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스페인 마드리드무역관 유럽의 K-뷰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스페인 여성들에게도 최근 K-뷰티의 혁신성이 높이 평가되며 매출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 스페인 마드리드무역관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의 스페인 진출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BB크림이나 마스크팩과 같은 K-뷰티의 강점이 해외 글로벌 브랜드의 틈새시장을 파고 들고 있다고 무역관은 밝혔다. 증가하는 한국산 화장품 우선 2012년 스킨79의 마드리드 단독 매장 오픈이후 2015년에는 미샤가 바르셀로나에 단독매장을 열었으며 2016년 초부터 스페인에 131개의 매장을 보유한 세포라에 한국 화장품 코너가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현지 71개 매장을 보유한 화장품 유통업체 프리모르도 국내 브랜드를 취급하고 있으며 대도시는 물론 중소도시에서도 한국 화장품 전문 판매 사업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이 사업자들은 온·오프라인 병행으로 스페인 전역에 한국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SNS의 주목 스페인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은 품질 대비 저렴한 가격과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스트리트 컬처 브랜드 토니모리(사장 양창수)가 2017년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내에 5호점까지 매장을 오픈하며 중동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토니모리는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에 제다 2개, 리야드 1개, 알바틴 1개, 다와드미 1개 등 총 5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16년 9월 중동 세포라에 토니모리의 제품이 추가적으로 출시되면서 GCC국가(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UAE, 사우디아라비아)에도 입점하여 앞으로 더욱 중동시장 확장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중동지역에서도 여성활동 규제가 가장 엄격한 지역으로 대대적인 오픈 이벤트나 프로모션을 진행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많은 고객들이 토니모리가 현지 진출하기 전부터 알고 있었으며 한국산 화장품 및 한류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긍정적인 성장세가 기대되는 시장이다. 한편 중동 뷰티 시장에서는 토마토 모양의 독특한 용기 디자인과 뛰어난 브라이트닝 효과가 있는 ‘토마톡스 매직 마사지팩’이 인기다. 모공 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동 여성들은 모공 케어에 좋은 ‘에그 포어 라인’과 자연스러운 발색력을 자랑하는 ‘토니틴트’에 대한 선호도 역시 높은 편이다.
코트라 중국 광저우 무역관 자료 ‘웨이핀후이’가 설립 8년 만에 중국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 플랫폼인 타오바오, 징동에 이어 3위를 기록, 국내 화장품 기업들이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상반기 중국 온라인 B2C 시장 교역규모가 동기 대비 38.6%가 증가한 1조2천억 위안(약 208조7억 원)을 기록했다. 2016년 상반기 중국 인터넷 소매 B2C 시장 교역 점유율은 티엔마오(天猫), 징동(京东), 웨이핀후이(唯品会), 수닝이꼬우(苏宁易购), 궈메이짜이시엔(国美在线), 땅땅(当当), 이하오디엔(一号店) 등 순으로 상위 1~7위 플랫폼이 전체 시장의 9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2016년 2분기 중국 모바일 쇼핑시장 교역규모는 약 8천800억 위안(약 153조584억 원)으로 동기대비 104.5% 증가했다. 티엔마오+타오바오, 징동, 웨이핀후이가 모바일 쇼핑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수닝이꼬우, 땅땅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웨이핀후이(唯品会) 웨이핀후이(www.vip.com) 창립자인 션야(沈亚)는 1998년 홍샤오보어(洪晓波)와 함께 휴대폰 부속품 사업을 시작했으며 2007년 프랑스의 브랜드 할인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영감을 얻은 뒤 전자상거래
'코스모닝'에서는 중국에서의 수익성 확보가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국 화장품 시장의 새로운 돌파구로 각광받는 '무슬림'(할랄) 시장에 한국 화장품 업체가 진출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할랄인증부터 할랄시장현황, 현지 진출방안 등을 현지(터키, 키르기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 한국 대사, 할랄 선진국 화장품 기업, 그리고 국내 할랄시장 전문가들로부터 직접 의견을 듣고 한국 화장품 산업의 ‘무슬림시장’ 진출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했다. 이번에는 뷰티와 패션의 선진국 스페인에서 최초로 할랄인증을 받은 화장품 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Laboratorios VALQUER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스페인內 화장품 기업 최초 할랄인증 획득, 무슬림 국가 진출에 박차 Laboratorios VALQUER 연구소(대표 José Luis Cerrillo·이하 Valquer)는 1975년 설립된 화장품 연구·개발 및 뷰티 전문 업체다. 