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마그룹 지주사 콜마홀딩스가 자회사 콜마비앤에이치를 생명과학 전문기업으로 전면 리포지셔닝, 그룹 내 핵심 계열사로 재정비하기 위한 작업에 나섰다.
콜마홀딩스의 이같은 조치는 콜마비앤에이치가 지난 수 년간의 실적 부진과 미래 전략 부재로 그룹 내 본연의 역할을 상실했다는 판단에 기반한다.
관련해 콜마홀딩스 측은 “콜마비앤에이치에 대한 리포지셔닝은 누적된 경영 실패를 바로잡고 생명과학 중심의 고부가가치 사업으로 체질을 전환하기 위한 그룹 차원의 근본 경영 쇄신 조치”라고 밝혔다.
“현 경영진으로는 미래 지속가능 성장 불가”
콜마홀딩스가 콜마비앤에이치 재정비에 나서는 이유는 현재 경영진으로는 지속가능한 미래 성장 동력 발굴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콜마비앤에이치는 △ 최근 5년간 실적 △ 시가총액 △ 주가 등 주요 경영 지표에서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
지난 2020년 별도기준 956억 원이었던 영업이익은 지난해 기준 239억 원으로 75% 급감했다. 영업이익률도 17.8%에서 5.1%로 큰 폭의 감소를 겪었다. 시가총액 역시 2020년 8월 기준 2조1천242억 원에 달했지만 불과 5년여 만에 4천259억 원(25년 6월30일 기준)으로 줄었다. 같은 기간 7만 원 대에 달했던 주가는 1만 원 대로 주저 앉았다.
그룹 내 ‘나홀로 역성장’ 계열사
콜마비앤에이치는 최근 그룹 내에서 유일하게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하락한 계열사다. 화장품 사업을 맡고 있는 한국콜마의 별도 기준 매출은 지난 3년간 46% 성장, 영업이익은 77% 성장했다.
의약품 사업의 HK이노엔 역시 매출 6%, 영업이익 68% 성장을 기록하며 급성장 곡선을 그렸다. 반면 건기식 부문의 콜마비앤에이치는 같은 기간 △ 매출 7% △ 영업이익은 60% 줄어 그룹 내 ‘나홀로 역성장’한 계열사가 됐다.
올해 1분기 실적에서 △ 한국콜마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 △ HK이노엔은 47% 증가한 반면 △ 콜마비앤에이치 영업이익은 53% 감소, 유일하게 하락세를 보였다.
그룹 계열사 전체가 성장하는 와중에 홀로 정체하고 있는 콜마비앤에이치의 한계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렀다는 분석은 이러한 실적에 근거하고 있다.
콜마홀딩스는 콜마비앤에이치의 실적 악화가 외부 환경보다는 최고 경영자의 한계와 미래 비전 부재에 있다는 분석을 내린 정황이 뚜렷하다.
즉 콜마비앤에이치의 내부 경영 한계가 장기화되는 상황 속에서 건기식 산업 내 주요 경쟁 기업들은 실적 개선 지속과 수출 확대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
“근본 변화 없이 회복 없다”…전면 쇄신 통해 미래 경쟁력 강화
콜마홀딩스 측은 “콜마비엔에이치 위기의 본질이 명확한 만큼 근본 변화 없이는 회복도 없다고 판단하고 콜마비앤에이치의 경영 정상화와 쇄신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신규 사내이사를 선임하는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경영 쇄신의 핵심은 생명과학 중심의 사업 구조 전환과 R&D 중심 경쟁력 확보, 그리고 전문경영인 체제의 복원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콜마홀딩스 관계자는 “콜마비앤에이치는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주도하며 그룹 내에서 화장품·의약품과 함께 3대 축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그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결과를 보여줬다”며 “이번 리포지셔닝을 통해 생명과학 사업의 핵심 기업으로 다시 태어나도록 전면 쇄신을 추진할 것이며 단기 차원의 실적 회복을 넘어 시장 신뢰 회복과 그룹 미래 경쟁력 강화의 분기점으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관련 기사: 1. 코스모닝닷컴 5월 16일자 ‘콜마홀딩스 “혈연 아닌 주주가치 제고 원칙 지킬 것”’ https://www.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50491 2. 코스모닝닷컴 6월 18일자 ‘윤동한 회장, 윤상현 부회장 상대 지분 반환 소송’ https://www.cosmorning.com/news/article.html?no=50710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