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은 지난해 4분기 연결 기준 △ 매출 422억 원 △ 영업이익 37억 원 △ 당기순이익 79억 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26.3%, 영업이익 53.4% 감소한 수치다. 다만 당기순이익에서 160.1%의 증가세를 기록한 것은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 이익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잉글우드랩의 별도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한 242억 원이었다. 상위 고객사의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들급 고객사의 꾸준한 성장으로 균형 잡힌 성장세를 보임으로써 특정 고객사에 대한 매출 편중 현상을 해소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반면 영업이익은 적자전환(△ 6억 원)했다. 이는 매출 감소에 따른 영향이며 회사 측은 이와 관련 “인력의 효율성 기반 재배치와 자동화 기계 투입을 통해 원가율을 낮춰가겠다”고 밝혔다. 자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의 4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5.9% 감소한 182억 원을 기록하는데 머물렀다. 주요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주된 원인이었다. 그렇지만 3분기 대비 매출은 15.4% 증가세를 보여 점진적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영업이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46.5% 감소한 42억 원을 기
화장품 OGM(Original Global standard and Good Manufacturing) 전문 기업을 표방하는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박은희)와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 모두 지난 2분기 경영실적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지난 9일 “연결 기준 2분기 △ 매출 1천157억 원 △ 영업이익 112억 원 △ 당기순이익 86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미국 소재 화장품 연구개발·제조생산 기업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은 역시 “연결 기준 지난 2분기 매출은 493억 원, 영업이익 62억 원, 그리고 당기순이익 51억 원의 실적을 올렸다”고 공시했다. 코스메카코리아 지난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1천4억 원 보다 15.2% 증가한 1천157억 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31억 원에서 264.7% 늘어난 112억 원이다. 영업이익률은 9.7%로 전년 같은 기간의 3.0% 대비 6.7% 포인트 증가했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 2분기는 한국·미국법인의 고객사 포트폴리오 변화와 프로덕트 믹스 개선으로 수익성을 개선했다”며 “특히 미국·스위스·독일 등 해외 고객사를 대상으로 자사 처방 고부가가치
잉글우드랩코리아가 미국 뷰티 플랫폼 소코글램의 PB(프라이빗 브랜드) 선크림을 개발, 공급을 시작했다. 최근 미국에서 주목 받고 있는 뷰티 온라인 플랫폼 소코글램이 운용하고 있는 PB ‘Then I met you’의 선크림을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고 밝힌 것. 현재 미국의 경우 선크림을 비롯한 자외선차단제 등은 전문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지만 일반의약품(OTC)으로 분류하고 있다. 미국 FDA의 일반의약품 생산허가를 받은 제조사 만이 제품 개발과 생산, 공급이 가능하다. 잉글우드랩코리아는 미국 뉴저지 소재 잉글우드랩 자회사로 지난 2019년 FDA로부터 생산가능 자격을 획득한 OTC 제품 전문 제조사다. 모기업 코스메카코리아와의 연구개발 시너지 창출, 선제 설비 투자를 통해 미국 시장이 요구하는 품질경쟁력 높은 OTC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조현석 전무는 “미국에서 OTC 제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고객들이 발주부터 론칭까지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미국 내 인디·온라인 브랜드를 중심으로 OTC 품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잉글우드랩코리아는 미국 소재 OTC 전문기업 잉글우드랩 자회사다.
