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뷰티에 대한 명암이 공존하는 미국. 빅데이터‧뷰티테크 기반 초개인화 화장품이 강세인 일본. 더마코스메틱과 천연 화장품이 인기인 프랑스. 미국서는 ‘K-뷰티=스킨케어 혁신’으로 인식된다. K-뷰티를 위한 마케팅 전략은 ‘현대적인 이미지+효능 객관적 입증+최첨단 원료’로 나타났다. 일본시장에선 아이메이크업이 강세다. 걸그룹 등 한류 스타를 활용한 투명+여성스러운 메이크업 컬렉션이 유망하다. 프랑스에선 한국식 뷰티루틴이 화제다. 결점없는 피부를 만드는 스킨케어 레이어링과 헤어 마스크+마사지를 통한 헤어케어법이 강세다. 이는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CIRS그룹이 오늘(19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2024년 글로벌 화장품 진출 지원 세미나’에서 제시됐다. 양세환 EC21 R&C 책임연구원은 ‘미국‧일본‧EU 화장품시장 현황 및 트렌드’를 발표했다. 미국 #클린 #퍼스널 #틴트 # 아마존 ‘과대광고로 얼룩진 클린뷰티 시장.’ 미국시장에서는 클린뷰티의 성장성과 회의론이 공존하고 있다. 화장품 브랜의 40~70%가 과장된 표현을 사용하면서 클린뷰티 신뢰도가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코로나19 이후 브로슈어를 우편 발송하는 마케
위드 코로나 시대를 맞아 화장품산업이 다시 바빠졌다. 신발끈을 동여매고 세계를 운동장 삼아 뛸 태세다. 수출을 통한 지속 성장과 수출국 다변화. K-뷰티의 숙제다. 숙제를 풀기 위해 글로벌 뷰티 전문가들이 모였다. 27일(금) 서울 삼성동 코엑스 그랜드볼룸 102호에서 열린 ‘2022 화장품 산업의 미래 화두-글로벌 세미나’에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온라인 비즈니스로 재편된 K-뷰티의 현황을 살폈다. 또 미국 일본 동남아 등 주요 수출국의 시장 동향과 진출 전략을 제시했다. 글로벌 B2B 전자상거래 뷰티산업 트렌드 비키신 알리바바닷컴코리아 사업개발팀 과장은 ‘글로벌 B2B 전자상거래 뷰티산업 트렌드와 기회’를 발표했다. 그는 알리바바닷컴 내 뷰티 & 퍼스널케어 부문의 수요 증가율을 분석했다. 수요가 급증한 품목은 △ 스킨케어 △ 메이크업과 툴 △ 헤어 케어‧스타일링 △ 붙임머리와 가발 △ 인조 속눈썹 등이다. 이들 품목은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하고 진입장벽이 낮아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품목별 점유율은 △ 스킨케어 △ 헤어케어 △ 샤워&보디 순이다. 주요 뷰티 바이어의 국가는 미국 영국 캐나다 프랑스 인도 등이
프리미엄 뷰티시장 성장 세계적 추세…美·中·日 '3강 구도' 유로모니터가 프리미엄 뷰티시장이 세계적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 뷰티시장은 5년 뒤 5천 30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한국지사장 고은영)은 뷰티·퍼스널 케어 부문 시장규모와 전망을 발표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뷰티시장 규모는 4천 600억달러이며, 지난 5년 동안 1.7% 성장했다. 이 가운데 프리미엄 뷰티시장이 지난 5년 동안 3.5% 신장하며 가장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다. 영유아 제품도 지난 5년 간 2.4% 성장했으며, 오는 2022년까지 4.2%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에서는 지난 5년 동안 데오도란트와 색조, 영유아 제품, 향수 시장이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유로모니터는 글로벌 뷰티시장의 미래 키워드를 프리미엄으로 꼽았다. 이리나 바바로바 유로모니터 뷰티&패션 부문 글로벌 리서치 총괄은 “프리미엄 뷰티시장은 매년 성장률을 상회할 정도로 커지고 있다”며 “프리미엄 트렌드가 두드러지는 스킨케어와 색조는 지난해 각각 7%, 9%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 심리가 선케어·클렌징·페이셜 마스크·모이스춰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