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앤레스토랑 뉴스레터 신청하기 일주일 그만보기 닫기

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업인사/기업정책

아모레퍼시픽그룹, 3분기 화장품 매출 9499억 원

전체 1조218억 원으로 전년 동기 15.9% 감소…영업이익 330억 원·36.2%↓

 

☞코스모닝 뉴스레터 구독하기 검색창에 '코스모닝'을 쳐보세요.

 

아모레퍼시픽그룹(회장 서경배) 올해 3분기 매출은 1조21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33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매출액 감소율보다 두배 이상 큰 36.2%가 줄어든 것이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달 31일 공시를 통해 이같이 경영실적을 발표했다. 회사 측은 “3분기 악화한 국내외 경영환경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에 직면했다”고 전제하면서 “중국 소비 둔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의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사업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북미 시장에서 전년 대비 2배 가까운 매출 확대를 이뤘고 아세안과 유럽 시장에서도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이어갔다”고 자평했다.

 

이와 함께 “주요 자회사도 대부분 매출과 이익이 성장, 사업 체질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줬으며 이 기간 그룹 전체의 화장품 부문 매출은 9천499억 원이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국내 사업, 면세 채널 부진이 직격탄

국내 사업은 면세 채널 부진의 영향으로 18.6% 하락한 5천87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면세 등 수익성이 높은 채널의 매출이 하락하면서 영업이익도 감소했다.

 

다만 순수 국내 e커머스 채널 화장품 매출은 10% 이상 증가, 디지털 전환을 위해 추진한 성과가 확대했다는 점이 위안거리다.

 

설화수는 글로벌 브랜드 캠페인 ‘설화, 다시 피어나다’와 ‘윤조에센스 백자 에디션’ 출시 등으로 새로운 도약 기반을 다졌다. 라네즈는 ‘메종키츠네’와 협업한 두 번째 한정판 출시를 통해 호응을 이끌어내는 등 차별화 브랜드 경험을 제공했다.

 

북미시장 확대 성과가 향후 기대감 높여

해외 사업 부문의 경우 중국 소비 둔화의 여파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이다. 즉 아시아 지역 매출 하락과 직결되면서 전년 대비 12.8% 감소한 3천348억 원의 매출에 그쳤다.

 

그렇지만 중국을 제외한 기타 아시아 시장에서는 설화수·라네즈·이니스프리 등 주요 브랜드가 선전, 약 20%에 이르는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아모레퍼시픽 측은 “무엇보다 올해 내내 이어진 북미 시장의 성과가 더욱 커졌다”며 “주요 브랜드의 경쟁력이 강화하면서 이 시장 전체 매출이 97% 성장했다. 유럽에서도 라네즈의 가파른 매출 증가와 이니스프리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전체 매출이 60% 늘었다. 라네즈 네오 쿠션을 새롭게 내놓은 일본 시장 공략 수위도 본격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니스프리·에뛰드, 흑자전환

주요 자회사들의 실적도 나왔다. 이니스프리는 ‘레티놀 시카 흔적 앰플’ 등 대표 상품을 중심으로 온라인 매출이 확대, 매출 성장과 흑자 전환을 이뤄냈다. 에뛰드는 면세 채널 철수의 영향으로 전체 매출은 소폭 하락했지만 채널 믹스 개선을 통해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에스쁘아는 페이스 메이크업 카테고리 중심으로 매출이 늘며 영업이익은 큰 폭의 확대를 보였다. 아모스프로페셔널 역시 염모&펌 카테고리 품질 강화와 거래 살롱 확대 등에 기반,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성장세를 기록했다.

 

회사 측은 “올해 ‘위닝 투게더’ 경영 방침 아래 △ 강한 브랜드 △ 디지털 대전환 △ 사업 체질 혁신 등 3대 전략을 실행 중이다. 강한 브랜드 완성을 위해 △ 엔진 상품 육성 △ 데이터 기반 고객 대응 강화 △ 더마와 웰니스 등 잠재력 있는 비즈니스의 확장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고 “디지털 대전환과 관련해 커머스·콘텐츠·커뮤니티 역량 강화로 팬덤을 구축하고 디지털 기술을 통한 미래 성장 기반 확보에 주력할 방침이다. 사업 체질 혁신을 위해 데이터 기반 재고관리 최적화와 공감 기반 ESG경영 강화 역시 지속 실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