창업자를 위한 제품기획‧마케팅‧유통 전략이 제시됐다. 화장품 분야별 전문가들이 브랜드 기획부터 생산‧수출까지 창업 전주기에 걸친 노하우를 공개했다. 슬록이 9일(금) 오후 2시 서울소셜벤처허브 세미나실에서 ‘클린뷰티 화장품창업 무료교육’을 개최했다. 이번 교육에선 △ 업사이클링 브랜드 ‘기분좋음’ 창업스토리(윤종원 리본코리아 대표) △ 80만 글로벌 인플루언서의 K-뷰티 SNS 수출 노하우(백민아 스키나 대표) △ 글로벌 BM이 알려주는 매출 10배 올리는 화장품 론칭 팁(이소정 뷰포리아 대표) 등을 제시했다. 페르소나 쪼개기, 러브마크 되기 “일반적인 화장품을 만들어 시장에서 경쟁하지 말 것! 고유한 브랜드로 새로운 팬덤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사랑받는 LOVE MARK가 돼야 한다.” 윤종원 리본코리아 대표는 브랜드가 곧 러브마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시장과 싸우지 말고, 브랜드만의 고유한 팬덤을 만들라는 것이다. 이는 케빈 로버츠의 저서 ‘러브마크’(Lovemarks)의 주제인 “브랜드는 기업이 만들지만 러브마크는 소비자가 만든다”와 상통한다. 윤 대표는 “화장품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하는 질문을 던졌다. 그는 화장품이 문제해결 도구라고
180억원 상당의 중국산 위조 화장품을 국내에 유통한 전자상거래업체가 덜미를 잡혔다. 인천공항본부세관(세관장 김종호)은 7년 동안 위조 화장품 13만여 점을 수입·판매한 전자상거래업체 대표 A씨를 검찰에 송치했다. 관세법·상표법·화장품법 위반 혐의다. A씨는 에스티로더‧디올‧키엘‧조말론‧맥‧나스 등 7개 해외 유명 브랜드를 중국에서 위조 생산했다. 소비자 사용후기에 부작용 발생이나 위조 의심 사례가 반복적으로 언급됐다. 인천공항본부세관은 일부 해외 유명 화장품이 오픈마켓에서 정상가의 절반 이하에 판매되는 점에 주목했다. 정품 33만원대 제품이 15만원에 팔리는 등 가격 차이가 큼에 따라 위조 가능성을 포착해 수사에 들어갔다. 세관은 A씨의 사업장에 보관된 위조 화장품을 압수했다. A씨가 사용하던 휴대전화와 PC를 포렌식해 위조품 유통 과정 전반을 추적했다. 조사 결과 A씨는 중국 온라인 도매 사이트에서 위조 화장품을 확보했다. 그는 위조 화장품을 미국에 설립한 유령회사로 배송했다. 이어 제품을 미국 정품 판매처에서 구매한 제품으로 위장해 국내로 역수입하는 방식으로 범행을 이어왔다. 위조품은 로고‧설명서‧고유 일련번호에 이르기까지 정품과 유사하게 복제됐다. 제
<중국 상하이 CBE=화장품전문지 공동취재단> 글로벌 빅5 뷰티 전시회로 자리매김한 ‘2025년 제 29회 중국뷰티박람회’(이하 CBE)가 ‘글로벌 신제품 출시’를 주제로 지난 12일 개막, 오늘(14일)까지 상하이 신국제박람회센터에서 장정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주빈국은 프랑스다. 주빈국 관련 행사에서 글로벌 화장품 산업의 선두주자 프랑스는 풍부한 화장품 문화 전통과 뛰어난 과학 기술 혁신 역량을 발휘함으로써 중국 화장품 시장에 프랑스식 미학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다. 2025 CBE 개요 상잉 CBE 집행위원장은 “올해 전시회에서 로레알·시세이도·프로야·자연당 등 국제 트렌드를 선도하는 글로벌 브랜드와 국내 대표 브랜드가 협력해 전략 신제품을 발표, 산업에 강력한 동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30,000㎡ 규모 전시장에는 대한민국을 포함해 프랑스·스페인·이탈리아·스위스·독일·폴란드·미국·캐나다·호주·일본·태국 등 전 세계 40여 국가와 지역에서 3천200여 화장품·뷰티 기업이 참가 중이다. 메이크업·스킨케어·패션 향수와 향료·OEM ODM OBM·원료소재·포장·기계장비·설비·기능성 전문 스킨케어·건강세정·구강 미용 등 2
1970년 창업, PP·PET·PVC 등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의 패키지·제품에 특수 UV 옵셋 인쇄와 가공 전문기업으로서의 입지를 다져온 삼영CP(Samyoung Culture&Printing·대표이사 조규형·이하 삼영CP)가 지속가능한 성장을 통한 새로운 도전을 선언한다. 지난 55년 동안 축적한 UV 옵셋 인쇄·가공 기술력을 기반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는 동시에 친환경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아이템 발굴과 기술 개발을 통해 특수 인쇄 부문에서의 독보 성을 이어가겠다는 의지다. 창업자 조창환 명예회장과 조용환 회장-조웅환 부회장(조창환 명예회장의 동생)을 잇는 2세 경영인으로 지난 2021년부터 가업을 잇기 위해 25년동안 몸담았던 보험업계를 떠나 인쇄업 경영일선에 뛰어든 조규형 대표는 경영 합류와 동시에 사업 다각화를 추진, 지속가능한 기업의 미래를 위한 비전 설계와 실현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삼영CP는 일반 종이인쇄가 아닌 PP·PET·PVC 등 플라스틱 소재 제품 패키지·문구·팬시용품· 파일·홀더·부채등 특수 UV 옵셋 인쇄·가공을 전문으로 수행함으로써 독자 영역을 확보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 소재 관련 환경 관련 이슈를
