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표준인증원(대표 전재금)이 수출바우처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됐다. 수출바우처 사업 수행 분야는 △ 국제표준인증(ISO‧GMP 등) △ 비건(EVE VEGAN, weVegan) △ 할랄(HALAL) △ FDA OTC △ MoCRA △ CPNP △ Dermatest 등이다. 이 회사는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해외 인증과 인허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인증‧인허가 전문 컨설팅을 바탕으로 맞춤형 수출 전략을 제시한다는 목표다. 수출바우처 사업은 중소벤처기업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가 공동 주관한다. 수출기업에 필요한 서비스를 바우처 형태로 지원하는 정부 프로그램이다. 전재금 글로벌표준인증원 대표는 “국내 뷰티기업이 해외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도록 각종 인증 업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지원할 예정이다. 다양한 해외 인허가와 제품 인증 서비스를 통해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K-뷰티 미국 진출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해외인증 지원한도를 40% 늘리고, 온라인 마케팅을 강화한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는 2일 서울 성수동 올리브영N에서 ‘K-뷰티 중소·벤처기업 글로벌 진출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을 발표했다. 중기부는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위해 △ 신시장 진출 3대 역량 강화 △ 수출 유망기업 발굴·육성 전략을 수립했다. 미국 관세조치에 대응하는 상담·대응체계도 세웠다. 해외시장 특화 상담·대응 체계 수립 중기부는 화장품 관세 대응 자문단을 구성한다. 관세 AI 챗봇 상담을 시작한다. 중기부 해외수출규제대응지원사업을 운영하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내에 자문단을 꾸린다. 자문단은 관세사와 화장품협회 전문가 등으로 구성한다. 아울러 카카오톡 AI 챗봇 상담 시스템을 도입한다. 미국 관세부과 절차와 원산지 증명 등을 안내할 계획이다. 이달부터 화장품 관세정책 설명회를 총 15회 개최한다. 관세청은 화장품 원산지 증명 발급절차를 국내 제조 확인서 등으로 간소화한다. ‘K-뷰티 온라인 마케팅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K-뷰티 브랜드와 미국 인플루언서를 연결하는 등 글로벌 마케팅을 확대한다. 올리브영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권오정)이 경남 양산지원을 개원했다. 화학융합시험연구원 양산지원은 경남 유산공단 내 양산산단 혁신지원센터에 자리 잡았다. 10일부터 시험접수와 상담 업무를 시작했다. 양산지원은 △ 시험 인증 서비스 △ 해외인증 대행 △ 기술 컨설팅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경남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정부 지원사업인 △ 중소벤처기업부‧경남테크노파크 등 해외규격인증획득 △ 기술규제 해결형 시험‧인증 △ 연구장비 공동 활용 △ 산학연과제 등에 참여하도록 돕는다. 권오정 화학융합시험연구원 원장은 “경남 서북부 지역 중소기업은 양산지원에서 편리하게 시험인증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원장 권오정)이 국제시험인증컨소시엄(ITCC)을 구축했다. 한국 중국 멕시코 아랍에미리트 베트남 러시아 6개국의 시험 인증기관이 참여했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 중국 세프레이(CEPREI) △ 멕시코 니세(NYCE) △ 아랍에미리트 프라임그룹(PRIME GROUP) △ 베트남 쿼서트(QUACERT) △ 러시아 로스테스트(ROSTEST) 등과 다자간 업무협약을 맺었다. 아랍에미리트 프라임그룹은 중동 지역 화장품‧식품 인증기관이다. 대표 인증은 △ ECAS △ EQM △ HALAL 등이다. 러시아 로스테스트는 화장품‧기계‧공산품 인증시험기관이다. 대표 인증은 EAC이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은 국가별 정부 공인 인증기관으로 국제시험인증컨소시엄을 구성했다. 각 국가별 정부 규제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나아가 기업들이 해외 기술규제 장벽을 극복하고, 현지 인증을 효율적으로 획득하도록 돕겠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국제시험인증컨소시엄 온라인 소통 시스템을 구축해 각국 해외인증‧기술규제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예정이다. 권오정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원장은 “기업들이 해외 인증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