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장품미용학회(회장 조선영)가 오늘(30일) 서울 미아동 성신여자대학교 운정그린캠퍼스 중강당에서 ‘제29회 춘계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The Next Step of K-Beauty’를 주제로 진행됐다. K-뷰티의 글로벌 확장과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을 공유하고 미래 방향성을 모색했다. 학회에서 발표된 논문·강의 주제는 △ K-뷰티의 글로벌 리더십 확립을 위한 전략 △ 화장품 소재 연구 △ 소비자 행동 분석 △ 뷰티 서비스의 공정성과 진정성 등 다양하게 제시됐다. 이날 김주덕 성신여대 뷰티융합대학원장(뷰티산업학과 학과장)은 ‘K-뷰티의 글로벌 리더십과 확산을 위한 미래 전략’ 특강을 펼쳤다. 이어 △ 미용 목적의 세포외 소포체에서 miRNA의 특성과 기능 분석(양성욱 연세대 교수) △ 글로벌 K-뷰티 수출 혁신 : 플랫폼 활용과 바이어 트랜드 분석(최윤정 알리바바닷컴 매니저) 등이 발표됐다. 논문 발표에선 △ 중국 MZ세대 여성의 K-Culture 관심도와 선호도가 한국 화장품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직무소진 구성개념 분석 △ 진정성을 기반한 미용 서비스 회복 공정성이 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튜브 뷰티 인플루언서 특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산업학과가 5월 28일(수)부터 6월 4일(수)까지 ‘제12회 졸업전시회’를 개최한다. 서울 미아동 성신여대 운정그린캠퍼스 B동 지하1층 4전시실에서다. 이번 전시에선 뷰티아티스트 37명이 ‘숨(呼吸, Breath)’을 주제로 한 작품 111점을 선보인다. 뷰티산업학과 재학생들은 6개월 동안 작품에 예술적 감성을 불어넣었다. 존재와 삶,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 대한 고민을 ‘숨’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풀어냈다. 작품은 뷰티와 예술을 넘어 깊이있는 철학적 메시지를 던진다. 특히 올해는 XR(확장현실) 기술과 생성형 AI ‘미드저니’(Midjourney) 등을 작품에 접목했다. 첨단 기술을 활용해 숨에 대한 추상적인 사유를 구체화했다. 철학 개념을 독창적인 시각언어로 표현하며 뷰티아트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다. 관람객들은 작품을 보며 형태 없는 숨의 존재를 느끼고, 창작자들의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새로운 예술적 영감을 얻을 수 있다. AI 생성 이미지를 활용한 영상 워킹필름은 창작 과정을 고스란히 보여주며 작품 이해를 돕는다. 뷰티산업학과 졸업전시회 지도교수들은 “이번 전시는 메이크업을 기술에서 예술로 확장한 결과물이다. 메이크업은 인간과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산업학과가 16일 서울 미아동 운정그린캠퍼스 C동 615호에서 ‘제6회 졸업논문 발표회’를 개최했다. ‘제6회 졸업논문 발표회’에선 뷰티산업 트렌드와 발전 전략을 조망하고, 졸업 예정 학부생들의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이날 이성근 성신여대 총장, 김주덕 뷰티산업학과장(뷰티융합대학원장), 문윤경 생활산업대학장 등이 축사를 맡았다. 이들은 세계 뷰티산업의 혁신을 선도할 인재들의 노력과 도전을 격려했다. 이어 한지수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 교수가 개회사에서 “이번 졸업논문 발표회는 학문적·산업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학생들의 창의적 연구 성과는 뷰티산업 발전을 위한 중요 자원이다”고 말했다. 올해 발표회에서는 뷰티산업학과 4학년 24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뷰티산업에 대한 △ 지속가능성 △ 소비자 트렌드 △ 혁신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제시했다. 학술연구와 실무 적용성을 결합해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이번 졸업논문은 김주덕 학과장을 비롯해 박초희 교수, 신정원 교수, 서현우 교수, 김슬기 교수가 지도했다. 뷰티산업학과 교수진이 1·2차 논문 심사를 실시했다. 박초희 뷰티산업학과 교수는 학생들의 연구 성과가 뷰티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도록
