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럭셔리 뷰티 브랜드 설화수가 미국 최대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Macy’s)에 입점, 미국 럭셔리 뷰티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858년에 뉴욕에서 첫 문을 연 메이시스 백화점은 미국 전역에 420여 곳에 이르는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 설화수는 지난 2월 메이시스 온라인 채널 ‘메이시스닷컴’을 시작으로 3월에는 뉴욕 플러싱(Flushing) 점·LA 산타 애니타(Santa Anita) 점과 사우스 코스트 플라자(South Coast Plaza) 점에 각각 입점을 완료했다. 설화수는 윤조 에센스·자음생 크림·진설 크림 등 대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동시에 입점 매장 확대를 진행할 계획이다 설화수는 지난 2010년 미국 시장에 첫 진출한 이후 꾸준히 미국 뷰티 시장에서 위상을 높여왔다. 미국 시장에서 설화수는 최근 3년 동안 연평균 약 20%에 이르는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미국 주요 도시 세포라 매장과 디지털 채널을 통해 고객 저변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설화수의 대표 제품인 자음생 크림이 높은 성장세를 보이기도 했다. 관련해 설화수 브랜드 관계자는 “60년 인삼 연구에 기반한 설화수의 홀리스틱 뷰티(Holistic Beaut
숙명여자대학교 향장미용학과가 4월 5일(금) ‘2024년 숙명 K-뷰티 컨퍼런스’를 개최한다.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서울 청파동 숙명여대 백주년기념관 7층 한상은라운지에서다. ‘2024년 숙명 K-뷰티 컨퍼런스’는 ‘웰니스와 뷰티’를 주제로 진행한다. 건강과 아름다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웰니스 뷰티산업을 새롭게 조망하고 변화를 탐색한다. 클린뷰티와 친환경 소비 트렌드를 분석하고 뷰티산업의 성장 기회를 모색한다. 김민신 숙명여대 교수가 ‘웰니스 뷰티와 뉴로 글로우(Neuro Glow)’ 기조강연을 진행한다. 이어 △ 백화점 명품관의 향기 마케팅(정수연 롯데백화점 명품관 팀장) △ 바이어 정수연 팀장 △ 스포츠뷰티 브랜드의 경쟁력 강화 전략(박성임 파워풀엑스 부대표) △ 스포츠 뷰티와 웰니스(신수지 스포츠뷰티그룹 부대표/전 올림픽 국가대표) 등을 발표한다.
올리브영이 앱에 ‘헬스+’ 메뉴를 선보인다. ‘헬스+’에서는 건강 관련 제품을 소개한다. W케어‧이너뷰티‧면역‧수면 등 각 분야별 제품을 선별해 판매한다. ‘나에게 맞는 건강기능식품 찾기’ 기능을 제공한다. 성별‧연령‧건강 상태에 따라 제품을 찾을 수 있다. 눈‧피부‧장‧근육 등 신체 부위별 건강을 강화하는 제품도 제안한다. 항산화‧면역관리‧체지방 케어 등 효능별 상세 검색 기능도 갖췄다. ‘오늘의 특가’와 ‘오늘의 건강 랭킹’ 서비스도 운영한다. 올리브영이 엄선한 제품을 특가에 제공하고 인기 브랜드와 제품을 카테고리별로 나타낸다. 올리브영 측은 “한국 2030세대의 관심사는 웰니스다. 웰니스(Wellness)는 웰빙‧행복‧건강을 합친 개념으로 정신‧신체‧사회적 건강이 조화로운 상태를 뜻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웰니스 시장 규모가 미국‧중국‧독일‧일본‧영국에 이어 세계 9위다. 헬스+를 통해 고품질 웰니스 제품을 알려 나가겠다”고 전했다.
올리브영이 우먼 웰니스 시장을 키운다. 이 회사는 여성 건강을 위한 W케어 상품군을 만들어 소비자에게 소개한다. 여성들에게 건강한 생활 습관을 제안하며 웰니스 시장을 이끈다는 목표다. 올리브영은 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는 ‘펨테크’(Femtech)에 주목했다. 펨테크는 여성(female)과 기술(technology)을 합친 말이다. 여성 건강을 위한 기술 상품 서비스 등을 아우른다. 세계 펨테크 시장 규모는 2027년 80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올리브영은 펨테크 추세를 반영해 W케어 분야를 강화한다. W케어는 △ 우리(We) △ 여성(Woman) △ 웰니스(Wellness)를 의미한다. W케어는 △ W밸런스 △ W클렌징 △ W러브 △ W웨어 등 4개 분야로 구성했다. 이 회사는 이달 말까지 W케어 캠페인을 전개한다. ‘여성 건강을 위한 굿 해빗(Good Habit)’을 주제로 내걸고 상품을 판매한다. 앱에서 ‘나의 W케어 관심도’를 알아보는 행사도 펼친다. 행사 응모자를 추첨해 W케어 대표 상품을 담은 선물 바구니를 증정한다.
