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답게 깨끗하게 여름을 향유하는 법'. 올 여름 뷰티시장에 ‘클린 코어’ 바람이 불 전망이다. 클린 코어(Clean Core)는 클린뷰티와 놈코어(Normcore)의 합성어다. 지구와 피부에 안전한 화장품으로, 미니멀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흐름을 가리킨다. 클린 코어는 개인에게 내재된 고유의 미를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다. 무더위로 간소해진 옷차림처럼 스킨케어와 메이크업도 코어에 집중한다. 피부장벽을 강화하고 피부 생태계 회복에 집중하는 기초·보디제품 수요가 늘어난다. 클린 걸(Clean Girl) 메이크업도 피부 본연의 아름다움을 강조한다. 자연광과 은은한 컬러 표현은 얼굴을 넘어 헤어와 보디까지 확장된다. 스킨케어와 메이크업의 결합이 지속된다. 톤업 선크림이나 젤리 틴트처럼 기능성과 커버력을 갖춘 멀티 제품이 부상한다. 피부 기본으로 돌아가다 최근 에이블리가 발표한 ‘2025 상반기 뷰티 어워즈’ 수상제품의 공통점도 클린 코어로 모아졌다. 클린 코어 트렌드로 피부 근본을 개선하는 스킨케어와 자연스러운 피부를 표현하는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이번 시상식에선 옳 1월부터 5월까지 뷰티 분야별 베스트 제품을 선정했다. 소비자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K-뷰티 트렌드 서밋 2025’가 11월 3일부터 21일까지 19일 동안 온라인에서 개최된다. 이 행사는 AI 기반 트렌드 분석 플랫폼인 트렌디어가 주최한다. 세계 100여개국 바이어와 K-뷰티 브랜드를 연결하는 비즈니스 매칭 서밋이다. ‘K-뷰티 트렌드 서밋 2025’(K-Beauty Trend Summit 2025)는 △ 트렌드 △ 브랜드 △ 제조사 주간으로 구성됐다. 참가 기업과 해외 유통사 간실질적 구매 검토와 후속 미팅으로 이어지도록 기획했다. 특히 올해는 ‘바이어 위크’(Buyer Week)를 처음 도입했다. 트렌디어는 국내 기업과 바이어의 1:1 미팅을 진행한다. 서울에서는 9월 10일, 온라인에서는 11월 24일부터 28일까지 실시한다. 112개국 글로벌 바이어와 네트워킹 기회 K-뷰티 트렌드 서밋 2025에서는 112개국 바이어를 초청해 K-뷰티 브랜드사와 제조사를 소개한다. 지난해 하반기 공개한 트렌디어 글로벌 플랫폼은 해외 바이어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 플랫폼에 공개된 트렌드 리포트는 현재까지 112개국에서 180만 건 이상이 열람했다. 주요 참가 바이어는 아마존‧틱톡샵‧TJX‧타깃(Target)‧노드스트롬(Nordstrom)‧
* 키워드 : AI, 트렌디어, 트렌디어AI부트캠프, 트렌디어AI, AI팩토리, 트렌디어AI교육 KEY : 뷰티기업 생산성 100배 높이는 AI 활용법 AI 팩토리, 고품질 데이터 & 실행속도가 좌우 ‘AI 기반 업무 자동화’ 구축 Tip ‘트렌디어 AI 데이터’로 글로벌 전략 수립하기 ‘AI 거짓말’ 막는 정제된 데이터 찾기 “트렌드를 읽는다고 해서 100% 성공을 보장할 수는 없다. 하지만 트렌드를 읽지 못하면 100% 실패는 보장할 수 있다.” 경영의 대가 피터 드리커의 말이다. ‘트렌드’를 ‘AI’로 바꿔보면 어떨까. AI라는 파도는 우리의 턱밑까지 밀려들어왔다. 파도는 매번 다른 모양과 강도로 다가올 것이다. ‘대 AI 시대’, AI라는 파도 위에 올라타야 한다. 급변하는 뷰티시장을 초 단위로 분석하고, 수치 기반 데이터로 예측하고, 글로벌 전략을 제시하는 힘. AI에 달려있다. 우리가 AI를 ‘나의 완벽한 비서’처럼 가까이 둬야 하는 이유다. AI 팩토리 개념 제시한 ‘트렌디어 AI 부트캠프’ 메저커머스가 뷰티시장에 특화된 ‘트렌디어 AI’ 프로그램을
