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영은 1일부터 7일까지 글로벌몰에서 진행한 올영세일 주문액이 전년 동기 대비 107% 증가했다고 밝혔다. 한국을 방문해 K뷰티를 체험한 외국인들이 자국으로 돌아간 뒤에도 구매를 이어갔다는 분석이다. 화장품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 매출도 고르게 늘어 뷰티&헬스 시장에 청신호가 켜졌다. 이번 글로벌몰 올영세일에선 여러 상품이 고르게 주목 받았다. 헤어트리트먼트‧슬리밍제품을 비롯해 유산균‧치약 등이 잘 팔렸다. 외국인 소비자들이 마스크팩‧선케어를 집중 구매하던 과거와 달라진 모습이다. 식습관 개선에 관심이 많은 영미권 소비자는 유산균 등 건강식품을 사들였다. 헤어용품과 치아건강 수요가 높은 일본인 고객은 두피‧모발제품과 구강용품에 지갑을 열였다. 한국 화장품의 우수성을 경험한 해외 소비자들이 헬스 카테고리까지 시선을 돌렸다는 설명이다. 이번 글로벌몰 세일 기간 구강용품과 건강식품 주문액은 각각 217%, 188% 늘었다. 보디용품 주문액은 168%, 헤어용품은 127% 성장했다. 신진 브랜드 인기도 눈에 띈다. 아렌시아 떡솝(Rice cake soap), 바이오던스 마스크가 대표적인 예다. 이들 제품은 독특한 제형과 성분으로 인기 상품 TOP 15에 이
올리브영이 미국 LA에 현지법인 ‘CJ Olive Young USA’를 설립했다. ‘CJ Olive Young USA’는 북미 지역의 제품소싱‧마케팅‧물류를 맡는다. 올리브영은 미국법인을 교두보 삼아 미국에 1호점을 열 계획이다. 아울러 올리브영은 올해 미국법인을 통해 글로벌몰 역량을 강화한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은 K-뷰티 직구채널이다. 세계 150개국 소비자가 이용한다. 글로벌몰 매출의 대다수는 북미에서 나온다. 이커머스에 친숙한 미국 젊은층 사이에서 K-뷰티 열풍이 불면서다. 올리브영은 글로벌몰을 미국 소비자에게 맞게 고도화하는 단계다. 사용자 환경(UX/UI)‧결제수단을 개선하고, 제품 큐레이션을 강화해 만족도를 높일 전략이다. 글로벌몰과 올리브영 한국 본사 시스템을 연동해 물류 안정성을 높인다. CJ대한통운 미국법인과 손잡고 현지 물류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뷰티시장 규모는 5700억 달러다. 미국 뷰티시장은 단일 국가로는 세계 최대인 1200억달러(약 156조원)로 추산된다. 지난해 K뷰티 전체 해외 수출액 (102억달러)의 10배 이상이다. K-뷰티의 미국 수출액은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20%
‘외국인과 온라인’. 올리브영 할인 행사를 이끈 주역이다. 8월 31일부터 9월 6일까지 진행된 올영세일에서 외국인과 온라인 매출이 큰폭으로 늘었다. 이에 힘입어 올영세일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8% 증가했다. 서울 명동상권 매장에선 외국인 매출이 전년 대비 5배 이상 많아졌다. 제주‧부산‧강남 상권에서도 외국인 관광객이 큰손으로 떠올랐다. 올영세일 기간 ‘올리브영 글로벌몰’ 매출도 전년 대비 30% 늘었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은 해외 150개국서 운영하는 K-뷰티 역직구 사이트다. 글로벌몰에선 어성초‧쑥‧쌀‧청귤‧인삼 화장품이 인기를 끌었다. 한국적인 자연 성분을 활용한 기초화장품이라는 것이 공통점이다. 특히 잡티‧트러블 관리용 기능성 제품이 잘 팔렸다. 해외 소비자가 K-콘텐츠에 등장하는 한국인들의 희고 매끈한 피부에 관심을 갖으면서다. 온라인의 힘은 여전히 셌다. 올영세일 기간 온라인 매출 비중은 35%를 나타냈다. 올리브영 매장과 온라인몰을 모두 이용한 소비자는 2배 이상 늘었다. 매장 제품을 체험한 다음 온라인에서 사거나, 온라인 정보 습득 후 매장서 구매하는 소비 흐름이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소비층과 구매 제품도 다양해졌다. 이번 세일 기
