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이 뷰티 큰손으로 떠오른 ‘잘파세대’(1990년대 중반 이후 태어난 세대)를 공략한다. GS25는 가성비·소용량에 초점을 맞춘 기초화장품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편의점에서 화장품을 사는 소비자 연령대가 낮아진 만큼 가성비 높은 제품을 보강했다. 특히 듀이트리‧메디힐 등 스킨케어 브랜드와 손잡고 단독 제품을 개발했다. 가격이 저렴하고 제품력이 우수한 화장품을 GS25에 독점적으로 선보인다. GS25는 2일 전국 매장에서 듀이트리 토너‧세럼‧크림‧마스크팩을 판매한다. 가격은 마스크팩 7백 원, 토너·멀티크림 5천 원, 세럼 7천 원 등이다. 듀이트리 신제품은 시중 가격 대비 50% 할인가에 구매할 수 있다. 알뜰소비족을 위한 소용량 화장품도 출시했다. 메디힐 워터마이드‧티트리 패드 2종이다. 기존 대용량 제품을 편의점용 소용량(2P)으로 구성했다. 가격은 모두 1천 원이다. 9월에는 남성용 올인원 스킨케어 제품을 내놓는다. 인기 제품을 편의점용 용기로 변경해 할인가에 소개한다. 아울러 보디케어 브랜드와 손잡고 여행용 스킨케어 세트를 개발한다. 가성비 높은 기초화장품 수를 늘려나갈 전략이다. 최근 3년 간 GS25에서 화장품을 산 소비자 가운데 1020세대가
‘잘파세대’가 뷰티업계 큰 손으로 떠올랐다. 잘파세대는 Z세대와 알파세대를 합친 말이다. 10대부터 20대 초중반을 가리킨다. 이들은 처음 접하는 브랜드를 망설임 없이 구매하고 신제품에 호기심을 갖고 도전한다. ‘뷰티꿀팁’ ‘메이크업튜토리얼’ 콘텐츠를 자발적으로 생산하며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에이블리에서도 잘파세대의 구매가 두드러지게 증가했다. 3월 뷰티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200% 늘었다. 뷰티 구매 10건 중 8건은 1020세대로 나타났다. 잘파세대가 온라인 뷰티의 핵심 소비층으로 급부상했다는 분석이다. 올해 3월 에이블리 뷰티관 매출 가운데 잘파세대에 해당하는 만 14세 이상부터 20대의 구매가 80%를 차지했다. 1020층 구매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약 2배(90%) 상승했다. 10대는 여드름‧진정 화장품과 핸드크림을 많이 샀다. 20대 초반 소비자는 색조 화장품 매출의 25%를 점유했다. 에이블리는 선론칭‧콜라보레이션 등으로 잘파세대의 지갑을 열었다. 희소가치를 높인 점이 젊은층의 매출 상승으로 이어졌다는 진단이다. 아울러 브랜드의 이색 상품으로 재미를 추구하며 잘파세대의 구매 욕구를 자극했다. 에뛰드 이니스프리 라네즈 릴리바이레드 등 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