K-뷰티는 글로벌 뷰티시장에서 여드름‧슬로우에이징‧PDRN 제품 시장을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렌드 발굴→바이럴 마케팅→카테고리 선점' 전략으로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분석이다. 메이크업 분야에선 드뮤어‧블러 트렌드가 확산되는 가운데 K-멀티 색조화장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K-뷰티의 영향력은 글로벌 바이럴 키워드에서도 드러난다. K-뷰티와 연관된 #Vegan Snail #Pudding #Overnight Mask #Glass Skin #Lip&Cheek #Glass Skin 등이 세계 화장품시장의 유행을 선도하고 있다. 이는 메저커머스가 오늘(28일) 서울 삼성동 섬유센터 이벤트홀에서 연 ’트렌디어 AI 부트캠프 인 서울‘(Trendier AI Bootcamp in Seoul)에서 확인했다. 2025년 K-뷰티 트렌드 5가지 신지선 메저커머스 애널리스트가 ‘글로벌 소비자는 어떤 K-뷰티 트렌드에 반응하고 있는가?’를 발표했다. 그는 2025년 K-뷰티 트렌드로 △ 여드름 케어 △ 슬로우에이징 3.0 △ 카테고리 해킹 △ 느좋(느낌 좋은) 메이크업 △ 화잘먹(Skin prep) 다섯가지를 꼽았다. 특히 K-뷰티의 세계적인 인기 비결로 ‘글래스
무결점 ‘글로우 피부’가 주목받으면서 피부 트러블 관리 시장이 커졌다. 피부 트러블에 따라 제품이 세분화되고 효능원료도 다양해지는 추세다. 피부의 근본적인 건강을 강화하는 화장품도 인기다. #유산균 #콜라겐 #피부열 등은 트러블 화장품 분야의 새로운 키워드로 떠올랐다. 트러블 관리는 장기전이다. 소비자들은 ‘대용량’ 트러블케어 제품에 지갑을 열었다. 트러블 관리가 일상적인 뷰티루틴으로 자리 잡으며 가성비 경쟁도 치열해졌다. 이는 트렌디어가 발표한 ‘국내 소비자가 말하는 트러블 케어는? 올영‧네이버 라이징 마케팅&리뷰 키워드 분석’ 보고서에서 확인했다. AI 기반 뷰티 트렌드 분석 플랫폼 트렌디어는 올리브영과 네이버의 1분기 트러블 스킨케어 제품 특징을 분석했다. 올리브영 : 콜라겐‧피부열‧대용량 올리브영 트러블 화장품 후기 가운데 많이 나온 성분은 △ 히알루론산 △ 약산성 △ 판테놀 △ 마데카소사이드 △ 콜라겐 △ 비타C △ 시카 △ 병풀 추출물 △ 나이아신아마이드 △ 알란토인 순이다. ‘콜라겐’은 키워드 순위가 급상승했다. 트러블 효능‧고민 단어는 △ 진정 △ 촉촉하게 △ 피지 △ 모공 △ 각질 △ 깨끗 △ 피부장벽 순으로 나왔다. ‘피부열’ 키워드
트렌디어가 10월 한달 동안 ‘K-뷰티 트렌드 서밋 2024’을 열었다. ‘K-뷰티 트렌드 서밋 2024’은 해외 바이어에게 화장품 브랜드와 제조사를 소개하는 웨비나다. 세계 91개국의 바이어 2만2000명이 세미나에 참여했다. 해외 바이어 트래픽 순위에선 미국이 1위를 차지했다. 미국 아마존‧틱톡‧타겟‧월그린 유통 담당자가 웨비나에 접속했다. 이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네덜란드 일본 스위스 핀란드 프랑스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인도 캐나다 영국 중국 순이었다. 이번 행사는 △ 트렌드 위크 △ 브랜드 위크 △ 제조사 위크로 구성됐다. 첫 주 트렌드 위크에선 K-뷰티 10대 트렌드를 공개했다. 트렌드는 트렌디어 AI가 분석했다. 각국 뷰티 전문가는 K-뷰티의 경쟁력을 제시했다. 둘째 주 ‘브랜드 위크’에선 어뮤즈 등 인디 브랜드가 특징과 차별점을 발표했다. 셋째 주 ‘제조사 위크’에서는 코스맥스‧인터코스가 혁신 사례와 글로벌 전략을 소개했다. 트렌디어는 2025년 9월까지 홈페이지에 발표 영상을 무료 공개한다. 이 행사는 서울시와 코스맥스가 후원했다.
