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고 트렌디한 K-뷰티는 세계를 접수했다. K-뷰티 열풍의 중심에는 빠르고 강한 인디뷰티가 있다. 인디뷰티의 힘, 무한한 가능성, 성공열쇠는 무엇일까. ‘2025 서울 인디뷰티쇼’가 13일부터 15일까지 3일 동안 서울 코엑스마곡 1층 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뷰티 브랜드‧원료‧제조‧플랫폼 기업 113개사가 부스를 열고 제품과 기술을 알렸다. 스킨케어‧헤어케어‧이너뷰티 브랜드가 주력 제품과 대표 성분을 집중 소개했다. 인디뷰티 브랜드‧제조‧플랫폼 소개 브랜드 전시관에는 널리‧더말로지카‧메드비‧런슬로우‧론지‧베르티 등이 참여했다. 비포인은 방문객들에게 ‘붙이는 매니큐어’ 체험기회를 제공해 호응을 얻었다. 와이생활랩은 타블렛 제형의 워터리스 화장품을 들고 나왔다. 화장품 제조 플랫폼 ‘플래닛 147’와 수출 플랫폼 ‘무코스’ 등은 프로그램의 장점을 제시했다. 화장품 OEM‧ODM 기업 이든팜은 1:1 상담을 통해 스킨케어‧보디케어‧헤어제품 제조기술과 자체 연구소의 강점을 알렸다. 더마클‧oatc 등 피부임상시험센터도 참여해 최신 임상시험 동향과 특가 프로그램 등을 제시했다. 뷰티플레이‧상상마당‧현대백화점은 팝업공간에 입점 브랜드를 전시했다. ‘무형의
구달‧마녀공장‧코스알엑스. 미국서 매출본능을 장착하고 인디뷰티씬을 질주하고 있는 브랜드다. 미국, 인디브랜드. 올 하반기 K-뷰티가 기억해야할 두 가지다. 2024년 하반기에도 탈중국 바람 속에 미국이 제1시장으로 떠올랐다. 미국을 중심으로 인디 브랜드의 강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마녀공장‧구달‧코스알엑스 등 K-클린뷰티 브랜드가 유망하다는 분석이다. 이는 키움증권이 발표한 ‘2024년 화장품 하반기 전망’에서 확인했다. 조소정 키움증권 애널리스트는 “2024년 하반기에도 화장품산업의 성장 모멘텀은 비중국이다. 미국 뷰티시장은 프레스티지의 부진 속에 인디 뷰티의 영향력이 커졌다. 미국에서 제품‧유통을 늘리면서 브랜드를 키워가는 클리오‧마녀공장‧아모레퍼시픽 등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제품‧채널 확대하는 구달‧마녀공장 미국에서 구달과 마녀공장은 성장기에 접어들었다. 이들 브랜드는 제품과 유통망을 늘리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단계다. 구달은 청귤비타C세럼으로 아마존에서 인기를 끌었다. 세럼의 인지도를 바탕으로 청귤크림을 출시했다. 이에 힘입어 클리오의 올 1분기 미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마녀공장은 유통을 늘리며 미국시장에서 입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