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상반기 올리브영 매장에서 외국인 매출 비중은 26.4%로 나타났다.
엔데믹이 시작된 2023년 상반기까지 외국인 매출 비중은 한자릿수에 그쳤다. K-뷰티의 글로벌 열풍과 함게 외국인 매출은 꾸준히 증가했다. 2025년 2분기 들어 사상 처음으로 30%까지 확대됐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10명 중 8명이 올리브영을 찾고 있다. 한국관광데이터랩 집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방한 외국인은 720만6700명이다. 이 기간 올리브영에서 구매한 외국인 고객 수는 596만2700여명으로 80%를 넘었다.
올리브영은 급증한 외국인 관광객에 맞춰 매장을 운영했다. 서울 명동·홍대·강남 등지와 부산‧ 제주 등 전국 110여개 매장을 ‘올리브영 글로벌관광상권’으로 지정해 특별 관리한다. 영어‧일본어‧중국어 가능 직원을 두고, 상품명‧행사 정보를 영문으로 병기해 쇼핑 편의성을 높였다. 아울러 외국인 고객이 즐겨 찾는 제품을 집중 배치했다. 카드‧호텔·항공업계와 제휴해 프로모션을 강화했다.
주요 매장에서 ‘부가세 즉시환급’ 서비스도 시행한다. 여권을 지참한 외국인이 1만5000원 이상 구매 시 세금을 제외한 금액으로 결제한다.
외국인을 위한 K뷰티 컨설팅도 호평을 얻고 있다. 이달 초 문을 연 ‘올리브영 센트럴 강남 타운’에 퍼스널 쇼퍼 서비스를 도입했다. 이는 45분 동안 외국인 관광객에게 매장을 안내하는 제도다. 개인별 피부‧두피‧퍼스널컬러 진단을 제공한다.
올리브영 지역 특화매장을 찾는 외국인도 많아졌다. 한옥 디자인을 적용한 ‘경주황남점’, 올해 개점한 제주 용담점, 강릉타운점 등은 관광 랜드마크로 부상했다. 앞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단은 경주황남점을 찾아 올리브영의 ‘K뷰티 도슨트’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외국인에게 K-뷰티를 소개하는 ‘글로벌 K뷰티 게이트웨이’ 역할을 맡고 있다. 유망 브랜드를 발굴해 K-뷰티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전략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