유망 뷰티기업과 플랫폼 간 연결을 돕는 정부 지원사업이 시행된다. 서울경제진흥원이 22일(월)까지 ‘버티컬커머스 플랫폼 마케팅 지원사업’ 참여 기업을 모집한다. 화장품을 비롯한 기업 40곳을 뽑아 마케팅과 신규 판로 개척을 돕는다. 서울경제진흥원은 스타트업과 플랫폼을 연결해 입점부터 마케팅까지 지원한다. 스타트업의 경쟁력과 브랜드 인지도를 높여 매출을 늘리기 위해서다. 뷰티 분야 버티컬 플랫폼은 올리브영 글로벌몰과 화해 등이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은 뷰티‧헬스케어 스타트업을 모집한다. 화해는 화장품‧뷰티기업을 선정한다. 서울경제진흥원은 올리브영 글로벌몰과 화해에 스타트업을 각각 10곳씩 매칭한다. 선정 기업 당 사업지원금을 최대 5백만 원 제공한다. 선정 기준은 △ 상품성 △ 시장성 △ 가격 경쟁력 △ 성장 가능성 △ 플랫폼 적합도 등이다. 서류 평가 점수 70점 이상인 기업 가운데 고득점 순으로 선발한다. 참여 희망업체는 서울스타트업허브플러스(https://hubchangdong.startup-plus.kr)에 온라인 접수하면 된다. 지원 대상은 버티컬커머스 플랫폼 입점‧마케팅을 원하는 서울시 소재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다. 지원 내용은 △ 1:1 컨설팅 △
올리브영이 글로벌몰에 뷰티박스를 선보인다. 뷰티박스에 중소기업 브랜드의 유망 제품을 모아 해외 소비자에게 판매한다. 제품을 10개 내외로 선별해 K-뷰티 체험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올리브영은 뷰티박스를 합리적인 가격에 제공한다. 판매 가격을 60% 가까이 낮췄다. 해외 소비자가 한국산 화장품을 경제적 심리적 부담 없이 체험하도록 돕는다. 뷰티박스를 구매하면 최신 K-뷰티 트렌드를 생생히 경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뷰티박스는 세 가지 주제인 △ 비건 뷰티 △ 스프링 메이크업 △ 스무딩(Smoothing) 등으로 마련했다. 각 주제별로 제품 10개와 브랜드 소개서, 영상 QR코드, MD(상품기획자)의 꿀팁 등을 담았다. 올리브영은 올해 뷰티박스를 여덟 번 만들 계획이다. 중소기업 브랜드 50여개의 제품 약 80개를 전 세계 소비자에게 소개한다. 아울러 글로벌몰을 통해 중소기업의 마케팅‧물류 등을 지원한다. 뷰티박스에 참여한 브랜드가 글로벌 인지도를 높여 수출을 늘리도록 도울 예정이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1월과 2월 판매한 뷰티박스는 각각 일주일, 하루 만에 매진됐다. 미국과 캐나다 등 북미 지역 소비자가 70%를 차지했다”고 말했다. 이어 “뷰티박스가 가
올리브영이 K뷰티 역직구 시장에 불을 지핀다. 올리브영은 11월 한 달 동안 코트라와 ‘글로벌 K뷰티 특별 판촉전’을 개최한다. 내달 1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2022 코리아세일페스타’의 부대행사다. 해외 역직구 시장을 K뷰티 브랜드를 선정해 판매를 지원한다. 올리브영은 11월 올리브영 글로벌몰에 ‘K뷰티 전용관’을 마련한다. KOTRA와 뽑은 중소기업 브랜드 1백여개를 모아 특별 판촉전을 진행한다. 외국인 소비자의 수요가 높은 마스크팩과 기초‧색조 화장품을 최대 20% 할인한다. 참여 브랜드에게 영미권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홍보 기회를 제공한다. 아울러 일본 라쿠텐 내 올리브영관을 열고 판촉전을 진행한다. 일본에서 K뷰티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유망 브랜드를 집중 소개할 전략이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의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매출은 전년 동기간 대비 80% 늘었다. 취급 품목은 2019년 2천 개에서 1만 3천여 개로 6배 이상 증가했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은 K뷰티 역직구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며 수출에 앞장서고 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올리브영 글로벌몰에 K뷰티를 모아 판매하고 있다. 우수한 품질의 K뷰티 브랜드를 지속 발굴해 한국 화장품의 세
