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9주년 특집을 기획하며 K-코스메틱·뷰티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는 전문 언론으로 위상을 정립한 코스모닝이 창간 9주년을 맞이했다. 코스모닝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트렌디어와 함께 ‘글로벌 화장품 시장 Review&Preview’ 기획을 통해 글로벌 시장 전체를 조망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이번 특집 기획은 글로벌 시장은 물론 최근 들어 K-뷰티의 위세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특정 국가(미국·일본)의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편집자 주> 美 페이셜 클렌저 시장-젠더 뉴트럴 브랜드 강세 미국 클렌저 시장은 2024년 약 33억 달러로 2033년에는 약 153억 달러를 형성할 전망이다. 미국 소비자들의 피부건강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고, 민감성 피부가 늘면서 클렌징 시장은 계속 커지고 있다. 소비자는 피부 상태에 맞는 세분화된 클렌저를 찾으며, 젊은 층은 여드름에 대처하는 제품을 선호한다. 남성 클렌징 시장도 빠르게 성장 중이다. MZ세대는 SNS에서 입소문 난 클린뷰티·다기능 제품을 선호한다. 중장년층의 경우 항노화·보습·주름 개선 기능이 있는 클렌저를 구매한다. 중성적 디자인과 향으로
창간 9주년 특집을 기획하며 K-코스메틱·뷰티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는 전문 언론으로 위상을 정립한 코스모닝이 창간 9주년을 맞이했다. 코스모닝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트렌디어와 함께 ‘글로벌 화장품 시장 Review&Preview’ 기획을 통해 글로벌 시장 전체를 조망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이번 특집 기획은 글로벌 시장은 물론 최근 들어 K-뷰티의 위세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특정 국가(미국·일본)의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구성했다. <편집자 주> 클린뷰티 & 내추럴 포뮬러의 부상 글로벌 클렌징 부문에서는 클린뷰티와 내추럴 포뮬러가 부상했다. 소비자는 성분의 투명성은 제조부터 폐기 과정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중시한다. 클렌징밤·클렌징오일의 강세 속에 팩클렌저와 클렌징젤이 새로운 품목군으로 떠올랐다. 클렌징에서도 민감성 피부를 위한 저자극·약산성 제품이 강세다. ‘오일 클렌저→워터 베이스 클렌저’ 루틴은 한국식 클렌징법으로 인기다. 클렌저와 AI 뷰티기기를 결합한 초개인화 맞춤형 클렌징 시장도 커지고 있다. 올리브영 : 바이오던스·맥스클리닉·땡큐파머 강세 올 상반기 올리브영에서 클렌징 제품
네이처리퍼블릭이 ‘내추럴 메이드 클렌징 밤’ 4종을 선보였다. 피부 상태별 맞춤 케어를 제공한다. 딥클렌징과 마사지를 동시에 해결하는 것이 특징이다. ‘내추럴 메이드 클렌징 밤’은 메이크업 각질 노폐물을 깨끗하게 제거한다. 고체 밤(balm)이 부드러운 오일로 변하면서 자극없는 클렌징 효과를 선사한다. 파파야열매 비누풀잎 동백나무꽃 추출물이 피부를 진정시키고 촉촉함을 남긴다. 이 제품은 △ 차콜 △ 아르간 △ 코코넛 △ 캐모마일 등 4종으로 나왔다. ‘블랙 차콜 클렌징 밤’은 숯가루 성분을 담았다. 피지 흡착과 노폐물 제거에 도움을 준다. 피부를 맑게 가꿔주고, 진한 화장까지 말끔히 지운다. ‘모로코 아르간 클렌징 밤’은 모로코산 아르간커넬오일을 함유했다. 피부 수분 장벽을 지키며 영양을 공급한다. ‘블루 캐모마일 클렌징 밤’은 프랑스산 캐모마일꽃 추출물이 들어있다. 피부를 부드럽고 편안하게 한다. ‘코코넛 클렌징 밤’은 코코넛야자열매 추출물로 제조했다. 피지를 관리하고 풍부한 보습감을 부여한다. 네이처리퍼블릭 측은 “새해를 맞아 스킨케어 루틴을 재정비하는 이들이 늘었다. 클렌징은 스킨케어의 시작이다. 피부에 맞는 제품을 선택해 꼼꼼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말
국내 여성 2명 중 한명은 클렌징이 피부건강에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이들은 트러블 케어가 필수라고 여기며, 진정제품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저자극 클렌징’, ‘딥클렌징’, ‘맞춤형 클렌징’이 대세로 떠올랐다. 코로나19가 일으킨 변화다. 이는 AHC가 발표한 ‘2020 대한민국 클렌징 트렌드 리포트’에서 밝혀졌다. 보고서는 성인 남녀 3천790여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다. 소비자들은 코로나19 시대를 맞아 이전보다 클렌징이 위생과 피부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고 답했다. 메이크업 잔여물은 물론 모공 속까지 더 꼼꼼히 세안하고 싶다고 전했다. 클렌징 제품에 바라는 속성 1위는 저자극 성분(49.1%)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하면서 피부 자극‧트러블을 고민하는 소비자가 늘었다. 클렌징 빈도가 늘면서 피부에 자극을 적게 주는 클렌징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이후 피부 관리 방식에 변화가 있냐는 질문에 49.6%의 응답자가 ‘트러블 케어가 필요해졌다’고 답했다. 48.2%는 ‘진정케어가 되는 제품을 사용하기 시작했다’고 응답했다. 코로나19 이전보다 ‘딥클렌징’에 대한 니즈가 높았다. 코로나19 확산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