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회장 김성수·이하 코비타)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이하 중기부)가 K-뷰티 중소·벤처기업 현지 인지도 제고와 중동시장 진출 촉진을 위해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K-뷰티 혁신사절단’(이하 사절단)을 사우디아라비아에 파견, 시장 개척을 위한 물꼬를 텄다. 사절단은 지난 5월 발표한 ‘중소·벤처기업 글로벌화 대책’의 후속조치로 지난 8월 베트남 첫 파견한 이후 두 번째 파견이다. 특히 이번 사절단은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 화장품·뷰티 분야로 집중, 관련 기업 19곳으로 사절단을 구성했다. 지난해 말 기준 대 사우디아라비아 중소기업 화장품 수출은 2천760만 달러를 기록, 지난 2021년 1천670만 달러 대비 65.3% 증가세를 보였다. 동시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 K-뷰티 브랜드와 제품 인지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난 7월 사우디아라비아 에이만 알 무타이리 상무부 차관은 오영주 중기부 장관에게 사우디아라비아에서의 ‘K-뷰티’ 인기를 언급하며 한국 뷰티 중소기업의 사우디아라비아 진출을 요청하기도 했다. 중기부는 이러한 상황을 적극 반영, 이번에 열린 ‘비반’(BIBAN) 행사기간에 사절단을 구성, 파견하기에 이르른 것. 코비타는 행사장
대전대학교 LINC3.0사업단 산하 화장품·뷰티산업협의회(책임교수 임미혜)-(사)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회장 김성수·이하 KOBITA)-화장품OEM협의회(회장 노향선·이하 KC-OEM)등 세 기관이 한국과 일본, 유럽 화장품 시장에 대한 최신 정보와 이슈를 교류하면서 급변하는 시장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들 세 기관은 지난달 30일, 오프라인(KOBITA 회의실)-온라인 이원 연결을 통해 △ 김수미 대표(코스웨이)의 ‘화장품 산업 트렌드와 위기의 K-뷰티’ 주제 발표·패널 토론△ 김수연 차장(레인메이커스)의 ‘일본 화장품 시장 진출 방안’ △ 조성선 대표(네모브랜즈)의 ‘유럽 화장품 시장 진출 방안’ 등에 대한 발표와 논의를 진행했다. 김수미 대표는 최근의 국내 화장품 업계 동향·수출 상황·해외 화장품 트렌드 정보를 공유하는 한편 K-뷰티에 대한 재정의와 방향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한 패널 토론에서는 대 중국 수출 급락의 원인 원인과 대책 등에 대한 의견도 오갔다. △ 큰 노력 없이 한국산이라는 프리미엄으로 인기 상품 위주로 쉽게 진출했던 전략 부재의 관행 탈피 △ 세계 최대의 시장으로 성장할 중국에 대해 ‘탈 중국’이 아닌 ‘재탈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