올리브영이 유망 K뷰티 브랜드의 수출 지원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올리브영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온라인 수출 공동물류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에 참여한 브랜드의 4월부터 7월까지 4개월 매출이 전년 대비 99% 신장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 147개 브랜드의 600여 개 제품 매출은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클린뷰티와 더마코스메틱의 인기에 힘입어 메이크프렘과 셀퓨전씨의 매출은 각각 250%, 97% 증가했다. 올리브영은 3월 중진공과 K뷰티 ‘온라인 수출 공동물류사업’ 업무 협약을 맺었다. 유망 K뷰티 브랜드를 발굴해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올리브영은 참여 브랜드에게 해외 배송 물류비와 마케팅을 지원했다. 매월 특별 기획전을 열고 쿠폰 발급 혜택을 제공했다. 제품에 ‘올리브영 MD’s Pick!’ 엠블럼을 붙여 주목도를 높였다. 영미권 인플루언서와 손잡고 홍보 콘텐츠를 제작해 매출을 촉진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5월 입점한 메이크업 툴(Tool) 브랜드 피카소는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피카소 메이크업 스파츌라는 올리브영 글로벌몰 미용소품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K뷰티의 세계화를 목표로 삼고 중진공과 협력을 강화
‘라운드랩‧클리오‧메디힐‧닥터지‧코스알엑스‧롬앤.’ 올리브영 글로벌몰 소비자의 장바구니를 채운 브랜드다. 국내 중소기업 브랜드가 ‘K-뷰티 허브’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은 2일부터 8일까지 일주일 동안 올영세일을 실시했다. 글로벌몰은 해외 150여 개국에서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역직구 플랫폼이다. 올리브영이 글로벌몰 매출을 분석한 결과 고객 장바구니가 달라졌다. 부동의 1위 인기 품목인 마스크팩 자리를 선크림‧쿠션‧에센스가 꿰찼다. 해외 소비자는 기초‧색조 화장품을 주로 구매했다. 진입장벽이 낮은 마스크팩을 써본 뒤 스킨케어‧메이크업 제품으로 확장해가는 소비자가 증가했다. 인기 상품 순위도 지난 해와 달라졌다. 매출액 1위는 ‘라운드랩 자작나무 선크림’으로 나타났다. ‘라네즈 네오 쿠션’과 ‘아이소이 블레미쉬 세럼’이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에 대한 기대감에 색조 화장품 구매도 늘었다. 지난 해 6월 세일에 비해 매출이 급증한 색조 품목은 △ 베이스 메이크업(184%) △ 아이 메이크업(+153%) △ 립 메이크업(141%) 등이다. 이번 올영세일에서 글로벌몰 주문액은 지난해 6월 대비 약 125% 증가했
북미 MZ세대가 K-마스크팩에 푹 빠졌다. 코로나19로 자극 받은 피부를 마스크팩으로 관리하는 북미 소비자가 증가했다. 이들은 피부 진정과 보습 기능을 내세운 한국 마스크팩을 활용해 겨울철 스킨케어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마스크팩은 수분 공급부터 영양 관리까지 한번에 해결하는 올인원 아이템으로 떠오르며 새로운 전성기를 맞았다. 올리브영이 운영하는 역직구 플랫폼 ‘글로벌몰’에서도 마스크팩 매출이 급상승했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이 이달 3일부터 14일까지 올린 매출은 지난 해 같은 기간에 비해 186% 늘었다. 마스크팩 매출은 210% 급증하며 글로벌몰 매출을 이끌었다. 이 기간 마스크팩 매출 순위 1위부터 5위는 △ 메디힐 티트리 에센셜 마스크 △ 메디힐 더 NMF 앰플 마스크 △ 스킨푸드 캐롯 카로틴 카밍 워터 패드 △ 라운드랩 1025 독도 수분 워터겔 마스크 △ 아비브 껌딱지 시트 마스크 어성초 스티커 등이 차지했다. 올리브영 관계자는 “글로벌몰 매출의 80% 가량이 북미 지역에서 발생한다. 외국인 고객 사이에서 간편하면서 스킨케어 효과가 우수한 K마스크팩 인기가 되살아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방문위원회가 이달 3일부터 1
