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키워드 : AI, 트렌디어, 트렌디어AI부트캠프, 트렌디어AI, AI팩토리, 트렌디어AI교육 KEY : 뷰티기업 생산성 100배 높이는 AI 활용법 AI 팩토리, 고품질 데이터 & 실행속도가 좌우 ‘AI 기반 업무 자동화’ 구축 Tip ‘트렌디어 AI 데이터’로 글로벌 전략 수립하기 ‘AI 거짓말’ 막는 정제된 데이터 찾기 “트렌드를 읽는다고 해서 100% 성공을 보장할 수는 없다. 하지만 트렌드를 읽지 못하면 100% 실패는 보장할 수 있다.” 경영의 대가 피터 드리커의 말이다. ‘트렌드’를 ‘AI’로 바꿔보면 어떨까. AI라는 파도는 우리의 턱밑까지 밀려들어왔다. 파도는 매번 다른 모양과 강도로 다가올 것이다. ‘대 AI 시대’, AI라는 파도 위에 올라타야 한다. 급변하는 뷰티시장을 초 단위로 분석하고, 수치 기반 데이터로 예측하고, 글로벌 전략을 제시하는 힘. AI에 달려있다. 우리가 AI를 ‘나의 완벽한 비서’처럼 가까이 둬야 하는 이유다. AI 팩토리 개념 제시한 ‘트렌디어 AI 부트캠프’ 메저커머스가 뷰티시장에 특화된 ‘트렌디어 AI’ 프로그램을
대화형 AI를 접목한 ‘트렌디어 AI 어시스턴트’가 탄생했다. 뷰티&헬스 분석기업 트렌디어(대표 손정욱,천계성)는 AI 어시스턴트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트렌디어 AI 어시스턴트는 뷰티&헬스 시장의 트렌드를 분석한다. AI에 간단한 명령어를 입력하면 뷰티 부문별 세부 정보를 제공한다. ‘일본 Qoo10(큐텐) 소비자가 가장 많이 언급한 한국 스킨케어 성분 키워드는?’ ‘상반기 미국 아마존에서 뜬 선케어 10개는?’ 등 구체적인 질문을 하면 리포트를 자동 생성한다. 시장 데이터와 차트를 포함해 업무용 보고서는 활용가치가 높다는 설명이다. 트렌디어는 AI 어시스턴트가 챗GPT나 구글 정보보다 정확하다고 강조했다. 연 4천억 건의 다국적 이커머스 데이터를 생성형 AI 모델에 학습시켜 데이터의 적합성을 강화했다. 자체 기술로 개발한 알고리즘을 통해 상품 세부정보와 구매 리뷰를 AI에게 전달한다. 이커머스 플랫폼30개의 데이터를 하루 단위로 분석한다. 트렌디어는 지난 5월 29일 열린 ‘코스모뷰티 2024’에서 AI 서비스를 공개했다. 뷰티업계 종사자 3백명과 20개국 해외 바이어를 대상으로 삼았다. 이 회사는 국내외 주요 고객사를 중심으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