성신여자대학교(총장 이성근) 뷰티산업학과가 16일(금)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서울 미아동 운정그린캠퍼스 C동 615호에서 ‘제6회 졸업논문 발표회’를 개최한다. 이번 졸업논문 발표회에서는 뷰티산업학과 24명이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최신 뷰티산업 트렌드와 지속가능성 이슈를 집중 조망할 예정이다.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는 5월 28일(수)부터 6월 4일(수)까지 운정그린캠퍼스 B동 지하1층 4전시실에서 졸업작품 전시회를 연다. ‘숨(呼吸, Breath)’을 주제로 한 논문 포스터와 실물 프로젝트 결과물을 공개한다. 김주덕 성신여대 뷰티산업학과장‧뷰티융합대학원장은 “학부·대학원·산업계 전문가가 한자리에 모여 뷰티산업 동향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학생들의 창의적인 연구가 뷰티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지수 뷰티산업학과 교수는 “MZ세대의 소비 감각과 ESG 관점을 결합한 연구가 다수 발표된다. 지속가능 뷰티의 미래 전략을 확인할 기회다”고 전했다. 박초희 졸업논문 발표회 지도교수는 “논문뿐 아니라 포스터 전시를 병행해 시각적 이해를 높였다. 학생들은 연구 과정에 뷰티산업의 실무 적용성과 문제해결 가능성을
헤어살롱 브랜드 아모스프로페셔널가 2025년 봄·여름 화보를 공개했다. 이번 화보는 이재영 라브 원장과 함께 제작했다. ‘Kick’을 주제로 삼고 무언가 절묘하게 맞아떨어졌을 때 느끼는 쾌감과 스릴을 표현했다. 영국을 배경으로 헤어·의상·포즈의 킥을 담았다. 소녀들의 킥킥대는 웃음 소리가 생기를 불어넣는다. 아모스프로페셔널은 화보에 세가지 컬러 스타일을 담았다. △그레이즈(Greige) △ 라벤더 베이지(Lavender Beige) △ 메탈릭 실버(Metallic silver) 등이 세련된 분위기를 자아낸다. 아모스프로페셔널 S/S 룩 부은 브랜드 홈페이지(www.amosprofessional.com)에서 볼 수있다.
한국미용건강총연합회중앙회(회장 쟈니리)가 5월 30일 부산상공회의소 2층에서 '2025 제16회 월드뷰티페스티벌 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에서는 △ 월드뷰티국제미용기능경기대회 △ 세계속눈썹선수권대회 △ 월드페이스아트마스터선수권대회 △ 월드뷰티국제작품공모전 등이 열린다. 화장품·미용·건강용품 전시회도 진행된다. 대회는 중고등부·대학부·일반부로 나눠 치러진다. 대회 종목은 헤어·SMP·두피관리·피부미용·메이크업·네일·속눈썹·스킨아트·왁싱제모 등이다. 한국미용건강총연합회중앙회는 대회 선수들에게 고용노동부 장관상, 한국산업인력공단이시장상, 국제기능올림픽대회한국위원회장상, 국회의원 표창 등을 수여한다. 대회 신청서는 4월 30일(수)까지, 작품은 5월 10일까지 접수한다.
한국피부미용사회중앙회가 6일 서울 구수동 본회에서 ‘제19차 정기총회’를 열고 조수경 회장을 7대 중앙회장으로 재추대했다. 조수경 회장은 7대 회장 선거에 단독 출마했다. 정기총회에 참석한 대의원은 만장일치로 조 회장의 연임을 확정했다. 조 회장은 보건복지부가 한국피부미용사회를 ‘사단법인 한국피부미용사회중앙회’로 승인한 2007년부터 수장을 맡았다. 1대부터 6대 회장을 거쳐 7대 회장에 다시 올랐다. 이날 협회는 현 신숙희 감사와 김은형 충북지회장을 제10대 감사로 선출했다.
김민경 한국케엠케색채연구소 대표가 9일 ‘AI 활용한 퍼스널컬러 진단 시스템 연구개발’을 주제로 강연했다. 이 강연은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넥서스리조트에서 열린 ‘제5회 국제과학기술정책 워크숍’에서 실시했다. 워크숍은 아주대학교 과학기술정책대학원과 영국 서섹스(Sussex)대학이 공동 주최했다. 김민경 대표(대한민국감성색채디자인협회 회장)는 강연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해 개인에게 맞는 컬러를 찾는 방법을 제시했다. 대한민국 1호 컬러리스트이자 색채화가인 그는 뷰티 패션 산업에서 퍼스널컬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김민경 대표는 퍼스널컬러 진단 시스템을 소개했다. AI를 사용해 객관적인 퍼스널컬러 톤을 빠르고 정확하게 찾는 프로그램이다. 김 대표가 얼굴인식 전문가, AI 프로그래머, 컬러리스트 등과 공동 연구 개발했다. 퍼스널컬러 진단 시스템을 사용하면 인물사진 한 장으로 베스트 퍼스널컬러를 알아볼 수 있다. 전문가의 도움 없이 컬러 진단이 가능하고, 시간과 돈을 절약한다는 점에서 실용성을 인정 받았다. 소비자가 퍼스널컬러를 인지하고 쇼핑을 하면 만족도도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김민경 대표는 “현대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뷰티‧패션‧인테리어‧공간디자인 등에 관심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