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5.30 (목)

  • 흐림동두천 19.6℃
  • 흐림강릉 20.4℃
  • 흐림서울 22.0℃
  • 흐림대전 22.1℃
  • 흐림대구 23.7℃
  • 흐림울산 19.1℃
  • 흐림광주 21.5℃
  • 흐림부산 19.7℃
  • 흐림고창 20.2℃
  • 제주 21.1℃
  • 흐림강화 18.7℃
  • 흐림보은 20.1℃
  • 흐림금산 20.8℃
  • 흐림강진군 ℃
  • 흐림경주시 21.3℃
  • 흐림거제 19.8℃
기상청 제공

법·제도·정책

한-중 화장품 안전성 평가 연구 교류 물꼬 텄다!

연구원-中 NMPA, 보고서 전체 버전 등 규제 강화 현안 집중 논의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글로벌 차원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이에 따른 규제 강화 움직임이 대세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중국의 해당 부문 상호 교류가 보다 활발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 www.kcii.re.kr ·이하 연구원)과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이하 NMPA)은 지난 16일 ‘한-중 화장품 안전성 평가 연구 상호교류’ 회의를 열고 양 국 간의 현 상황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관련 부문에 대한 정보를 교류했다.

 

이번 회의에는 △ 연구원·식약처 화장품정책과·대한화장품협회(한국) △ 중국 NMPA·화장품감독관리사(중국) 등 두 나라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연구 관련 정부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연구원과 NMPA는 각 기관에서 수행하는 화장품 성분 안전성 평가 현황을 소개하고 현재 이슈 사항라고 할 천연성분 안전성 평가 연구 방법에 대한 논의에 집중했다.

 

특히 지난 4월 30일로 예정했던 중국 화장품감독관리조례 유예기간을 내년 4월 30일(2025년 5월 1일부터 전체 버전 제출)로 연기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화장품에 사용하는 모든 성분에 대한 안전성 평가 보고서 전체 버전 제출 등 중국 정부의 관련 규제 강화 움직임에 초점이 모아졌다.

 

관련해 이재란 연구원장은 “연구원은 화장품 안전성 평가와 관련된 규제 상황을 빠르게 파악하고 대비할 수 있도록 준비태세를 갖추고 있으며 양국의 화장품 산업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 마련과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식약처 관계자 역시 “중국의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가 시행되면서 국내 수출 업계에서는 안전성 평가 자료 작성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적시하고 “그렇지만 이번 회의를 계기로 양 국가의 안전성 평가기술 교류를 강화하고 화장품 업계의 제품 안전 관리 역량을 높이는데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