전세계적인 숏폼 열풍이 숏핑 트렌드로 확대되고 있다. 숏폼은 1분 미만의 짧은 영상을 말한다. 숏핑(Short-pping)은 숏폼과 쇼핑을 결합한 단어다. 숏폼을 보면서 쇼핑까지 하는 커머스 형태다. 제품을 숏폼으로 생생히 소개하고, 구매로 연결한다. 알고리즘에 맞춰 개인 맞춤형 콘텐츠 제공으로 이어진다. 아마존에 따르면 영상을 본 소비자가 안 본 소비자보다 제품을 살 가능성이 3.6배 높았다. 반복적 브랜드 노출이 구매로 이어진다. ‘제품 인지→호기심→구매’ 공식에 따라 제품을 소비자에게 효율적이고, 강렬하게 노출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틱톡‧아마존‧쇼피 등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도 숏핑 트렌드에 가세했다. 소비자에게 콘텐츠를 선보이고, 커머스로 연동해 매출을 늘리는 전략을 강화하고 나섰다. 트렌디어가 ‘더 라이징 2025’ 세미나에서도 숏핑 시대에 맞는 콘텐츠와 커머스 전략이 강조됐다. 이 세미나는 18일 경기 킨텍스 2전시장에서 뷰티업계 종사자 150명을 초청해 열었다. 틱톡, 해외 인플루언서×브랜드 콘텐츠 지원 정민주 틱톡 글로벌 매니저는 ‘틱톡을 통한 K뷰티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을 발표했다. 틱톡은 세계 인구 10억 명 이상 이용하는 플랫폼이다. K
트렌디어는 ‘K-뷰티 트렌드 서밋 2024’에 70개국 바이어 1만 명이 접속했다고 밝혔다. ‘K-뷰티 트렌드 서밋 2024’(K-BEAUTY TREND SUMMIT 2024)는 국내 브랜드를 해외 바이어에게 소개하는 온라인 행사다. 10월 1일부터 21일까지 3주간 진행한다. 이 행사에선 K-뷰티의 경쟁력을 트렌드‧브랜드‧제조사 등 3가지로 나눠 알린다. 1주 차 ‘트렌드 위크’에선 K-뷰티 10대 트렌드 키워드를 설명했다. 각 국가에서 잘 팔리는 한국 화장품을 제시했다. 미국‧일본‧유럽‧동남아 현지 전문가가 K-뷰티의 매력과 강점을 발표했다. 2주 차 ‘브랜드 위크’에서는 기업 발표를 실시한다. 참여 브랜드는 클리오‧어뮤즈‧카자‧릴리바이레드‧온그리디언츠‧2359‧앳홈‧비원츠‧아이캔디‧오아보 등이다. 트렌디어는 올해 해외에서 급성장한 브랜드를 분석해 해외 바이어에게 제공한다. 3주 ‘제조사 위크’에는 코스맥스‧한국콜마‧인터코스코리아‧그린코스‧바이오스펙트럼 등이 참여한다. 이들 제조기업은 글로벌 히트 제품과 신제품을 선보인다. 트렌디어 측은 “AI 기반 뷰티 데이터를 활용해 K-뷰티를 정교하게 분석했다. 이 분석자료를 해외 바이어에게 입체적으로 전달하는 행사
트렌디어 ‘K-뷰티 트렌드 서밋’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렌디어는 10월 ‘K-뷰티 트렌드 서밋 2024’를 개최한다. 10월 1일부터 3주 동안 온라인에서 진행한다. 세계 100개국 바이어를 초청해 K-뷰티의 매력과 시장 경쟁력을 알린다. 트렌디어는 이번 행사에 국내 기업의 참가 신청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참가기업 33곳은 글로벌 바이어를 대상으로 기업 설명회를 진행할 예정됐다. 이들 33개사를 포함해 총 146곳의 기업 소개가 예정됐다. ‘K-뷰티 트렌드 서밋 2024’는 세가지 주제로 열린다. 매주 K-뷰티에 대한 트렌드‧브랜드‧제조사 등을 분석한다. 1주 차 트렌드 위크에선 K-뷰티의 10대 트렌드 키워드와 국가별 인기 제품을 설명한다. 미국‧일본‧유럽‧동남아 뷰티 전문가가 본 K-뷰티의 강점도 들려준다. 2주 차 브랜드 위크에서는 해외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한 브랜드를 제시한다. 클리오‧어뮤즈‧카자‧셀퓨전씨 등의 성공요인을 설명한다. 인디 브랜드 릴리바이레드‧온그리디언츠‧비원츠‧오아보 프레젠테이션도 연다. K-뷰티 브랜드의 성과를 정리한 보고서를 해외 바이어들에게 공개한다. 마지막 3주차는 제조사 위크다. 코스맥스‧한국콜마‧인터코스코리아‧
