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화장품·뷰티 기업들의 수출 성적표가 제 61회 무역의날 기념식과 수출의탑 시상식을 통해 여실히 입증됐다. 지난 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가 개최한 행사에서 화장품·뷰티 기업들은 서훈·표창부문에서 은탑 산업훈장을 포함해 모두 52명이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이는 지난해의 25명과 비교할 때 27명이 더 늘어난 숫자다. 이와 함께 수출의탑 시상에서도 지난해에는 한 곳도 없었던 2억불 수출의탑을 네 곳(실리콘투·(주)에이피알·(주)코스알엑스·코스맥스(주))이 수상한 것을 비롯, 모두 194곳의 기업이 수출의탑을 받았다. 2024년 상품 기준 수출실적 1천만불 이상인 기업 중에서 선정하는 특별상-브랜드탑에서도 3곳의 수상 기업 중 (주)에이피알(브랜드 메디큐브)과 티르티르(브랜드 티르티르), 두 곳이 화장품 기업이었다. 지난해 수출의탑을 수상한 화장품·뷰티 기업은 모두 163곳이었으며 올해는 이 보다 31곳이 증가한 셈이다. 특히 10여년 넘도록 상승세를 타다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이 한 풀 꺾였던 지난 2022년의 수출의탑 수상기업은 120곳에 머물렀던 데 비하면 74곳이 늘었다. <2024년 제 61회 무역의날 정부 훈·포장·표창장 수상자 명
한국무역협회가 7월 17일부터 8월 9일까지 ‘제61회 무역의 날’ 수출의탑‧유공자 포상 신청을 접수한다. 수출의 탑은 1백만 달러 이상 수출 기업에게 제공한다. 자사의 지난 수출의 탑 기록을 넘어설 때 수여한다. 수출 실적 집계 기간은 지난 해 7월 1일부터 올해 6월 30일까지다. 포상은 △ 훈장(5종) △ 산업포장 △ 표창(4종) 등 10가지다. 기업당 최대 3인까지 신청할 수 있다. 신청 대상은 △ 당해연도 수출실적 1백만불 이상인 기업의 대표자‧종업원(대표자‧사무직‧생산직 각 1인) △ 해당분야 수공기간이 3년 이상인 자 등이다. 신청 award.kita.net(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
코스모닝은 매월 10일을 기준으로 전월 한 달 동안 코스모닝닷컴에 실린 전체 기사의 꼭지별 클릭수를 분석한다. 독자가 어떤 분야의 기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화장품시장 트렌드를 통찰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서다. 이 분석은 B2B 중심의 코스모닝 독자가 가진 화장품업계 관심도를 집중 반영한다. 기사 분석 자료가 화장품회사의 마케팅‧영업‧홍보‧상품개발‧연구개발 부문 경영전략 수립 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 원료회사와 부자재회사 등 전방산업 종사자와 다양한 경로의 화장품 유통업 등 후방산업 종사자의 전략 수립에도 유용할 것으로 예상한다. <편집자 주> 2024년 화장품·미용 전시회 일정을 정리한 기사가 1위에 올랐다. 올 한해 글로벌 뷰티시장 트렌드와 제품‧원료‧기술 정보를 공유하는 국내외 전시회 약 80개를 소개했다. 화장품 전시회를 대표하는 코스모프로프는 3월 볼로냐에서, 11월 홍콩에서 열린다. 중국 전시회는 3월 광저우를 시작으로 상하이‧청두‧심천‧선전‧베이징‧항저우 등에서 실시된다. ‘인터참 코리아’는7월 24일부터 26일까지 ‘인-코스메틱스 코리아’와 공동 개최된다. 화장품 원료부터 ODM‧OEM‧완제품 흐름을 한 자리에
한국무역협회가 ‘수출의 탑’과 ‘한국을 빛낸 이달의 무역인 상’ 수상기업에 국세청 세정 지원을 제공한다고 13일 밝혔다. 한국무역협회는 국세청과 손잡고 수상기업에 △ 납부 기한 연장 △ 환급금 조기 지급 △ 정기 세무 조사 선정 제외 등 다양한 세정 혜택을 준다. 이는 국세청 미래성장 세정지원센터가 전담한다. 지난 해 수출의 탑 수상 기업의 경우 올해부터 국세청의 세정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수출의 탑’은 수출 증대에 기여한 기업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지난해 7월 1일부터 올해 6월 30일까지 1년 수출 실적을 기준으로 뽑는다. 2022년 수출의 탑 수상 기업 수는 약 1천7백개사다. 이들 기업의 총 수출금액은 1천145억 달러다. 전체 중소기업 수출 금액 가운데 15%를 차지한다. 한국무역협회는 국세청에 수출의 탑과 이달의 무역인 상 수상기업 명단을 전달할 예정이다.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중소기업이 고금리와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수출기업의 자금·세무애로를 극복하기 위해 세정 지원 혜택을 마련했다. 수출업체의 수출업체의 자금 압박을 해소하고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고 전했다.
