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 전반 트렌드 요약 2025년 글로벌 헤어케어 시장은 단순한 제품 기능을 넘어 △ 환경 보호 △ 두피 건강 △ 감각 중시형 경험 △ 윤리 기반 소비 가치 △ 모발 텍스처 다양성 등 다양하고도 복합성 중심의 이슈에 직면한 상태다. 브랜드는 기존 기능 중심 마케팅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소비자의 정서 공감과 라이프스타일에 부합하는 제품 제안을 통해 차별화 중심의 가치를 전달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는 모습이다. ■ 유럽·중동·아프리카(EMEA)-외부 자극 보호·헤어 컬러의 스킨케어화 ● 환경 스트레스 대응 유럽 시장은 햇빛·경수(Hard Water·硬水)·대기오염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 모발을 보호하는 제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 중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 보호’ 관련 제품의 시장 출시 속도는 정체 상태다. 특히 경수에 특화한 제품은 아직 틈새 시장에 머무르고 있다. 예를 들어 ‘Hello Klean’과 ‘Sensum Mare’는 킬레이트 성분을 활용해 금속이온 제거 효과를 강조하며 차별화에 성공한 케이스다. ● 컬러링 제품의 스킨케어화 (Skinification) 전통 개념의 염모(색)제는 손상과 두피 자극 우려로 인해 기피 대상이었지만 최근 들어 건강한 성
■ 시장 개요·배경 2025년 현재 미국의 페이셜 스킨케어 시장은 약 121억 달러의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 연간 약 3.4%의 속도로 완만한 증가세다. 앞으로 5년간(2024~2029년) 누적 성장률은 13.0%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그러나 이러한 수치는 단순한 성장이 아닌 △ 복합성에 기반해 급변하는 소비자 행동 △ 경제 상황 △ 규제 환경 속에서 일어나는 구조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스킨케어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격한 소비 확대로 호황을 누렸렸다. 그렇지만 2023년 이후 소비자는 △ 지속가능한 소비 △ 의도에 기반한 소비에 집중하면서 구매 행태가 달라지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많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fewer but better’, 즉 ‘적게 사고 잘 고르는 소비’로 옮겨가는 양상이다. 이러한 경향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가치 중심 소비문화로의 고착화 경향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 거시경제 환경과 소비자 심리의 변화 2020년 이후 미국은 △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 △ 2022년의 40년 만의 물가 급등 △ 공급망 위기 등을 겪으며 소비자 신뢰가 계속 흔들려 왔다. 올해 초 기준 인플레이션은 한때
글로벌 스킨케어 시장 요약 2025년 글로벌 스킨케어 시장은 단순한 외형 미용을 넘어 건강 중심의 라이프스타일과 웰빙을 중시하는 흐름으로 전환 중이다. 수분공급·안티에이징과 같은 기능 중심 효능이 여전히 중심 축을 이루고 있으나 △ 마이크로 바이오 기술 △ 정밀 전달 시스템 △ 인체친화형 생명공학 기술이 융합, 기존 화장품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있다. 이는 단순한 스킨케어 제품을 넘어 전신 건강과 감정 만족까지 고려한 ‘새로운 통합 뷰티’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흐름이라고 할 것이다. ■ 기능 중심 → ‘에스테틱 등급 효능 중심’으로의 업그레이드 소비자는 점점 더 효과 높은 제품을 추구하며 단순한 성분 중심이 아닌 실제 효능이 피부에 얼마나 도달하는지를 중시한다. 이에 따라 에스테틱 클리닉에서 사용하는 고기능 성분이나 장비(디바이스)가 홈케어 제품에 접목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은 ‘의료 수준의 미용’과 ‘과학 기반 뷰티’로서의 스킨케어 위상을 다지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 보호·피부 장벽 강화·콜라겐 생합성 촉진·항산화 작용 등의 기능은 이제 프리미엄 제품의 기본 요소다. 여기에 적용하는 기술은 보다 정교해지고 있다. 이러한 성분과 기술에 기반
코스모닝은 지난 창간 8주년 특집 I·II호 2회 걸쳐 일본 화장품 산업 유통 변화(오프라인 매장 환경과 소비자 구매 패턴 중심)를 통해 오프라인 채널의 미래를 △ 플래그십스토어(오프라인 매장)의 필요성 △ 코로나19 팬데믹과 오프라인 비즈니스의 재구축 △ 오프라인 매장의 정체성 재정립 △ 오프라인 매장이 직면한 과제와 ‘코-스토어’ 전략 제안의 배경 △ 코-스토어 전략 전개-매장(유통)·브랜드·소비자의 관점(1·2)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코-스토어 전략의 요약과 함께 미래를 향한 움직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현실의 한계 등에 대해 다루면서 창간 특집에 이은 기획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이번 케이스 스터디 기획 시리즈는 요시마츠 테츠로 주식회사 istyle(@코스메) 대표·CEO가 일본의 화장품 산업 전문 매체 ‘뷰티테크’를 통해 연재한 내용을 중심으로 재편집, 구성했으며 관련 연재물의 번역은 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 김승중 부회장의 도움으로 이뤄졌음을 독자 여러분께 밝힌다. <편집자 주> 외부 EC와의 연계, ‘어디서 살 수 있어?’가 출발선 엣코스메 측은 미국 아마존과 업무 제휴를 맺고 일본 아마존 사이트에 ‘엣코스메 쇼핑’ 카테고리를 만들었다. 이