올리브영이 11월 한달 동안 K뷰티 특별 판촉전을 연다. K뷰티 특별 판촉전은 올리브영 글로벌몰에서 국내 중소업체 100여곳과 진행한다. K뷰티를 대표하는 마스크팩과 기초 화장품을 최대 77% 할인 판매한다. 참여 브랜드는 아이브 비플레인 가히 등이다. 올리브영은 주요 K뷰티 제품을 해외 150여개국 소비자에게 소개하고 마케팅 활동을 지원한다. 아울러 라이브 커머스를 네 차례 진행한다. 구독자 약 28만명을 보유한 유튜버 수뷰티(Soo Beauty)가 판촉전 대표 상품을 소개하며 소비자와 소통할 계획이다. 케이박스(K-Box) 구독 서비스도 선보인다. 올리브영은 3일까지 신진 브랜드 주력 제품으로 구성한 케이박스를 북미 유럽 아시아 유통회사 30여곳에 보낸다. 국내 중소기업과 해외 바이어를 연결해 판로 개척에 나선다는 목표다. 케이박스는 해외 고객의 관심이 높은 스킨케어와 마스크팩 두 가지로 구성했다. 올리브영 클린뷰티 브랜드인 더랩바이블랑두와 나인위시스 다자연 제품을 담았다. 이번 행사는 K뷰티 세계화를 위해 코트라(KOTRA)와 추진하는 협력사업 가운데 하나다. 올리브영은 9월 29일 코트라와 국내 유망 중소∙중견기업의 화장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
올리브영(대표 구창근)이 오늘(29일) 코트라와 업무 협약을 맺고 중소기업 수출 활성화에 나선다. 이번 행사에는 정윤규 올리브영 경영지원담당 상무와 김상묵 코트라 혁신성장본부장이 참석했다. 이들은 올리브영의 유통 판매 노하우와 코트라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결합해 K뷰티 수출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케이박스 구독 서비스와 올리브영 글로벌몰 내 K뷰티 판촉전을 열 계획이다. 케이박스(K-Box) 구독 서비스는 유망 신제품을 모아 해외 바이어에게 정기 배송하는 모델이다.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게 홍보 기회를 제공하고, 바이어와 비대면 미팅을 주선해 수출 활로를 모색한다는 취지다. 올리브영은 글로벌몰에 입점한 브랜드 가운데 50여개를 선별해 케이박스를 구성할 예정이다. 이를 올해 말까지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 바이어사 30여 곳에 발송한다. K뷰티 특별 판촉전은 11월 코리아세일페스타와 연계해 올리브영 글로벌몰에서 진행한다. 글로벌몰 인기 제품을 뽑아 마케팅과 라이브커머스 등을 지원하며 매출을 높일 전략이다. 올리브영 글로벌몰은 해외 150여개국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화장품 역직구 플랫폼이다. 2019년 출범 후 K뷰티 대표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매
올리브영이 역직구 플랫폼인 글로벌몰에 일본어 서비스를 도입했다. 일본을 미국에 이은 두 번째 시장으로 정하고 공략 수위를 높여나갈 전략이다. 올리브영 글로벌몰(global.oliveyoung.com)은 2019년 6월 탄생했다. 해외 150여 개국 소비자가 한국 화장품을 구매할 수 있는 역직구 플랫폼이다. 우수한 K-뷰티 제품을 판매하는 유통망으로 자리 잡았다. 글로벌몰의 올해 1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5배 이상 늘었다. 멤버십 회원도 20만명을 넘어섰다. 미국을 포함한 북미 시장의 매출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한다. 올리브영은 미국시장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자 일본으로 눈을 돌렸다.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의 일본 수출액은 전년 대비 58.7% 증가한 5억 4천9백만 달러를 기록했다. 규모는 작지만 성장세가 가파르다는 설명이다. 이에 올리브영은 영어로 운영해온 글로벌몰에 일본어 서비스를 시작했다. 일본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여 K-뷰티 매출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회사 측은 “일본시장에서 K-뷰티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반면 국내 화장품을 소개하는 판매망이 부족한 실정이다. 글로벌몰을 통해 일본 소비자에게 K-뷰티를 발빠르게 소개해 나가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