코스모닝은 매월 10일을 기준으로 전월 한 달 동안 코스모닝닷컴에 실린 전체 기사의 꼭지별 클릭수를 분석한다. 독자가 어떤 분야의 기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화장품시장 트렌드를 통찰하는 기회를 갖기 위해서다. 이 분석은 B2B 중심의 코스모닝 독자가 가진 화장품업계 관심도를 집중 반영한다. 기사 분석 자료가 화장품회사의 마케팅‧영업‧홍보‧상품개발‧연구개발 부문 경영전략 수립 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 원료회사와 부자재회사 등 전방산업 종사자와 다양한 경로의 화장품 유통업 등 후방산업 종사자의 전략 수립에도 유용할 것으로 예상한다. <편집자 주> 2021년 12월. 한해를 마감하는 달이다. 지난 해 소비 트렌드나 인기 제품을 결산하는 기사에 시선이 모였다. 새치커버 샴푸를 놓고 모다모다와 식약처 간 입장차가 커지면서 관련 기사가 조회수를 올렸다. 국내 화장품업계의 최대 황금어장인 중국. 중국 뷰티시장 흐름과 법규 변화를 다룬 기사도 주목 받았다. 1위 기사는 ‘동원시스템즈, 코스팩토리 (가)압류 15곳 대상 소송’이다. 코스팩토리 관련 여섯 번째 기사다. 화장품 포장재 기업인 동원시스템즈가 지난 해 11월 4일 코스팩토리 채권
웰코스(대표 김영돈)가 5일 ‘제58회 무역의 날’을 맞아 1천 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제58회 무역의 날 기념식’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무역협회가 주최했다. 매년 수출을 통해 해외시장을 개척하고 일자리를 창출한 기업을 포상한다. 웰코스는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출을 확대했다. 특히 수출국을 아시아를 넘어 미국 CIS 유럽 등 전세계 42개 국가로 다변화했다. 이 회사는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화장품산업을 세계화한 공로를 인정받아 1천만불 수출의 탑을 거머쥐었다. 주요 브랜드는 △ 과일나라 △ 후르디아 △ 어라운드미 △ 메디팜 △ 컨퓸 등이다. 아울러 웰코스는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OEM ODM 사업도 펼친다. 자연주의 기초화장품부터 기능성 스킨케어, 미용 전문가용 제품까지 다양하게 선보인다. 김영돈 웰코스 대표는 “국가별 시장과 소비자 특성을 반영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현지화 차별화 전략을 바탕으로 글로벌 화장품기업으로 자리잡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뷰티 플랫폼 피비코스메틱(대표이사 김한주·pbcosmetic.co.kr)이 지난27일 태국 방콕 BITEC(방콕국제 무역 전시센터)에서 론칭 쇼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행사에는 약 5천명 정도의 태국 현지 소비자 및 바이어가 참여했으며 피비코스메틱은 장미태반 (ROSE PLACENTA) 성분을 컨셉으로 한 토너, 클렌징 휩 2종의 제품을 소개했다. 장미의 여왕이라고 불리우는 장미태반은 다마스 크로즈의 세포에서 개발 된 보습 성분이다.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주고 밝고 투명감있는 피부로 이끄는 안티에이징 케어 성분으로 세계에서 주목 받고 있다. 피비코스메틱 관계자는 "장미태반 제품이 행사에 참가한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었고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피비코스메틱은 지난 2015년 11월 설립 이후 필리핀, 인도네시아, 태국 등 해외 유수의 파트너사에 기초화장품, 색조화장품, 바디케어 등을 개발하여 수출하고 있으며 뛰어난 개발력을 인정받아 창업 1년만에 ‘백만 불 수출의 탑’ 수상을 달성한 바 있다. 이와 관련 피비코스메틱 김한주 대표이사는 “해외에서 요구하는 니즈를 정확하게 분석해 발빠르게 제품을 대응한 결과 뷰티 플랫폼 회사로서 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