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답게 깨끗하게 여름을 향유하는 법'. 올 여름 뷰티시장에 ‘클린 코어’ 바람이 불 전망이다. 클린 코어(Clean Core)는 클린뷰티와 놈코어(Normcore)의 합성어다. 지구와 피부에 안전한 화장품으로, 미니멀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흐름을 가리킨다. 클린 코어는 개인에게 내재된 고유의 미를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무더위로 간소해진 옷차림처럼 스킨케어와 메이크업도 코어에 집중한다. 피부장벽을 강화하고 피부 생태계 회복에 집중하는 기초·보디제품 수요가 늘어난다. 클린 걸(Clean Girl) 메이크업도 피부 본연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자연광과 은은한 컬러 표현은 얼굴을 넘어 헤어와 보디까지 확장된다.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의 결합이 지속된다. 톤업 선크림이나 젤리 틴트처럼 기능성과 커버력을 갖춘 멀티 제품이 부상한다. 피부 기본으로 돌아가다 최근 에이블리가 발표한 ‘2025 상반기 뷰티 어워즈’ 수상제품의 공통점도 클린 코어로 모아졌다. 클린 코어 트렌드로 피부 근본을 개선하는 스킨케어와 자연스러운 피부를 표현하는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이번 시상식에선 옳 1월부터 5월까지 뷰티 분야별 베스트 제품을 선정했다. 소비자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폭염대응 #이너뷰티 #헤어케어. 일본 시장 공략을 위한 핵심 키워드다. 일본 앳코스메(@cosme)가 ‘2024년 상반기 화장품 트렌드’에서 제시했다. 시원한 뷰티 ‘기록적인 무더위’ ‘살인적인 폭염’. 작년 일본 이야기다. 올해도 일본은 4월부터 초여름 더위가 시작됐다. 일찍부터 덥고 오랫동안 더울 전망이다. 기후 변화는 일본 화장품산업에 영향을 미쳤다. 고온다습한 날씨 속에서 피부를 보송하고 상쾌하게 유지하는 화장품이 강세다. 쿨링 화장품부터 유분 방지 제품, 땀‧체취 제거 데오드란트 등이 인기다. 여름 한정 제품이 연중 필수품으로 자리잡는 모양새다. 앳코스메 측은 “2023년 역대급 폭염이 발생했다. ‘폭포수처럼 흐르는 땀’, ‘얼굴 땀’ 같은 키워드 검색이 증가했다. 소비자들은 10월까지 ‘혹서’를 검색했다. 기후변화가 화장품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일본 로프트도 무더위 대비 화장품을 미리 소개했다. 4월 20일 도쿄에서 연 ‘코스메 페스티벌’에서다. 대세는 쿨링이다. 피부에 시원함을 주는 쿠션‧마스크팩‧메이크업 픽서 등을 전시했다. 향을 강화한 퍼퓸 보디 미스트나 핸드크림도 나왔다. 맛있는 뷰티 ‘먹는 화장품’으로 불리는 이너뷰티. 일본
네오팜, 초여름 피부·두피 관리 제안 피부에 일광화상을 남기는 자외선 B는 7~8월 절정이다. 자외선 A는 5~6월에 정점을 찍는다. 자외선 차단에 항상 신경 써야 하는 이유다. 자외선 A는 피부 진피까지 침투해 기미·주근깨·피부 노화를 부른다. 일광화상을 만들지는 않으나 색소침착을 만드는 주범. 6월에 심한 자외선 A의 차단지수는 ‘PA(Protection Grade of UVA)’와 ‘+’로 점검하자. +가 많을수록 강력한 효과를 낸다. 자외선에 피부가 상하는 것을 막으려면 차단은 기본, 피부 보습에 주의를 기울일 것. 피부 유수분 균형을 유지해 피부 손상을 막는 것이 좋다. 두피는 피부노화와 직결되는 만큼 두피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 △ 자외선 차단제 선택 check point 자외선 차단제를 고를 때 점검해야 할 것은 차단 지수와 차단 방식이다. 최근 피부 자극이 적은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무기 자외선 차단제가 주목받고 있다.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에 얇은 막을 형성해 자외선을 반사·산란시킨다. 피부 자극이 적어 어린이나 민감성 피부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피부장벽 전문 더모코스메틱 브랜드 리얼베리어의 ‘익스트림 모이스처 선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