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닝은 ICT 플랫폼 컨설팅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주)이젬코와 공동으로 지난 2022년과 2024년, 두 차례에 걸쳐 화장품 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구축 성공사례 기업을 발굴하고 이들 기업이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해 거두고 있는 생산현장에서의 성과와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 도입을 통해 추진해 나아가고 있는 미래 화장품 생산공장의 모델을 제시하는 기획을 모두 23회 연재했다.
화장품을 포함해 식품·의약품 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솔루션·프로그램·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 (주)이젬코는 △ ICT 플랫폼 컨설팅 △ PLC와 IoT(사물인터넷)를 활용한 자동화설비 △ 자동제어 등의 부문의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화장품 산업의 스마트팩토리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에는 특히 부처협업형 사업으로 대한화장품협회와 스마트제조혁신협회가 스마트팩토리 구축지원사업 공동 수행기관으로 이를 진행했으며 2026년에도 이어갈 예정이다. ‘코스모닝-(주)이젬코 공동 기획 시즌3’ 연재는 이번호 한국기능성화장품연구센터를 마지막으로 종료한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편집자 주>

(주)한국기능성화장품연구센터는 회사명 그대로 ‘고기능성 화장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에 핵심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 △ 고농도 비타민C 안정화용 화장료 조성물 △ RX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등 다양한 특허와 연구 노-하우를 기반으로 각 원료의 유효 효능 농도 데이터를 활용, 다양한 콘셉트와 처방을 제안할 수 있다.
△ 고효능 클린 더마 화장품 개발 △ 마이크로 니들 플랫폼을 활용한 피부 침투 제품 △ 자체 보유 소재 개발 기술에 입각한 고객사 만족을 실현한다.
(주)한국기능성화장품연구센터는 (주)이젬코와의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진행하면서 납품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SCM을 구축, 업무 효율성과 협업 향상을 꾀했다.
칭량 관리 시스템에 의한 자동 칭량이 가능해져 입고 시 부착한 원료 라벨 바코드 리딩으로 오차 예방과 각 LOT 별 관리 효율성도 크게 증대할 수 있었다.
벌크 제조 시스템은 가마 PLC 연동으로 실시간 제조 데이터(시간·온도·RPM) 자동 집계와 품질 안정성 확보 효과를 가져왔다. 충·포장 관리 시스템을 위해 현장 키오스크를 배치, 실적과 불량 수량 관리의 효율성을 실현했고 충전·포장 지시·기록서 생성 자동화에 따른 생산·업무 효율 향상 효과도 얻었다.
실적 처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시간 생산실적 모니터링이 가능해져 공정 이슈 파악과 실시간 즉각 대처가 이뤄질 수 있었던 것은 모니터링 시스템의 도입 덕분이라고 할 수 있다.
창고 관리 시스템도 혁신했다. 창고별 입·출고 시 바코드 라벨 리딩으로 자재 위치 파악은 물론 재고관리 효율성이 증대, 비용 감소 효과로 이어졌다.
성분 클라우드 시스템은 처방 기준 국가별 금지·한도 성분을 클릭 한 번으로 검증해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업무 시간 단축도 실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