국내, PDRN 등 재생 중심 고기능성 제품으로 시장 선도…생산량 33억 개 시대 열고 태국법인 152% 성장·印泥도 두자릿수 증가…시장 회복세에 中도 소폭 성장 일궈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맥스가 K-뷰티 글로벌 인기 확대를 등에 업고 역대 최대 분기 실적을 새롭게 썼다. 한국법인과 ‘알짜 비즈니스’ 모델을 시현하고 있는 동남아법인의 성장세가 특히 눈에 띈다. 코스맥스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지난 1분기 매출은 5천88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7%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513억 원으로 13% 늘었다. 이같은 매출은 한국법인이 견인했다. 한국법인 매출은 3천628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4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 늘어난 수치다. 인디브랜드 고객사 활동이 매출 확대 기여 회사 측은 “지난해부터 폭발력 넘치는 성장세를 보이는 인디브랜드 고객사의 국내·외 활약이 매출 확대에 기여했다”는 자체 분석을 내놨다. 코스맥스는 기초 화장품 카테고리에서 고기능성 재생 성분을 앞세운 새 시장에서 성장을 일궜다. 조직재활성물질 ‘PDRN’(Poly Deoxy Ri
오는 23일(금)로 예정했던 대한화장품학회(회장 황재성· www.scsk.or.kr ·이하 화장품학회)의 임시총회는 열리지 않는다. 다만 춘계학술대회는 당초 예정대로 진행한다. 화장품학회는 “당초 학회 정관 변경(안)을 위한 임시총회와 춘계학술대회 동시 개최를 계획했으나 사정에 의해 임시총회는 취소한다. 따라서 9시부터 진행 예정이었던 행사는 9시 30분으로 변경하되 이전에 공지한 키노트 강연과 오전 초청 강연·오후 구두 발표 등의 일정은 변동없다”고 밝혔다. 임시총회 취소에 따라 △ 등록·포스터 부착시간은 9시~9시 30분 △ 개회사는 9시 30분~40분 등으로 진행시간 변동이 이뤄졌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www.mfds.go.kr )가 ‘규제혁신: 아시아 화장품 산업의 동행과 도전’을 주제로 개최하는 ‘2025 원아시아 화장품 규제혁신 포럼’(5월 28일~30일·서울 코엑스 3층 E홀)이 13일 앞으로 다가왔다. 포럼 참가를 위한 사전등록은 개막 하루 전날(27일)까지다. 식약처는 올해부터 ‘원아시아 화장품 규제혁신 포럼’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중동·중앙아시아 국가를 포함한 10국가 규제당국과의 협력회의를 개최하는 등 화장품 관련 규제 외교 내실화에 힘을 싣는다. 특히 식약처는 K-뷰티 해외 진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올해 처음으로 해외 규제당국과 기업 간의 소통과 가교(架橋)를 위한 기업 간담회를 기획, 국내 화장품 기업과 포럼 참가 국가 규제 당국자와의 소위 ‘맞춤형 소통의 장’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 아시아 규제당국 간 협력회의 △ 국가 간 양자회의 등을 통해 아시아 국가 간 화장품 산업 규제 정보를 공유하고 교류를 촉진하는 규제 외교 행사로 성격과 가치를 업그레이드하겠다는 의지다. 포럼 첫째날(5월 28일)에는 화장품 산업의 혁신을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술 등 국내외 전문가의 기조·특별 강연으로 행사의 포문을 연다.
<튀르키예 이스탄불=화장품전문지 공동취재단> 2025 뷰티 이스탄불(BEAUTY ISTANBUL)은 글로벌 수준의 화장품·뷰티 전시회로 급성장, 뷰티 전시회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재확인시켜 주었다. 65국가·1250곳 업체 참가…역대 최대 규모 올해로 6회 째를 맞은 이번 전시회는 지난 8일 튀르키예 투얍국제전시센터에서 63국가·1천250곳의 업체가 참가한 가운데 개막 했다. 역대 최대 규모다. 이들 국가 중 대한민국을 비롯한 프랑스·이탈리아·중국·스페인·인도·인도네시아·UAE·러시아 등 21국가는 국가관 구성을 통해 정부 차원에서 전시회 참가를 지원했다. 중소기업중앙회 사상 첫 한국관 지원 특히 올해 전시회는 사상 최초로 우리나라 정부지원을 끌어냈다는 점에서 눈에 띈다. 한국관 주관사 한국뷰티산업무역회회(KOBITA·회장 김성수)가 중소기업중앙회 유망수출 컨소시엄 사업자로 선정됨에 따라 이 전시회 사상 처음으로 정부지원 한국관을 운영하게 된 것. 한국관 주요 참가업체는 △ 해피엘앤비 △ 미네랄바이오 △ 메조팜 △ 편강율 △ 클래 △ 케이제이 에이치앤비 △ 우신라보타치 △ 미진화장품 △ 나예코스메틱 △ 바움코스 △ 웨이웰 △ 수호글로벌 △ AMI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