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법·제도·정책

2월 화장품 수출 난기류…1월보다 16%↓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중국·홍콩 부진에 직격탄…수출 전략 전면 재점검 필요

 

 

화장품 수출전선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백운규·www.motie.go.kr)가 관세청 통관자료와 무역통계를 기초로 작성해 발표한 2월 화장품 수출실적이 1월보다 15.9%, 전년 같은 기간보다는 3.1% 줄어든 3억9천200만 달러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3월 15일에 있었던 사드 배치에 따른 보복으로 중국 당국이 내린 유커의 전면적인 방한금지령 조치 이후 기록했던 4월의 수출실적 3억5천만 달러(전년대비 3.1% 감소)에 이어 두 번째로 집계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마이너스 성장이다.

 

특히 지난해 화장품 수출은 사드 이슈에 따른 중국 측의 비관세 무역보호 조치에도 불구하고 5월 이후부터 12월까지 매월 전년대비 성장세(최저 4.7%(5월) ~ 최고 33.6%(11월))를 유지해 왔을 뿐만 아니라 지난 1월에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무려 53.3%나 성장한 4억6천1백만 달러의 실적을 보이며 업계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선전을 펼쳐 왔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아세안 국가를 위시해 일본·미국·EU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화장품 수출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중국과 홍콩의 부진이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즉 △ 아세안 2천9백만 달러·14.2% 성장 △ 일본 2천1백만 달러·105.7% 성장 △ 미국 2천1백만 달러·14.4% 성장 등이었으나 중국은 7천3백만 달러로 34.2% 감소했고 홍콩은 4천9백만 달러로 36.3% 감소하는 등의 부진을 면치 못했다.

 

산업부는 지난달 화장품 수출의 이 같은 감소세는 설날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감소가 감소했다는 점을 비롯, 메이크업 제품·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 한 중국과 홍콩 등 중화권 수출이 감소함으로써 지금까지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전월·전년대비 역신장을 극복하지 못했던 것으로 평가했다.

 

특히 지난해 말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 이후 양국의 정치·외교 갈등이 일정 부분 해소됐고 화장품 수출 등과 관련한 문제들도 해결기미를 보이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국내 화장품 업계로서는 이번 실적이 다소 ‘충격적’으로 다가오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지난해 5월 이후부터 월별 수출성장률(전년 동기 대비)이 4.7%(5월) → 15.8%(6월) → 7.4%(7월) → 13.5%(8월) → 26.5%(9월) → 2.3%(10월) → 33.6%(11월) → 23.2%(12월)에 이르기까지 다소 부침은 있었지만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이 10개월 만이라는 점도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화장품 업계 수출 담당 관계자들은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지난 한 해 동안 줄곧 외쳐왔던 해외시장 다변화에 대한 결실을 벌써 기대한다는 것은 성급하고, 결국 전체 수출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과 홍콩에서의 부진은 전체적인 수출 부진과 직결된다는 현실을 인정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분석하고 “다만 한중관계의 회복이 아직 공식적으로는 선언되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그렇게 되더라도 체감할 수 있는 회복세는 적어도 3~6개월 정도 지나야 할 것이라는 점 등을 감안하면서 다시 면밀하게 전략을 점검해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