화장품을 비롯한 헤어케어, 향수 등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 대만 등 아시아와 멕시코, 베네수엘라 등 남미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하며 세계적으로 제품력과 기술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화장품 시장이 중국 정부의 제제 강화로 중국에서의 수익성 확보가 불안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내년 중국의 행보에 따라 성장동력을 잃을 수도 있는 국내 중소 업체들은 침체된 한국 화장품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을 돌파구를 찾기 위해 바삐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시장이 중동과 터키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무슬림, 즉 ‘할랄화장품’ 시장이다. 전 세계 73 억명중 무슬림 인구가 17 억명이다. 이는 전 세계 인구의 23%를 차지하는 비율이다. 2020년에는 세계인구 25%, 즉 1/4이 무슬림 인구가 될 전망이다. 이에 ‘코스모닝’에서는 무슬림(할랄) 시장에 한국 화장품 업체가 진출할 수 있도록 무슬림 국가 진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할랄인증부터 할랄시장현황, 현지 진출방안 등을 현지(터키,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 한국 대사, 할랄 선진국 화장품 기업, 그리고 국내 할랄시장 전문가들로부터 직접 의견을 듣고 한국 화장품 산업의 '무슬림시장' 진출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했다. 정치, 경제, 문화 등 각 분야에서 우리와의 협력 가능성이 큰 나라중 하나인 키르기스스탄의 정병후 대사
영화진흥위원회 조사 발표 자료 모바일 휴대폰 기능 개선이 이뤄지면서 중국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 수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며 13억명이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중국에 진출한, 진출 예정인 국내 화장품 기업들의 매출 증대와 마케팅 전략에 있어 모바일 활용이 성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이용자 수, 13억 900만명 올해 1월에서 8월까지 기준, 중국 내 모바일 기기 보급률이 94%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모바일을 활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는 13억 900만명을 넘어 전년동기대비 약 123%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 10월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공개한 올해 1월에서 8월까지의 통신업 경제운행상황 보고에 따르면 모바일 서비스에 가입한 인구수는 6억 1천만 명을 넘어섰다. 이 중 매일 모바일로 인터넷에 접속해 각종 영상물을 시청하는 인구 수가 5억 1천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활용 급증 최근 중국 최대 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의 데이터 통신량이 두 배 이상 급증하는 등 중국 모바일 시장이 전반적인 급성장을 보이고 있다. 차이나모바일이 올 상반기 집계한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매출액은 1천775억 위안(약 31조
Tanamera는 말레이어로 '붉은 지구'를 뜻한다. 열대 우림의 풍부한 토양에서 우수한 성분을 공급받는 다양한 천연 원료로 만들어지는 Tanamera의 제품에 가장 어울리는 이름이다. 고품질, 안전, 그리고 친환경을 경영 철학으로 유럽, 중동 및 미주 지역 국가에 스파 관련제품은 물론 전통 말레이 트리트먼트 기술도 수출하고 있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말레이시아 뷰티·스파 브랜드다. 지속적인 원료연구와 기술개발을 토대로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 전 세계 15 개국 이상에 판매되고 있다. Tanamera 제품 콘셉트는 '아시아 열대성 스파 트리트먼트'에서 영감을 얻었다. 모든 제품은 인간친화적, 지구친화적, 그리고 동물친화적 요인을 고려해 개발되고 있으며 인조착색제, 화학 활성제, 방부제 및 기타 유해 성분이 일체 사용되지 않는다. 물론 모두 할랄의 규율에 따라 제조 생산되는 할랄화장품이다. Tanamera 관계자는 “현재 전 세계 유통되는 화장품은 독성화학 물질과 합성성분이 포함되어 있는게 적지 않다”며 “할랄 규율을 기반으로 천연 원료를 사용해 생산되는 Tanamera가 고객과 환경 모두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화장품이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Tanamer
100년 화장품 기업, 할랄로 새로운 100년 연다. 산·학·관 협력으로 탄생한 사이타마현 최초 할랄화장품 브랜드 ‘Melati’ 이시다코쇼(ISHIDA KOSHO·石田香粧)의 역사는 1915년 작은 화장품 가게를 열면서 시작된다. 지금으로부터 100 년 전이다. 소규모 가내 수공업으로 시작했지만 일본 특유의 장인 정신을 바탕으로 ‘저렴하고 양질의 상품을 파는 가게’로 고객들의 신뢰를 받으며 성장했다. 창업후 100년, 2016년 8월 이시다코쇼는 할랄 인증 화장품 ‘Melati’(멜라티) 시리즈를 대중에게 선보인다. 사이타마현에서는 최초로 산·학·관이 공동으로 탄생시킨 ‘Made in Japan’ 할랄 인증 화장품이다. 멜라티는 이슬람 율법에 따라 돼지성분과 알코올을 일절 배제해 만든 천연 화장품이다. 사이타마현에서 규정한 ‘할랄 화장품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에 맞춰 원료와 성분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까지 매우 엄격한 검사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올 7월 종교 법인 ‘일본이슬람 문화센터’에서 할랄 인증을 획득했고 사이타마현 ‘할랄 화장품 원료 등 연구 개발 컨소시엄’에서 공식 할랄 인증 화장품이 됐다. ‘멜라티’ 개발