럭셔리 브랜드부터 셀프·D2C 브랜드까지 ‘체험’이 오프라인 매장의 재구축을 위해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살펴봤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자가 매장을 방문했을 때 △ 다양한 화장품을 시험할 수 있고 △ 살 수 있으며 △ 이를 실현할 수 있는 매장을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백화점 유통을 중심으로 하는 럭셔리 급 브랜드부터 셀프 셀렉션 브랜드, 그리고 D2C 브랜드에 이르기까지 가능한 한 모든 화장품을 갖춘 매장을 실현하는 것을 전제로 해야겠지만 이는 ‘화장품’이라는 특성을 감안하면 대단한 난제다. 즉 브랜드에 따라 유통이 달라지고 동일 상권 내에 동일 브랜드를 취급하는 매장이 있으면 가격 경쟁이 발생한다는 한계가 있다. 엣코스메 스토어의 경우 모든 브랜드·상품을 취급할 수 있는 매장 설계를 위해 근처에 화장품판매점, 특히 백화점이 없는 지역에 출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따라서 최초 단계부터 백화점이 없어 소비자가 발길을 옮길 수 있는 장소는 하라주쿠라고 결정했다. 대형매장을 구축하기 위해 ‘각 브랜드가 참가할 가능성이 있는 환경을 갖춘다’는 것이 바로 ‘엣코스메 도쿄’의 출발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어떠한 브랜드가 참여할 지도 결정되지 않았고
코-스토어 전략의 바탕은 브랜드 기업과 함께 새로운 소매 오프라인 매장을 만들어 간다는 발상에서 출발한다. 이름 그대로 매장을 브랜드끼리 공유하는, 보다 구체화해 말하면 브랜드가 ‘오프라인 매장 안으로’ 출점하는 것을 의미한다. 브랜드 기업이 오프라인 매장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 지출을 피할 수 없다. 부동산 비용을 포함해 초기에 투입해야 하는 기본 비용과 운용 체계 확립 등도 그렇고 무엇보다 ‘과연 집객이 이뤄질 수 있는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 이러한 리스크를 감수하고라도 오프라인 매장 구축을 선택하는 것은 △ 브랜드의 세계관을 전할 수 있고 △ 직접 고객의 얼굴을 맞대고 소통할 수 있으며 △ 고객의 정보를 획득하거나 자사의 EC 혹은 DB와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등 단순히 상품을 진열해 두는 것 만으로는 할 수 없는 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의 경우 ‘원 브랜드 숍’의 전성기로 규정할 수 있는 지난 2005년부터 2015년(관점에 따른 견해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 원 브랜드 숍의 태동기 이후 아모레퍼시픽(아리따움·이니스프리)을 포함한 상위기업들의 가세가 본격화하고 실제로 해외에까지 각 브랜드 숍의 진출이 활황세를 보였던 이
코스모닝은 지난 창간 8주년 특집 I호를 통해 일본 화장품 산업 유통 변화(오프라인 매장 환경과 소비자 구매 패턴 중심)를 통해 오프라인 채널의 미래를 △ 플래그십스토어(오프라인 매장)의 필요성 △ 코로나19 팬데믹과 오프라인 비즈니스의 재구축 △ 오프라인 매장의 정체성 재정립 등 세 가지 테마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번 특집 II호에서는 △ 오프라인 매장이 직면한 과제와 코-스토어 전략 제안의 배경 △ ‘코-스토어’(Co-Store) 전략 전개-매장(유통)·브랜드·소비자의 관점(1·2)등을 점검해 본다. 이번 창간 특집은 요시마츠 테츠로 주식회사 istyle(@코스메) 대표·CEO가 일본의 화장품 산업 전문 매체 ‘뷰티테크’를 통해 연재한 내용을 중심으로 재편집, 구성했으며 관련 연재물의 번역은 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 김승중 부회장의 도움으로 이뤄졌음을 독자 여러분께 밝힌다. <편집자 주> 지난 세 가지의 테마를 통해 제기하고 검토하며 전망했던 내용을 △ 오프라인 매장(유통) △ 브랜드 기업(제조·판매) △ 소비자 등 3대 구성 주체의 관점에서 정리를 해본다. 우선 오프라인 매장은 ① 오프라인에서 구매하는 고객 수 감소는 피할 수 없다 ② 자사 EC
브랜드 세계관 체험, 소비자는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최근 일본의 많은 화장품 브랜드는 ‘체험’을 중요한 요소로 판단, 큰 투자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브랜드가 긴자나 오모테산도에서 브랜드 체험 중심의 팝업스토어를 전개하고 있다. 다만 이들의 대부분은 판매가 목적이 아니라 브랜드를 체험(경험)하는데 중심을 둔다. 미래의 기술을 도입, 디자이너·아티스트와 컬래버레이션한 해당 브랜드의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의 경우에도 크게 다르지 않다. MZ 층의 핫 플레이스로 떠오른 ‘성수동’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브랜드의 팝업스토어가 연일 고객들의 관심과 발길을 끌고 있다. 여기서 질문 하나. 이들 화장품 브랜드가 보여주는 체험을 소비자는 얼마나 유용하게, 또 가치있게 받아들이고 있는가. 질문 하나 더. 이들 팝업스토어를 운영하는 비용과 투자에 대비해 실제 매출과 판매로 이어지고 있는가. 요시마츠 엣코스메 대표는 이 대목을 지적한다. 즉 그 팝업스토어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예를 들어 △ 브랜드의 핵심 팬을 위한 것인지 △ 아니면 아직 브랜드를 경험하지 않은 새로운 (잠재)고객을 향한 것인지 △ 사용자가 그 팝업스토어에 가서 체험해야 할 이유가 명확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