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상반기에는 아누아‧스킨1004‧더랩바이블랑두 등 신생 브랜드가 인기를 끌었다. 다이소 화장품과 브이티 리들샷은 검색이 급상승했다. 선케어 신제품이 늘었다. 남성‧영유아‧임산부용으로 세분화한 자외선 차단제가 늘었다. 이는 화해가 발표한 ‘2024 하반기 뷰티 트렌드 리포트’에서 확인했다. 화해는 앱에 축적된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해 인기 제품‧브랜드성분‧효능을 분석했다. 누적 회원수 1100만 명, 등록 제품 35만 개, 월간 제품 조회수 2900만 개를 살펴 뷰티 트렌드를 제시했다. 마스크팩‧패드‧클렌징밤 조회수↑ 올 상반기 화해에서 조회수가 급상승한 카테고리는 △ 필 오프 마스크팩(61.9%) △ 패드(24.4%) 클렌징밤(14.6%) △ 클렌징 로션‧크림(6.8%) 순이다. 필 오프 마스크팩은 시원하게 뜯어내는 사용감과 모공 관리 효과로 입소문 탔다. 조회수 는 제품은 △ 메디필 레드 락토 콜라겐 랩핑 마스크(1869%) △ 린제이 모델링 마스크 컵팩-차콜(445%)‧쿨티트리(24%). 2024년 상반기 조회수‧거래액이 늘어난 브랜드는 아누아‧스킨1004‧더랩바이블랑두다. 대표 제품은 △ 아누아 ‘어성초 87 약산성 딥 클렌징 워터’ △ 스킨10
한국 소비자의 78%는 최근 6개월 동안 화장품 지출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을 온라인에서 구매하는 소비자가 전세계적으로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뷰티제품의 온라인 매출은 전년 대비 11% 늘었다. 이는 커머스 미디어기업 크리테오가 발표한 ‘2024년 뷰티 & 헬스 트렌드 인사이트’ 보고서에서 나왔다. 보고서는 세계 뷰티업계의 온라인 쇼핑 트렌드를 분석했다. 한국을 비롯한 미국‧영국‧프랑스 등 세계 소비자 6,755명을 설문조사했다. 1분기 세계 화장품 온라인 매출 11.3%↑ 올해 1분기 세계 뷰티&헬스 분야의 온라인 매출은 두 자릿수 신장했다. 2023년 1분기보다 뷰티제품의 온라인 트래픽은 14.3%, 온라인 거래는 11.3% 증가했다. 소비자의 디지털 플랫폼 선호 현상이 뚜렷해진 가운데 뷰티가 온라인 리테일 트렌드를 이끌고 있다. 미주 지역에선 뷰티제품의 온라인 매출이 17.1% 늘어 가장 큰 폭으로 성장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8.2%로 뒤를 이었다. 이는 데스크톱보다 모바일 기기를 선호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는 추세를 반영한다. 올해 1분기 모바일 거래는 2022년 1분기 대비 4% 신장했다. 브랜드 윤리성‧지속가능성 검색 응답
△ 미니멀 메이크업 △ 기능성 쿠션 파운데이션 인기 △ 홈케어 뷰티 디바이스 확대 △ 이너뷰티 제품 증가. 코로나19가 강타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뷰티시장에서 두드러진 특징이다, 포인트만 살린 간소화 메이크업이 대세를 이뤘다. 마스크 착용에 맞춘 메이크업 제품이 개발됐다. 보디용품 헤어케어 향수 등으로 뷰티영역이 확장됐다. 이는 레페리가 발표한 ’2022 뷰티 인사이트‘ 트렌드 보고서에서 확인했다. 레페리는 2020년부터 2021년까지 2년 동안 국내 뷰티 유튜버 1천447명이 제작한 콘텐츠 3만4천889개를 분석했다. 레페리는 보고서에서 “장기화된 코로나19 환경에도 아름다움에 대한 열망은 꺾이지 않았다. 외부 환경에 적응하고 변용된 다양한 뷰티 흐름이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어 “2022년 임인년은 위드코로나 시대다. 메이크업 시장이 서서히 회복할 움직임이다. 뷰티시장은 디바이스와 결합해 개인 맞춤화 방향으로 진화할 움직임이다”고 밝혔다. 얼굴만큼 보디케어도 신경 쓰는 시대 보디케어 관련 유튜브 콘텐츠가 증가했다. 지난 해 스킨케어 부문에서 보디케어 콘텐츠는 전년대비 114.3% 늘었다. 지난 해 하반기 보디워시 제품 노출이 늘고, 핸드‧풋 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