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소비자의 78%는 최근 6개월 동안 화장품 지출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을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소비자가 전세계적으로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뷰티제품의 온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11% 늘었다. 이는 커머스 미디어기업 크리테오가 발표한 ‘2024년 뷰티 & 헬스 트렌드 인사이트’ 보고서에서 나왔다. 보고서는 세계 뷰티업계의 온라인 쇼핑 트렌드를 분석했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영국‧프랑스 등 세계 소비자 6,755명을 설문조사했다. 1분기 세계 화장품 온라인 매출 11.3%↑ 올해 1분기 세계 뷰티&헬스 분야의 온라인 매출은 두 자릿수 신장했다. 2023년 1분기보다 뷰티제품의 온라인 트래픽은 14.3%, 온라인 거래는 11.3% 증가했다. 소비자의 디지털 플랫폼 선호 현상이 뚜렷해진 가운데 뷰티가 온라인 리테일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미주 지역에선 뷰티제품의 온라인 매출이 17.1% 늘어 가장 큰 폭으로 성장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8.2%로 뒤를 이었다. 이는 데스크톱보다 모바일 기기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는 추세를 반영한다. 올해 1분기 모바일 거래는 2022년 1분기 대비 4% 신장했다. 브랜드 윤리성‧지속가능성 검색 응답
한국 여성 소비자는 인터넷 쇼핑몰에서 뷰티 정보를 얻는 반면 미국은 가족·친구에게, 일본은 매장에서 접한다. 한국 여성 소비자가 사용하는 스킨케어 제품 수는 평균 6.15개다. 미국 여성 소비자는 색조 제품을 평균 6.35개 쓴다. 한국은 쿠션‧립스틱, 미국은 아이프라이머‧마스카라‧아이라이너, 일본은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의 사용률이 두드러졌다. 한국은 온라인 침투율이 91.8%로 미국 일본보다 높았다. 일본은 온라인 침투율이 57.8%로 3개 국가 중 가장 낮았다. 미국은 75.4%의 침투율을 기록해 온라인 구매 전환이 진행될 여지가 많다는 분석이다. 오픈서베이가 한국·미국·일본 소비자를 비교 분석한 ‘뷰티 트렌드 리포트 2023’을 펴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3개국 소비자의 피부관리 루틴부터 화장품 구매 패턴과 사용형태 등을 다뤘다. 조사 대상은 한국 미국 일본에 거주하는 만 20세부터 59세 여성 각 1천 명씩 총 3천 명이다. 1월 20일부터 30일까지 모바일 조사를 실시해 뷰티 특징을 도출했다. 뷰티 정보 습득 채널 수 한국 3개 한국 소비자의 뷰티 정보 접촉 채널 수는 평균 3.04개, 미국은 2.42개, 일본은 1.19개로 집계됐다
한국 여성 소비자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 뷰티 정보를 접한다. 미국 여성 소비자는 페이스북‧틱톡‧핀터레스트 활용도가 높았다. 한국 소비자는 미국 소비자보다 화장품 사용 개수가 많으며, 스킨케어 제품에서 차이가 두드러졌다. 색조 화장품 부문에서 한국 소비자는 선케어‧아이브로우‧쿠션을 선호했다. 미국 소비자는 파운데이션 아이프라이머 아이섀도를 즐겨 썼다. 미국 소비자 10명 중 4명은 K-뷰티를 알거나 구매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픈서베이가 한국과 미국 소비자를 분석한 ‘뷰티 트렌드 리포트 2022’를 발표했다. ‘뷰티 트렌드 리포트 2022’는 20세부터 49세 사이의 한국과 미국 여성을 조사한 결과다. 1월 3일부터 9일까지 모바일앱과 웹에서 설문을 실시했다. 한국 여성은 1천5백명, 미국은 2천명이 참여했다. 스킨케어 사용갯수 한국 5.37개 한국 응답자의 98.1%는 평소 뷰티정보를 접한다고 밝혔다. 평균 채널 3.47개에서 정보를 접촉했다. 한국과 미국 응답자 모두 SNS에서 정보를 얻었다. 한국은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서, 미국은 페이스북‧틱톡‧핀터레스트에서 정보를 구했다. 한국 소비자는 스킨케어 제품 5.37개를 사용한다. 미국 소비자는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