자주(JAJU) 화장품이 나왔다. 스킨패드‧마스크팩‧클렌징폼 등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자주 웰니스(JAJU wellness) 라인을 선보였다. 화장품부터 생활용품 퍼스널케어 제품까지 다양하게 구성했다. 건강과 위생관리를 돕는 웰니스 제품으로 가치소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를 공략할 계획이다. 자주 ‘주스잇’(Juice it)은 피부 정화 제품이다. ABC주스(사과 비트 당근)를 화장품에 적용했다. 피부 노폐물은 제거하고 생기를 더해 건강하게 가꿔준다. 비건 인증 성분과 친환경 포장재를 사용했다. 클렌징워터 클렌징폼 필링젤 스킨패드 등 7가지 제품으로 나왔다. 자주 ‘파머스 비건’(Farmer’s Vegan)은 농장의 신선함과 원물의 효능을 담았다. 워시오프 마스크팩과 시트팩 10종이다. 제주산 오렌지껍질 비쑥 유자 오트 검정콩 등을 함유해 피부에 에너지를 전한다. 자주 ‘퓨어 바스 티’는 차처럼 우려 사용하는 티백형 입욕제다. 카렌듈라 레몬녹차 라벤더 등 다섯 종류로 이뤄졌다. 자주 측은 “코로나19 이후 전세계적으로 웰니스 시장이 급성장했다. 국내 웰니스 시장 규모는 약 940억 달러로 세계 8위 수준이다”고 말했다. 이어 “화장품과 생활용품에 이어 건강기능식
한국이 2018년 고령화사회(aging society)에서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이 예상되는 가운데 고령사회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기업이 '시니어 비즈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삼정KPMG(대표이사 김교태)가 12일 발간한 ‘고령사회 진입과 시니어 비즈니스의 기회’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00년 고령화사회 진입에 이어 2018년엔 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미국(73년)과 독일(40년) 등 다른 선진국 대비 고령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UN기준 만 65세 이상의 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8%를 초과하면 고령화사회, 14%를 초과하면 고령사회로 정의하고 있다. 한국은 합계출산율이 1.25명으로 세계 224개국(평균 2.54명) 중 220위로 최하위권에 머무르는 등 지속적인 저출산 현상과 함께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층 진입으로 고령화가 빠르게 가속화되고 있다. 고령사회 시장규모가 2015년 40조원 수준에서 2020년 70조원이 넘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고령사회의 핵심계층이 될 ‘뉴 시니어(New Senior)’의 소비행동에 대해 기업의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보고서는
2016 웰니스 관광 국제 포럼 관광과 문화를 결합한 의료관광 산업 ‘웰니스(Wellness) 관광’이 유망 서비스 산업의 하나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세계 의료관광 시장은 국민 소득 증대, 기대 수명 증가와 교통수단의 발달로 급성장하고 있다. 단순한 질병 치료에서 여성들의 아름다움 추구를 더해 웰빙·휴양·건강 관리·스파·뷰티서비스(화장품·미용) 등이 결합된 웰니스 관광으로 빠르게 진화해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웰니스 관광사업을 고부가가치 융·복합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2016 웰니스 관광 국제 포럼’을 지난 달 31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조윤선·이하 문체부)와 조훈현 의원실(새누리당) 공동 주최, 한국관광공사(사장 정창수) 주관으로 개최했다. 세계 웰니스 관광시장은 4천386억달러(약 446조 원, 2013년 기준)로 전체 관광산업(3조 2천억 달러)의 14%에 해당하며 의료관광 시장 규모의 약 9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출처 The Global Wellness Tourism Economy 2013&2014, 2015, SRI International) 스탠포드 국제 연구소 역시 웰니스 관광산업이 연평균 9.1%의 고속 성장을 통해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