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새해특집 I-차이나리스크 이후, 새 시장을 연다

  • 등록 2017.12.31 14:03:25
크게보기

① 글로벌 시장 진출 현황과 트렌드

 

2020년 글로벌 시장 5,500억弗…연평균 2.8% 성장

 

성장 잠재력, 亞·태평양 지역이 최고…트렌드는 ‘ABC+4M'

 

2017년은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이었다. 10여 년간을 누려오던 중국 특수가 사드 이슈라는 복병을 만나 차이나리스크로 이어지는 바람에 화장품 산업의 위기론까지 대두되기에 이르렀다. 그렇지만 그 동안 다져왔던 기술경쟁력과 기업의 기본 체력 등을 기반으로 1년이 넘는 기간을 잘 버티면서새로운 도약을 위한 다양한 출구전략을 모색했다. 2018년 새해는 단순히 중국과의 정치·외교적 관계 개선에 따른 중국 수출·단체 관광객(유커)의 방문재개 등에 의존하면서 다시 오로지 중국을 외칠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장 개척의 필요성과 당위성, 그리고 무엇보다 침체돼 있는 내수경기의 진작 등을 통한 성장동력을 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코스모닝은 2018년 새해를 열면서 기획특집으로 글로벌 화장품 시장의 현황과 우리나라 화장품 산업의 진출 상황 등을 냉철히 짚어보고, 새롭게 열어가야 할 시장에 대한 기본적인 진출 전략과 필수사안 등을 가이드하는 의미에서 미국·유럽·아세안·유라시아 지역 등의 화장품 관련 기본 법규와 제도, 인증절차 등을 철저한 실무중심으로 꾸몄다. ‘K-뷰티 제 2의 르네상스를 열게 될 새 시장 진출을 앞두고 기본적인 사안부터 하나하나, 차근차근 준비해 나아가길 기대한다. <편집자 주>

 

1-9면 신년특집-이미지

 

글로벌 화장품 시장 동향        

 

전 세계 화장품 시장은 기초과학과 응용과학, 그리고 문화 등의 요소들이 융·복합하면서 ‘21세기 최고의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으로 규정되고 있는 추세가 뚜렷하다.

 

최근 3년간 연평균 2.1%의 성장세와 함께 4천929억 달러(2016년 기준, 유로모니터 2017년 8월 조사 결과)까지 규모가 확대됐으며 2020년까지는 이전의 성장률보다 더 높은 연평균 2.8%의 성장세가 가속화돼 시장규모는 5천500억 달러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의 주요 배경으로는 △ 경제성장 △ 신흥시장 확대 △ 중산층의 증가 등에 의한 수요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세계화장품시장규모추이

 

유로모니터의 같은 리포트에 의하면 지난 2016년 세계 각 지역별 화장품 규모는 북미·중남미가 34.9%의 점유율과 1천721억7천200만 달러로 최대 시장을 형성했다. 연평균 성장률(2011년부터 2016년 기준)은 2.0%.

 

뒤를 이어 32.4%의 점유율에 1천599억 달러의 규모, 연평균 성장률 3.8%의 아시아·태평양 시장, 세 번째는 1천283억6천400만 달러에 26.0%의 점유율, 그리고 1.6%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인 유럽시장이었다. 그리고 중동·아프리카를 합한 시장이 325억3천만 달러(점유율 6.6%·연평균 성장률 1.9%)였다. 역시 중국의 파워가 여전한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성장세가 가장 높이 나타나고 있다.

 

1-국가별화장품 시장규모

 

1-글로벌화장품 시장 품목별 규모

 

글로벌 트렌드 분석

 

코트라가 제시한 최근 글로벌 화장품 트렌드의 키워드는 ‘ABC(생산·공급)+4M(소비·유통)’이다.

 

△ 액티브 뷰티(Active Beauty): 웰빙과 로하스에 바탕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타깃으로 한다. 방수·자외선 차단·쿨링 기능 제품 등 운동 시 사용 편의성을 중시하고 유럽과 북미를 중심으로 휴대가 용이한 패키징 개발이 강화되고 있는 현상을 보인다.

 

△ 브리스크(패스트) 코스메틱(Brisk(Fast) Cosmetic): 화장품 제조·기획·생산·유통의 주기가 단축되면서 색조화장품의 유행과 제품의 평균 수명이 단축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매 시즌 패션의 영향과 트렌드 변화가 이루어지면서 기분전환용 소모성 제품이 늘어나고 있다.

 

△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화장품과 의료 바이오 기술의 결합이 가속화되고 천연 추출물과 바이오 원료 기반의 고가 기능성 제품의 출시도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 미백과 주름, 피부질환 치료 기능성이 강화되는 트렌드도 나타나고 있다.

 

△ 4M: 미니멀리즘(Minimalism)은 피부부담과 화장품 가짓수를 최소화하는 ‘레스 이즈 베터’(Less is Better) 전략과 함께 이를 제품 홍보 시 핵심 마케팅 포인트로 활용하고 있다. 여기에 가벼운 느낌의 자연스러운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다기능(Multi-functionality) 트렌드는 다기능의 제품과 올인원 제품의 출시가 일반화되면서 화장 소요시간의 단축을 가져오고 있다. 수면을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중국을 중심으로 자외선과 미세먼지를 동시에 차단하는 제품의 강세도 주요 흐름으로 진단할 수 있다.

 

명품의 대중화(Masstige)를 의미하는 매스티지는 일종의 ‘작은 사치’를 의미한다. 좋은 품질에 고급스러운 이미지임에도 합리적인 가격을 추구하는 양상이 뚜렷해진다. 이와 함께 특정 피부를 겨냥한 고기능성 맞춤형 화장품의 출시도 눈여겨 볼만한 트렌드다.

 

멀티 브랜드숍(Multi-brand shop)의 강세다. 새로운 스타일과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행태가 일반화되면서 비교구매가 가능한 멀티 브랜드숍의 고성장은 당분간 유통 부문 최대 화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는 색조화장품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동반돼 새로운 유행과 폭넓은 선택을 가능케 하는 매장의 특성이 극대화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회 요인

 

사드 이슈에 따른 차이나리스크를 겪으면서 앞으로 우리나라 화장품의 수출은 단순한 시장다변화를 외칠 것이 아니라 보다 치밀한 전략수립에 근거한 공략을 전개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즉 현재까지의 수출액에 근거한 일부 국가에 한정할 것이 아니라 수출 잠재력이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공략해야 하며 이를 현실에 대입하면 UAE와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 중동·이슬람 국가의 수출 잠재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미국과 캐나다 중심의 북미지역, 영국과 프랑스 중심의 유럽지역은 선진시장 가운데서도 여전히 블루오션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공략 수위를 높일 가치는 충분해 보인다.

 

이외에도 인도와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은 포화상태가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아시아 국가들 중 공략이 가능한 국가로 분류할 수 있다.

 

<자료 출처·코트라·유로모니터, 자료정리·코스모닝 편집국>

 

 

허강우 기자 kwhuh@cosmorning.com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



PC버전으로 보기

(주)케이비엠 | 서울특별시 마포구 방울내로 11길 23, 제202호(망원동, 두영빌딩) TEL : 02-338-8470 | FAX : 02-338-8471 | E-mail : kbm@cosmorning.com 발행일 : 2016.8.15 | 발행 · 편집인 : 김래수 | 등록번호 : 서울 다 50330 | 등록일자: 2016년 6월 22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52337 |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19년5월15일 사업자등록번호: 315-81-36409 | 개인정보관리 및 청소년보호책임자 : 허강우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