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티산업과 ESG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 전략을 모색하는 학술행사가 열렸다. 한국미용학회(회장 한명숙)가 8일(토) 제주 한화리조트에서 ‘2024년 제61회 하계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ESG로 준비하는 뷰티 산학연의 뉴 패러다임’을 주제로 삼았다.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ESG 경영에 기반한 뷰티 교육‧취업‧창업 모델이 제시됐다.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미래형 녹색 일자리 육성안과 외국인 유학생 유치 방안 등도 나왔다. 논문 발표에서는 △ 여성의 퍼스널컬러 진단과 화장품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메이크업 행동변화의 매개효과 검증(안진정‧세명대) △ 프랜차이즈 헤어살롱 종사자가 인식하는 ESG 촉진요인이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권소형‧박은준, 서경대) △ 40-50대 여성이 자각하는 피부노화에 따른 화장품 사용 특성(김현경‧영산대, 송아람‧최미옥‧광주여대 △ K-POP 스타가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대를 중심으로(성혜림‧백석대, 허정록‧백석예술대) 등이 소개됐다. ESG와 뷰티산업을 연계한 특강도 진행했다. 박정규 한국라이브커머스협회 대표는 ‘K뷰티의 ESG를 위한 라이브커머스 활용 전략’을 내놨다. 한‧중 라이브커머스 산업 동향과 ES
인공지능을 만난 뷰티산업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K-뷰티는 어디까지 왔고, 어디로 가나. 서울시가 21일(목)부터 24일(일)까지 4일 동안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2023 서울뷰티위크’를 열고 K-뷰티의 미래 성장동력을 모색한다. ‘2023 서울뷰티위크’에서는 뷰티 선도기업이 강연을 열고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21일 전문가 강연 1부는 ‘혁신’을 주제로 삼았다. 연사 3명이 뷰티산업 트렌드와 청사진을 소개한다. 강의 주제는 △ 인공지능과 접목한 뷰티산업의 가능성(신민영 ICON.AI 대표) △ 뷰티의 성장 가능성과 방향성(이영진 아모레퍼시픽 넥스트뷰티 디비전 상무) △ 2024년 온라인 플랫폼 트렌드(서귀생 컬리 상품본부장) 등이다. 22일 전문가 강연 2부 주제는 ‘트렌드’다. △ 당신이 먹는 것이 곧 당신(송현석 신세계푸드 대표) △ 선케어마켓 트렌드(계성봉 한국콜마 소장) △ 뷰티 리테일의 새로운 동력(김성철 무신사 커머스 팀장) 등을 설명한다. 아울러 로레알코리아는 22일 오후 4시부터 2시간 동안 ‘로레알 북아시아 뷰티 트라이앵글 서밋’을 진행한다. 한·중·일 뷰티 트렌드를 살피고 로레알의 혁신사례를 공유한다. 패널 토의에선 한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