트렌디어(대표 손정욱‧천계성)가 10월 1일부터 21일까지 ‘K-뷰티 트렌드 서밋 2024’를 온라인에서 개최한다. ‘K-뷰티 트렌드 서밋 2024’에선 세계에서 주목받는 한국 화장품의 특징을 소개한다. 전 세계 100여 개국의 바이어를 온라인에 초청해 다양한 K-뷰티 정보를 전달할 예정이다. 1주 차에는 K-뷰티의 10가지 트렌드 키워드를 제시한다. 주제별 히트 상품과 주요 제조사 정보도 공개한다. 2주 차에는 국내 브랜드사가 해외 유통사를 대상으로 발표를 실시한다. 마지막 3주 차에는 제조사‧원료사가 기술력을 소개한다. 해외 브랜드사의 상품개발자나 R&D 연구원에게 맞는 정보를 제공한다. 트렌디어는 9월 15일까지 공식 홈페이지에서 행사에 참여할 국내 뷰티 기업을 모집한다. 참가 대상은 해외 뷰티 바이어와 매칭을 원하는 브랜드사‧제조사‧원료사‧플랫폼 등이다. 트렌디어는 참가 기업에게 다양한 혜택을 준다. △ 35미터 초대형 스크린을 활용한 프레젠테이션 △ AI 더빙 기술을 활용한 다국어 프레젠테이션 변환 △ 글로벌 시장 데이터를 활용한 기업별 홍보 페이지 제작 △ 국내외 뷰티 미디어 홍보 등이다. 트렌디어는 ‘2024 서울 뷰티위크’ 공식 파트너사
K-뷰티는 글로벌 시장에서 하나의 현상이자 지표다. 세계 소비자는 이런 K-뷰티 제품을 선택했다. ‘화장먹’(화장 잘 먹는) 선크림, 니들샷 꿀조합 PDRN 화장품, 3000년대로 향하는 Y3K 메이크업. 이는 트렌디어가 발표한 ‘2024년 상반기 K뷰티 이커머스 총결산 : 글로벌 및 국내 동향’에서 제시됐다. 신지선 트렌디어 애널리스트가 올 상반기 미국‧일본‧동남아 이커머스 채널에서 강세를 보인 제품을 분석했다. 저자극-멀티기능 ‘토너패드’ ‘토너패드’는 2023년 말부터 구글 검색량이 증가했다. 동남아‧베트남‧태국‧미국‧캐나다 등에서 한국 토너패드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이와 동시에 동남아와 북미 시장에서 토너패드 매출이 늘었다. K-토너패드는 미국에서 새로운 카테고리를 개척했다. 아마존 미국에서 △ 메디큐브 제로 모공 패드 △ 메디힐 마데카소사이드 패드 등이 주목 받았다. 메디힐‧아누아‧넘버즈인 토너패드는 아마존 매출 상위권에 진입했다. K-토너패드는 미국 틱톡에서 ‘#순한’ ‘#피부결개선’ 등으로 입소문 났다. 자극 없는 사용감과 다양한 성분‧사용법으로 소비자를 자로 잡았다. 일본 소비자는 토너패드 구매 시 ‘피부 거칠기 개선’ 효과를 중시했다. 큐
‘성분에 살고 성분에 죽고’. 요즘 소비자는 화장품을 살 때 성분 먼저 본다. 성분당‧성분주의 소비자가 세계 뷰티시장 판도를 뒤바꿨다. 클린뷰티‧비건 시장의 키도 성분이 쥐고 있다. 성분으로 치고 나가고 SNS 바이럴로 매혹하기. 소비자 눈에 드는 방법이다. 지금 뜨는 성분을 알아야 한다. 트렌디어(대표 손정욱·천계성)가 5월 30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3층 308호에서 ‘더 라이징 2024’ 세미나를 열고 글로벌 뷰티 트렌드를 공유했다. 순하고 빠른 ‘비타민C+리포좀’ 신지선 메저커머스 애널리스트는 ‘글로벌 라이징 뷰티 트렌드와 K-뷰티’를 발표했다. 뷰티의 꽃은 에센스다. 글로벌 에센스 인기 성분은 비타민C‧레티놀‧콜라겐‧펩타이드‧인간줄기세포 등으로 꼽혔다. 특히 K-비타민C 세럼에 주목했다. 전세계 민감러들의 선택을 받았다는 점에서다. 비결은 무향‧저자극‧가벼운 제형 세가지. 예민한 피부도 매일, 자주, 안심하고 바를 수 있기 때문에 데일리 아이템으로 자리잡았다. ‘이니스프리 비타C 세럼’은 올리브영‧큐텐재팬‧세포라 등에서 판매‧리뷰 순위 상위권을 휩쓸었다. 마케팅 키워드는 잡티‧비타민C‧녹차‧토닝‧4주‧각질‧민감성 순이다. 고농도 비타민C 전략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