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동남아 속 숨은 진주 ‘베트남’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풍부한 잠재 소비자, 미백·색조 강세

중국 대체할 포스트차이나로 주목

 

화장품 세계 시장규모 대비 베트남 시장규모

국내 화장품 업계가 동남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가운데 특히 베트남을 포스트차이나로 지목하고 본격적인 수출 플랜을 가동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풍부한 잠재 소비자, 미백제품의 강세, 색조 시장의 급성장 등 이슈로 인해 포스트차이나로 주목받으며 한국의 주력 수출국으로 떠오르고 있는 베트남 진출과 관련된 내용을 보고했다.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 화장품 시장 규모는 세계 51위로 지난 2011년 약4억4천만 달러에서 연평균 15.8% 성장해 2015년에는 약 7억9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아직 화장품 산업이 초기단계지만 가파른 경제성장과 거대 인구, 인구의 34%에 달하는 19~40세 연령의 잠재 소비자층을 보유한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핵심 수출국으로 성장할 것이 기대되는 시장이라는게 조사 기관들의 평가다.

 

100여개 해외 브랜드가 시장의 90%를 점유할 정도로 베트남 화장품 시장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유니레버, P&G, 존슨앤드존슨 등 상위 20대 화장품 브랜드가 전체 시장의 59.05%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로컬 제조사 제품은 주로 저소득층과 라오스, 캄보디아 등 주변국 수출을 목적으로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 베트남 수출입 높은 성장세 지속

표5. 대 베트남 화장품 수출입 현황(2012-2016)베트남은 높은 경제성장, 자국 화장품 수요 증가, 외국인 투자확대 등의 이슈로 성장잠재력이 높은 시장으로 평가돼 한국 화장품 업계에 포스트차이나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2016년 기준 한국은 베트남으로 7천162만 달러의 화장품을 수출하고 약 92만 달러를 수입했다. 지난 5년간 연평균 수출 28.6%, 수입 77.2%로 수출입 모두 높은 성장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난 2015년에는 베트남 스킨케어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했다.

 

이와 함께 베트남 화장품의 국내 수입은 지난해 대비 335.8%로 큰 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백·색조·오일프리 선호

표2. 베트남 화장품 유형별 시장규모베트남의 화장품·퍼스널 케어 제품 시장은 2015년 7억9천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12.9% 성장했고 이 가운데 스킨케어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32.7%로 꾸준히 성장하는 추세다.

 

AC닐슨에 따르면 베트남은 스킨케어 제품 가운데 미백 제품이 시장의 70%를 차지할 정도로 하얀 피부를 선호하는 추세로 자외선 차단제와 화이트닝 크림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모니터도 피부 미백기능 제품과 피부 미백기능이 없는 제품간의 비율은 최근 7:3까지 격차가 벌어졌다고 보고했다. 베트남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기후환경으로 인해 오일프리(Oil-Free) 제품을 선호하고 있다.

 

표1. 색조화장품의 고급제품과 일반제품 판매비율

이와 함께 베트남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로 색조화장품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중저가 색조화장품의 판매가 지배적이지만 점차 고급 브랜드의 증가폭이 확대되고 있다.

 

재래시장 지고 전문 소매점 뜬다표4. 베트남 화장품 유통채널 점유율베트남 화장품 시장의 성장세에 따라 유통에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형적인 전통재래시장 유통에서 벗어나 화장품 전문 소매점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정보력이 빠른 젊은 세대들이 전문 소매점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채널 점유율은 전문소매점이 전체 유통시장의 38.06%를 차지한데 이어 슈퍼마켓이 18.36%, 화장품 소매점 17.75%, 편의점 12.61%, 백화점(면세점 포함) 5.57%, 드럭스토어 5.11% 순이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