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인터내셔날이 국제학술지에 발표한 엑소좀 논문이 가장 많이 본 논문으로 뽑혔다. 신세계인터내셔날 뷰티 기술혁신센터는 2023년 논문을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인터페이스(Advanced Materials Interfaces)’에 발표했다. 논문 제목은 ‘유글레나 유래 엑소좀 모사체의 피부재생효능’이다. 이 논문이 ‘가장 많이 본 논문’(Top Viewed Article) 중 하나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가장 많이 본 논문’은 2023년 한해 조회수‧다운로드 수 상위 10%에 오른 논문에게 주어진다. 신세계인터내셔날 기술혁신센터는 성균관대가 함께 미세조류에서 엑소좀 모사체를 개발했다. 이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이 2023년 2월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인터페이스 표지에 실렸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인체 유래 엑소좀을 대신할 친환경 원료를 개발해 이목을 끌었다. 엑소좀의 영역을 미세조류로 확장했다는 평가다. 미세조류 유래 엑소좀은 천연소재로서 비건‧클린뷰티업계에서 활용도가 높을 전망이다. 콜라겐 생성율을 강화해 피부 노화개선 화장품 원료로 유망하다는 판단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미세조류 유래 엑소좀을 국제화장품성분사전에 등재했다. 후속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나아
신세계인터내셔날의 엑소좀 연구 논문이 국제학술지 표지를 장식했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유글레나 유래 엑소좀 모사체의 피부재생효능’ 논문이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인터페이스’ 2월호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고 밝혔다.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인터페이스(Advanced Materials Interfaces)는 재료과학 분야에서 권위를 인정받는 국제학술지다. 이번 논문은 신세계인터내셔날 화장품 기술혁신센터가 성균관대 공동 연구한 결과다. 이 회사는 2년 동안 성균관대 김진웅 교수팀과 최신 바이오 기술을 적용한 엑소좀의 피부 재생 효능을 규명했다. 엑소좀은 세포가 배출하는 세포외소포체(EVs, Extracellular Vesicles)의 일종이다. 세포 간 정보 교환과 신호 전달을 맡는다. 엑소좀에 피부 미백‧재생 성분을 담으면 피부 개선 효과를 제공한다. 엑소좀은 화장품‧제약·바이오 등 적용 범위가 넓다. 반면 인체 유래 엑소좀은 상용화하기 힘들었다. 생산 수율이 낮고 오염이나 순도 저하 등 품질 관리가 어려워서다. 화장품 안전기준 규정에 따라 엑소좀을 소재로 활용하는데 제약이 많았다. 이에 신세계인터내셔날과 김진웅 교수팀은 인체 유래 엑소좀을 대체할 원료를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