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꽃 금어초, 콜라겐 합성+염증반응 억제 효과

  • 등록 2018.10.11 09:13:54
크게보기

농촌진흥청, 한련화-지방세포 분화억제에 도움 확인화장품 원료 활용 가능

 

 

식용꽃인 금어초와 한련화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금어초는 피부세포의 콜라겐 합성과 촉진대식세포의 염증반응 억제를, 한련화는 지방세포 분화 억제를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꽃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다량 포함돼 있는 것으로 보고돼 있으나 아직까지는 장식 위주로 활용돼 시장 확대를 위해 생리 활성에 대한 과학적 구명과 활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 http://www.rda.go.kr)이 최근 밝힌 바에 따르면 금어초 추출물을 대식세포(RAW 264.7)에 처리한 결과 염증 반응 시 생성되는 산화질소(NO)는 약 57% 줄었다. 이와 함께 관련 단백질(iNOS, COX-2)과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등) 생성도 현저히 억제됐다.

 

비만 쥐에 금어초 추출물을 먹인 결과 혈당이 약 20% 내려갔으며 혈액 내 염증관련 물질인 MCP-1, IL-6, IL-1β도 각각 75%, 86%, 81% 억제됐다.

 

금어초 추출물을 인체피부세포(CCD-986sk)에 처리한 결과 피부 탄력과 주름에 관련 있는 콜라겐분해효소(MMP-1)가 약 30% 줄었으며 콜라겐의 전구물질인 프로콜라겐(procollagen) 생성이 56% 증가했다.

 

한련화 추출물을 쥐에서 분화된 지방전구세포인 3T3-L1 세포에 처리한 결과, 지방전구세포가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급증하는 세포 내 지질의 축적을 약 40% 감소시켰다. 또한 분화와 관련이 깊은 단백질 PPAR-γ, C/EBP-α, SREBP-1의 발현을 각각 약 90%, 71%, 40% 억제했다.

 

한련화 추출물 관련 연구 결과는 해외 학술저널 ‘푸드 & 뉴트리션 리서치’(2017년 61호)에 논문으로 게재됐다.

 

금어초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특허출원(10-2017-0151875)을 완료했으며 화장품 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난해 11월 대한화장품협회에 화장품성분명으로 등록했다.

 

농촌진흥청은 식용꽃에 대해 기능성물질 분리‧동정 중이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최적 열수추출법 등 다양한 가공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능성식품과 김기창 농업연구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국내 화훼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능성·식품소재의 발굴로 농가 부가소득과 국민건강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송상훈 기자 rangsung@naver.com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






















PC버전으로 보기

(주)케이비엠 | 서울특별시 마포구 방울내로 11길 23, 제202호(망원동, 두영빌딩) TEL : 02-338-8470 | FAX : 02-338-8471 | E-mail : kbm@cosmorning.com 발행일 : 2016.8.15 | 발행 · 편집인 : 김래수 | 등록번호 : 서울 다 50330 | 등록일자: 2016년 6월 22일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52337 | 인터넷신문 등록일자 : 2019년5월15일 사업자등록번호: 315-81-36409 | 개인정보관리 및 청소년보호책임자 : 허강우 © 2016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코스모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