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1004가 아프리카에 진출한다. 이 브랜드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나이지리아의 뷰티매장에 입점한다. 뷰티 신흥시장으로 꼽히는 아프리카에서 K-뷰티의 우수성을 알릴 계획이다. 스킨1004는 남아공 뷰티매장인 ARC 10곳에 제품을 선보인다. 현지 기후 특성과 소비자 취향을 고려한 제품을 판매한다. 피부 진정용 센텔라 라인과 깨끗하고 맑은 피부로 가꾸는 톤 브라이트닝 10여종을 선별했다. 나이지리아에선 드럭스토어 메드플러스(Medplus) 40곳에 들어선다. 센텔라‧톤브라이트닝‧포어마이징 22종을 소비자에게 소개한다. 아프리카는 가파른 인구 증가율과 함께 젊은층이 두텁다. 성장잠재력이 큰 유망 뷰티시장으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테크나비오(Technavio)는 아프리카 뷰티‧퍼스널케어 시장이 연평균 8.51% 신장, 2028년 81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스킨1004는 2023년 아프리카에 발을 내딛었다. 아프리카에서 K-뷰티 열풍이 불면서 올해 1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17% 늘었다. 곽인승 스킨1004 총괄은 “아프리카 대형 매장을 중심으로 제품을 유통할 계획이다. 현지 기후에 맞는 제품을 개발해 시장 점유율을 넓히겠다”고 전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오는 20일(목) 오후 2시부터 한국과학기술회관 12층 SC컨벤션 아나이스홀에서 제 23차 한국 ABS포럼을 '생물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 가이드라인: 인도와 남아공'을 주제로 관련 법률·특허·산업계 관련 전문가들의 견해와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이날 다룰 내용은 △ ABS체제는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는가(국립생물자원관 오현경 연구관) △ 생물자원의 이익공유 가이드라인과 예시 계약서(한국지식재산연구원 허인 실장) △ 생물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 가이드라인 I-인도(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정소영 박사) △ 생물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 가이드라인 II-남아공(법무법인 통인 문선혜 변호사) 등이다. 신청은 https://www.abs.go.kr/kabsch/program/forum/view.do?cid=100&idx=14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연락처 032-590-7343(송송이 연구원), 031-628-0031(염지원 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