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 기반기술 개발 사업단(사업단장 황재성· www.ncrkorea.kr ·이하 사업단)이 ‘2025년도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사업’ 공모를 통해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 지원할 최종 신규과제 11개를 선정, 발표했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가 추진하는 연구개발(R&D) 지원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이 사업은 피부과학 기반기술 연구와 필수 고부가가치 기초소재 개발을 통해 국민 피부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화장품 산업을 국가 주요 미래 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올해 신규 과제 공모에서는 전체 8.5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특히 2개 과제를 선정하는 ‘세계 최고 수준 화장품 소재 기술 개발(A형)’ 분야의 경우 2개 과제 선정에 41개 과제가 응모해 20.5대 1이라는 치열한 경쟁 양상을 연출했다. 그렇지만 ‘규제대응 평가기술 지원–수출인허가 대응 평가기술 지원’ 분야는 선정 과제가 당초 예정된 지원 대상 과제 수에 미치지 못함에 따라 추가 공고를 진행 중이다. 오는 2027년 종료하는 이 사업은 3년의 연구기간을 부여하는 대부분의 지원분야에서 이번에 선정한 과제가 마지막 신규과제 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과제 선정평가는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단장 황재성 경희대 교수·이하 사업단)이 올해부터 수행할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 사업’의 신규지원 대상 과제를 공고, 사업 진행이 본 궤도에 진입한다. 사업단이 지난 16일자로 공고한 내용에 따르면 올해 사업은 크게 △ 피부건강 증진 기반기술 개발 △ 필수 고부가가치 기초소재 개발 △ 규제대응 평가기술 지원 등 세 가지 영역에서 각각 두 가지 씩의 분야별 지원을 통해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다만 필수 고부가가치 기초소재 개발 영역에서는 두 가지의 각 분야에서 각각 다시 두 가지의 세분화 내용을 적용함으로써 4개 부분의 지원이 이뤄진다. <표 참조> ‘화장품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을 통한 K-뷰티 지속성장 동력 확보’를 목표로 삼고 이의 달성을 통해 ‘글로벌 화장품 수출 2대 강국 진입’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고 있는 이번 사업에는 앞으로 5년 간 460억 원 규모 이상(사업단 운영예산 포함)의 예산을 투입할 전망이다. 세부 내용을 들여다보면 우선 피부건강 증진 기반기술 개발 영역에서 △ 환경요인 대응·피부장벽 조절 기술(선정 예정 과제수 6개·이하 괄호 안의 숫자는 선정 예정 과제수를 뜻함) △ 탈모, 피부감각·
피부기반기술개발사업단(이하 사업단)이 올해부터 수행할 보건복지부 지원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 사업’의 신규 과제 RFP(Request For Proposal·제안요청서)가 사전공시됐다. 올해 신규 과제 RFP 사전 공시에 따르면 해당 사업은 크게 △ 피부건강 증진 기반기술 개발 △ 필수 고부가가치 기초소재 개발 △ 규제대응 평가기술 지원 등 세 가지 영역에서 각각 두 가지 씩의 분야별 지원을 통해 앞으로 5년 간 460억 원 규모 이상(사업단 운영예산 포함)의 예산을 투입하게 된다. 즉 피부건강 증진 기반기술 개발에서는 △ 환경요인 대응·피부장벽 조절 기술(선정 예정 과제수 6개·이하 괄호 안의 숫자는 선정 예정 과제수를 뜻함) △ 탈모, 피부감각·피부유형 맞춤형조절기술 개발(5개)이, 필수 고부가가치 기초소재 개발은 △ 세계 최고 수준 화장품 소재기술 개발(A형 6개·B형 1개) △ 수입대체 국산화 소재 개발(C형 5개·D형 1개)이, 그리고 규제대응 평가기술 지원 의 경우에는 △ 수출인허가 대응 평가기술(3개) △ 신원료 등록과 선행사업 연계 수출 전략제품 개발(2개)에 대한 내용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올해 모두 29개의 세부 과
오는 8일까지 사업단장 공모 관련 의견 수렴 내년 2월 말 그 동안 진행해 온 사업의 최종 평가를 마지막으로 사업을 종료하는 피부과학 응용소재 선도기술 개발사업단(단장 황재성 경희대학교 교수)에 이어 화장품 R&D사업을 계속 진행해 갈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 기술개발 사업단’(이하 피부건강 기술개발 사업단)의 지원 내용과 규모 등이 윤곽을 드러냈다. 이와 함께 피부건강 기술개발 사업단을 이끌어 갈 사업단장 공모에 대한 의견수렴도 진행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지난 1일자로 ‘2023년도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 기술개발 사업단(장) 제안요청서(RFP·Request For Proposal)’를 사전 공시하고 해당 사업의 목적과 지원내용·규모 등과 함께 사업단장의 지원자격을 포함한 임기·근무조건 등을 제시했다. 2023년부터 사업을 진행할 피부건강 기술개발 사업단은 2027년까지 총 5년(3년+2년 단계별 평가) 간 459억3천700만 원(전액 정부출연금, 민간매칭 예산은 별도)의 연구비 예산으로 사업을 진행하며 1차년도인 2023년 연구비 예산은 63억7천500만 원으로 집행한다. (사업단 운영 예산 7억5천700만 원은 별도) 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