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창춘무역관 중국 샴푸 시장 성장&트렌드 리포트 중국 화경정보망(华经情报网)이 발표한 자료의 의하면 2023년 중국 샴푸 시장의 규모는 447억9천600만 위안(약 64억 달러) 규모에 달한다. 지난 2016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3.8%를 기록,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제품의 톤 당 평균 소매가도 지난 2016년 3만5천 위안에서 4만 위안(2023년)까지 이르며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다른 매체 계면뉴스(界面新闻)는 지난 2022년 기준 중국 탈모 인구가 3억 명으로 전체 인구의 25%에 이르고 탈모 증세가 나타나는 연령 역시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 탈모 인구 3억 명 중 외모에 특히 신경을 많이 쓰는 30대 이하 탈모 인구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는 탈모·두피 케어 방식 중 가장 손쉽게 접근이 가능한 탈모 예방과 증상 완화 기능성 샴푸에 대한 관심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 매체는 지적했다. 200위안 이상 프리미엄 샴푸 시장 확대 중국 대표 온라인 플랫폼 징둥슈퍼마켓(京东超市)이 발표한 '2023년 탈모 환자·탈모 방지 제품 소비 보고'에 따르면 △ 사무직 직장인 △ 고학력 소지자
“헤어케어 제품으로만 지금까지 전국 대리점 체제를 유지하면서 시판 전문점 채널을 고수하고 있는 화장품 기업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20여 곳의 대리점은 (주)새앙의 브랜드 ‘새앙머리’로 첫 발을 내디뎠을 때부터 지금까지 변함없이 그 자리를 지키면서 동고동락을 함께 해 왔습니다. 이 어려운 시기에도 흔들림 없이, 꿋꿋하게 회사와 브랜드 철학을 지켜주고 있습니다. 회사의 가장 큰 자산이죠.” 기능성 헤어케어 브랜드 ‘새앙머리’로 전문점 채널 주력으로 삼고 있는 이동규 (주)새앙 대표의 머리와 가슴 속에는 언제나 브랜드와 대리점이 자리잡고 있다. 급격한 유통변화를 겪으면서 전문점 채널이 하락세에 접어들었어도 이 대표는 포기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해서 대세를 거슬러 온라인 채널을 도외시하지도 않았다. 양 쪽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에 몰두했다. “대리점과 전문점이 새앙머리 브랜드와 제품을 찾는 이유는 적정 수준의 마진과 빈틈없는 채널관리가 이뤄졌고 사업을 영위할 수 있는 가치를 보장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로 모든 경제활동이 마비상태에 이를 정도였던 올해에도 (주)새앙과 대리점이 큰 기복 없는 경영을 할 수 있었던 것 역시 이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외부환경에 지치고 붉은 기를 띠는 홍조 피부를 잠재울 수 있는 자연친화 콘셉트의 클렌징 케어가 소비자와 만난다. 엠플러스아시아(대표이사 이철호)는 코로나19 여파로 이 같은 피부 트러블을 호소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효율성있게 대처할 수 있는 맞춤형 클렌저 ‘몬드레브 레드 케어’를 내놓고 시장 지배력 확보에 나섰다. 회사 측이 강조하는 몬드레브 레드 케어 클렌저의 차별화 포인트는 ‘586 공법’. 이는 각각의 숫자가 갖는 특별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5’는 여타 화장품에 사용한 원료 수에 비해 50% 만을 사용만으로도 효과는 동일하게 구현했다는 점이다. 인체에 무해한 성분은 줄이고 대신 기능과 효과는 최대한 높였다. ‘8’은 성분의 81.5%가 자연유래라는 것. 화학성분을 과감히 빼면서 동시에 알로에 베라를 비롯한 14가지 자연유래성분으로 완성한 제품이라는 의미다. ‘6’은 제조기간 60일을 뜻한다. 원료의 발효와 숙성 과정을 거쳐 고온급랭의 과정을 10번 이상 반복하면서 탄생시킨 일명 ‘숙성형 클렌저’라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이 같은 공법을 적용해 개발한 몬드레브 레드 케어 클렌저는 △ 트러블로 인한 붉은 피부 △ 화학성분에 민감한 피부
지난해 7194건·전체 38% 차지…화장품 관리감독 강화될 듯 지난 한 해 동안 중국 내 수입화장품 허가 신청을 가장 많이 한 국가는 한국으로 모두 7천194건, 전체의 38.1%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해 특수용도화장품에 대한 불허가 건수는 175건으로 전년대비 15.1% 늘어났으며 비특수용도화장품 불허가 건수는 2천166건에 달해 전년보다 42.4%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특수용도·비특수용도 화장품 모두 불허가 건수가 늘어난 것은 현재 중국의 약품감독관리국의 전자 유통채널 감독관리의 강화와 함께 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공상총국·질검총국을 통폐합해 시장감독관리총국을 설립, 시장 감독관리를 강화했기 때문으로 분석되며 이는 앞으로도 그 강도가 더욱 강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 20일 대한화장품협회가 실시한 ‘화장품 중국수출실무교육’에서 베이징위즈레그 컨설팅등록사업부 엠마 한 총경리가 발표한 화장품 중국 위생행정허가 실무를 통해 확인한 것이다. 엠마 한 총경리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수입화장품 허가 신청을 가장 많이 한 국가(지역)는 한국에 이어 △ 프랑스 3천1건(15.9%) △ 일본 2천138건(11.3%) △ 미국
中 위생허가 컨설팅서비스 받아…중국시장 지배력 강화 기대 글로벌 코스메틱 브랜드를 지향하는 세라젬헬스앤뷰티(대표이사 이규철)와 CCIC코리아(중국검험인증그룹코리아)가 지난 18일 전략적 업무 제휴 협약(MOU)을 체결 했다. 중국검험인증유한공사(China Certification & Inspection Co., Ltd·이하 CCIC)는 중국 국무원 산하 중국품질감독검사검역총국(AQSIQ)·중국인증인가감독위원회(CNCA)·중국합격평정인사위원회(CNAS)의 허가를 얻어 설립된 중국 최대의 인증·검사·시험기관.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에 약 40개 지사를 운영 중이다. 이번 MOU를 통해 세라젬헬스앤뷰티는 중국 수출에 필요한 중국 위생허가를 취득하는데 있어서 CCIC코리아의 전문적인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게 됨으로써 상호 이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이규철 세라젬헬스앤뷰티 대표이사는 “중국 인증전문기관 CCIC코리아와의 이번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상호 한중 비즈니스 발전에 튼실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기대감을 표명했다. 세라젬헬스앤뷰티는 지난 2010년 설립과 동시에 중국 청두에 진출, 현지법인과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