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USA가 티르티르‧퓌‧VT코스메틱을 미국 얼타뷰티에 선보였다. 한성USA(대표 최재호)는 세계 시장에 K-뷰티를 유통하는 기업이다. 얼타뷰티(Ulta Beauty)는 미국 전역에 매장 약 1400곳을 운영한다. 기초‧색조‧보디‧헤어 제품을 아우르는 뷰티 편집매장이다. 얼타뷰티는 브랜드의 제품력‧신뢰도‧시장성‧성장성 등을 종합 평가해 입점을 결정한다. 얼타뷰티 진출은 브랜드사에게 상징성과 글로벌 확장성이 큰 유통 진입점으로 꼽힌다. 티르티르는 3일 미국과 멕시코에 있는 얼타뷰티에 들어섰다. 프레스티지 메이크업 섹션에서 제품을 판매한다. ‘마스크 핏 레드 쿠션’을 비롯해 140개 색상의 색조 제품을 소개한다. 소비자 피부 톤에 맞는 컬러를 시험해보는 ‘쉐이드 매칭’(shade matching)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양한 인종과 피부 톤에 맞는 색상을 바탕으로 차별성을 강화했다. 임라희 티르티르 글로벌 영업·마케팅 총괄은 “미국과 멕시코 소비자들은 얼타뷰티에서 제품을 테스트한 뒤 자신에게 꼭 맞는 컬러를 찾을 수 있다. 북미지역에서 K-메이크업 시대를 열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퓌는 한성USA와 파트너십을 맺고 미국 오프라인 유통을 확대하고 있다. 이 브랜드는
퓌‧넘버즈인‧성분에디터가 아마존 프라임데이를 휩쓸었다. 바이오던스 콜라겐 마스크와 아누아 클렌징 오일, 브이티 시카 마스크가 베스트셀러로 떠올랐다. K-인디 브랜드와 혁신 성분‧기술력을 내세운 제품이 프라임데이에서 두드러졌다는 분석이다. K-뷰티 브랜드는 7월 16일부터 17일 이틀 동안 열린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 여러 기록을 또 다시 갈아치웠다. K-뷰티 판매자들의 매출은 2023년 프라임 데이에 비해 두 배 이상 뛰었다. 또 다양한 한국 화장품이 아마존 미국‧일본‧호주에서 베스트셀러로 등극했다. 아마존 미국에선 △ 바이오던스 ‘바이오 콜라겐 리얼 딥 마스크’ △ 아누아 ‘어성초 포어 컨트롤 클렌징 오일’이 높은 매출을 올렸다. 아마존 일본에선 브이티코스메틱 ‘시카 데일리 수딩 마스크’가 베스트셀러로 선정됐다. 인수진 브이티코스메틱 본부장은 “리들샷 돌풍이 이어지고 있다. 아마존 미국‧일본 프라임 데이 기간 리들샷 매출은 6월 일 평균 대비 20배 이상 증가했다. 프라임 데이 전용 할인과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용했다”고 설명했다. 넘버즈인의 프라임데이 매출은 6월 하루 평균 매출보다 30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프라임데이 이틀 동안 판매량이 6월 전체 월
올리브영에서 신진 브랜드가 날개를 달았다. 퓌‧일소‧성분에디터‧무지개맨션 등이 올영세일에서 매출 순위 100위에 들었다. 이들 브랜드는 지난 해 올리브영에 입점했다. 판매를 시작한 지 채 1년이 넘지 않은 시점에서 이뤄낸 성과다. 올리브영은 2일부터 8일까지 올영세일 매출을 분석했다. 퓌‧일소‧성분에디터‧무지개맨션 등이 단일 브랜드 기준 매출 순위 100위권에 진입했다고 밝혔다. 퓌는 지난 해 7월 올리브영에 진출한 메이크업 브랜드다. 대표 제품은 쿠션 글래스다. 스킨케어 성분을 담아 피부에 광채를 낸다. 최근 블러셔와 마스카라 등 색조화장품 전반으로 상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스킨케어 브랜드 일소는 올리브영에서 먼저 입점을 제안했다. 지난해 8월부터 올리브영에서 제품을 판매했다. 코 부위의 모공과 피지를 관리하는 ‘네추럴 마일드 클리어 노우즈 팩’이 인기다. 저자극 클렌징‧로션‧크림을 선보인다. 성분에디터는 지난해 7월 올리브영에 진입했다. ‘좋은 성분과 확실한 효과’를 내세운 기능성 스킨케어를 내놓는다. 2030대 소비자를 겨냥한 ‘그린토마토 포어 리프팅 앰플’이 잘 팔린다. 무지개맨션은 SNS에서 화제를 모은 블내드다. 독특한 패키지 디자인과 감각적인 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