코트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무역관 루마니아 화장품 시장 규모는 지난해 7억8천만 유로(약 9천659억 9천880만 원)수준으로 유럽 내에서도 성장 잠재력이 높아 국내 화장품 업체들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무역관은 현지 진출 위해서는 현지 제조와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루마니아 화장품 시장과 동향에 대한 자료를 발표했다. 화장품 수요 발전 단계 루마니아의 연간 1인당 화장품 구입액은 40유로(약 5만원)수준으로 프랑스, 독일 등과 비교해서는 30% 수준이며 폴란드와 비교 시 50% 수준에 그쳐 있으나 향후 소득 증가로 인한 시장 성장 잠재력은 높이 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제품 분야별로 보면 대부분의 제품 영역에서 판매가 지속 증가하는 가운데, 특히 피부관리, 피부색 보정 및 자외선 관리 등의 품목에 대한 소비수요가 대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화장용품 전문 유통채널이 그동안 대도시 지역에만 집중돼 있었으나, 최근 중소도시와 농촌지역까지 소매점이 확장되고 있다. 더모·색조·남성 등에 주목 필요 약국을 통해서 판매되는 더모코스메틱의 판매가 최근에는 뷰티 전문 소매업체와 대형마트까지 확
코트라 미국 뉴욕무역관 자료 블랙프라이데이 세일상품으로 선정되기 위해서 벤더를 활용하는 것이 성사율을 높이고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 미국 뉴욕 무역관은 자료를 바탕으로 이같이 밝히고 블랙프라이데이 세일 상품 선정을 위한 전략을 공개했다. 세일 제품 선정 세일 제품 선정은 최소 2년치 기존 판매실적 점검 후, 시장성 검증된 제품으로 이뤄져 소비자들에게 브랜드 인지도가 높은 제품을 위주로 선정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들은 특정 소매업체의 블랙프라이데이 세일과 관련 상품, 가격 등에서 무의미하고 판단 될 경우 소셜미디어를 통해 부정적 견해가 확산돼 품목 선정에 신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브랜드가 잘 알려지지 않은 제품의 경우 블랙프라이데이 시작 전 상당 기간 동안 광고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 제고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인 것으로 전망된다. 벤더를 활용하라 블랙프라이데이 세일 행사에 포함되기 위해 벤더가 유통업체에게 신뢰를 받고 벤더가 모든 리스크를 감당할 경우 세일품목으로 선정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이유는 대형업체의 바이어가 담당하는 품목이 최대 3000여 개에 달하는 상황으로 유통업체 바이어들은 벤더에
코트라 이스라엘 텔아비브무역관 자료 이스라엘 온라인 화장품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면서 국내 화장품에 대한 수요와 관심도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이스라엘이 화장품 수입규제 완화를 논의하고 있는 상황으로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코트라 이스라엘 텔아비브 무역관은 자료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현지 화장품 바이어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 동향을 전했다. 규제 완화 & 온라인 활성화 올해 8월 이스라엘은 화장품 병행수입 확대를 위한 목적으로 화장품 규제 완화가 승인된 상황으로 재무부의 계획에 따르면 향후 화장품 수입 시 표준원의 허가 없이 수입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은 대기업의 독점이 이뤄진 것이 특징으로 가격대는 비교적 높은 편에 해당되며 3개의 대기업에 주로 편중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이스라엘에 온라인 시장이 활성화 되면서 오프라인보다 저렴한 해외 온라인을 통한 화장품 소비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온라인 구매 확대에 최근 국내 화장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으로 다수 이스라엘 화장품 수입업체들의 국내기업 문의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H&N(HALAL&NATURAL·대표 사토히토시·佐藤 齊)는 일본 내 할랄화장품 및 OEM 전문 업체다. 2015년 설립된 작은 회사가 왜 할랄화장품 시장에 관심을 가지고 진출하게 되었는지 궁금했다. 가깝고도 먼나라 일본의 소상공인으로 할랄시장에 도전장을 내민 H&N의 사토히토시 대표로부터 이야기를 들어봤다. H&N은 어떤 회사인가? (주)H&N은 ‘HALAL’과 ‘NATURAL’입니다. 2015년 설립된 할랄 화장품 화장품 전문 기업으로 토쿄 경제의 중심 ‘긴자’에 위치해 있습니다. BB크림, 에센스 등 할랄화장품을 제조와 할랄화장품 OEM 사업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시세이도와 고세 보다 먼저 할랄 화장품을 생산하며 차후 일본제 할랄 화장품의 개척자가 되자는 마음으로 창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H&N이 생각하는 할랄이란? 전세계 57개국 18 억여명의 인구가 무슬림이며 이들의 생활에 꼭 필요한 모든 제품을 일컬어 할랄이라 합니다. 할랄은 이제 단순히 무슬림만을 위한 제품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들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건강한 제품들을 총칭하는 단어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왜 할랄 화장품 전문 기업이 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