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재단이 화장품 공병으로 만든 크리스마스 트리를 노들섬에 전시한다. ‘다시 보다, 희망의 빛 1332’라는 이름의 공병 트리는 노들섬 초청 협력 전시의 일환으로 설치했다. 오는 2025년 1월 18일까지 상시 야외 전시로 진행된다. 점등 시간은 매일 오후 5시부터 10시까지. 이번 작품은 지난해 세종문화회관 뜨락에서 전시한 ‘크리에이티브 컴퓨팅 그룹(성백신 작가· 김주섭 교수)의 ‘희망의 빛 1332’를 재활용한 트리다. 높이 8.3m의 대형 트리인 이번 작품은 수거한 화장품 공병 1천332개에 발광다이오드(LED)로 불을 밝혀 새로운 가치 창출의 희망을 연출했다. 관객들이 손을 맞잡는 동작을 인식해 빛을 점등하는 방식의 참여형 미디어 아트 작품으로 설계해 더욱 눈길을 끈다. 아모레퍼시픽재단은 “노들섬 공병 트리를 관람하는 모든 시민들에게 다가오는 크리스마스와 새해의 소망을 더욱 아름답게 밝히는 희망의 메시지가 전해지길 바란다”며 “아모레퍼시픽재단은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적극 펼치며 시민들과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문화 재단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모레퍼시픽재단(이사장 서경배)이 화장품 공병으로 만든 크리스마스 트리 ‘희망의 빛 1332’ 전시를 새해 1월 2일까지 진행한다. 아모레퍼시픽재단은 설립 50주년을 기념, 세종문화회관과 함께하는 공공예술 프로젝트로 이번 전시를 기획했다. 지난 15일 저녁 6시에 점등, 내년 1월 2일까지 세종문화회관 중앙 계단 위 야외 공간인 세종뜨락에서 시민과 만난다. 높이 8.3m의 대형 트리 형태의 이번 작품은 수거한 화장품 공병 1천332개에 발광다이오드(LED)로 불을 밝혀 새로운 가치 창출의 희망을 연출했다. 관객들이 손을 맞잡는 동작을 인식해 빛을 점등하는 방식의 관객 참여형 미디어 아트 작품으로 설계해 눈길을 끈다. 트리 제작에는 크리에이티브 컴퓨팅 그룹(성백신 작가·김주섭 교수)이 참여했다. 두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해 “전시에 참여한 모든 관객들이 자신만의 빛을 찾아 새로운 희망을 밝히길 소망한다”고 기대를 전했다. 아모레퍼시픽재단 이상호 사무총장은 “아모레퍼시픽재단은 다양한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진행, 시민과 대중에게 사랑받는 문화재단으로 위상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1973년 설립한 아모레퍼시픽재단은 아모레퍼시픽 창업자 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