화장품 연구개발·제조생산 전문기업 (주)잉글우드랩코리아(대표이사 지재성)가 인천시가 주관하는 ‘2022년 우수기업·중소기업인대상’에 선정됐다. 인천 갯벌타워 국제회의장에서 진행한 시상식에서 잉글우드랩코리아는 지역경제발전을 이끌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으며 미래 높은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아 중견성장사다리기업 부문에서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인천시가 주관하는 우수기업 선정은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이 뛰어난 중소기업을 단계별로 우수기업으로 선정하고 그에 맞는 집중 지원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의 주축이 될 기업으로 육성,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추진하기 위해 시행한다. 선정업체에 대해서는 경영안정자금(한도 50억 원, 추가지원+0.5%)을 우대 지원한다. 이와 함께 △ 시 지원사업 가점부여 △ 세무조사유예(지방세·3년) △ 맞춤형 기업 지원 등과 기술·품질 인증, 수출·마케팅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으로 일자리 창출·지역경제 발전을 이끌어갈 튼튼한 허리기업이라고 할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회사 관계자는 “중견성장사다리기업 선정은 건실한 중소기업 인정과 중견기업으로 성장 가능성을 확인케 한 사례”라며 “고객 신뢰에 기반한 글로벌 화장
화장품 연구·개발·생산 전문기업 코스메카코리아(대표이사 조임래·박은희)가 2분기에 △ 매출액 909억 원 △ 영업이익 22억 원 △ 순이익 4억 원(이상 연결재무제표 기준)의 실적을 거뒀다고 공식 발표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8.7%, 영업이익은 65.6%, 순이익은 90.6% 감소한 수치다. 미국 소재 잉글우드랩(대표이사 조현철)은 지난 2분기 동안 △ 매출액은 309억 원(-15.1%)였고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적자전환했다. 한국법인, 온라인채널 중심 성장세 유지 코스메카코리아의 경우 코로나19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한국법인은 온라인채널을 중심으로 고객사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함으로써 성장 기조를 유지했다. 미국법인이 일시적으로 해외 부자재 공급망에 차질을 겪었고 중국법인이 매출 부진으로 고전하면서 전체 연결 실적이 감소했다. 한국법인의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4% 증가한 581억 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매출 상위 고객사의 꾸준한 수주와 온라인 고객사의 확대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 나갔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온라인 고객사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다. 특히 인플루언서·인디브랜드 고객사의 신규 진입이 활발했다. 장
화장품 연구·개발·생산 기업 잉글우드랩의 자회사 잉글우드랩코리아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에 뷰티·퍼스널케어 제품을 공식 제조사로 지정돼 제품 공급에 나선다. 잉글우드랩코리아는 지난 15일 아마존으로부터 뷰티·퍼스널케어 제품의 생산·공급 주문을 받아 이달부터 일반의약품(OTC) 제품 생산을 본격화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잉글우드랩코리아는 아마존의 공식 벤더로 지정을 받아 생산을 진행하게 되며 생산 제품은 아마존 자체 브랜드(PB) 솔리모와 벨레이의 상표를 부착한다. 잉글우드랩코리아는 스킨케어를 포함해 OTC 품목을 확대, 내년 상반기까지 1천만 개 이상의 제품을 생산해 아마존에 공급할 계획이다. 잉글우드랩코리아는 지난해 9월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OTC 실사를 통과했으며 OTC 제품 생산에 특화된 제조사로서는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미국 내에서 FDA가 안전성을 입증할 수 없는 OTC 제품의 유통을 강력하게 제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잉글우드랩코리아에서 생산한 OTC 제품은은 안정적인 수출이 가능한 이유이기도 하다. 회사 측은 “아마존 제품 공식 제조사 지정을 시작으로 현재에도 코스트코·월마트·CVS·세포라 등 주요
화장품 연구개발·제조생산 전문기업 잉글우드랩(대표 John Hwa Kim)이 지난해 영업이익 67억 원을 시현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잉글우드랩은 지난해 △ 매출액(연결재무제표 기준) 1천333억 원(12.3% 증가) △ 영업이익 67억 원 △ 당기순이익 23억 원을 기록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4분기의 경우 △ 매출액 363억 원(전년 대비 23.0%·3분기 대비 21.5% 증가) △ 영업이익 26억 원(전년 대비 흑자전환·3분기 대비 176.9% 증가) △ 당기순이익 8억 원(전년 대비 흑자전환·3분기 대비 202.0% 증가)을 시현했다. 이와 관련 회사 측은 “기존 고객사의 발주 증가와 굵직한 신규 고객사 유입이 실적 증가로 이어졌다”고 설명하고 “대형 고객사 한 곳의 발주량은 전년 대비 300% 이상 증가하는 등 상위권에 위치한 기존 고객사의 발주량이 대폭 늘어났으며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는 신규 고객사 유치에 성공함으로써 해당 기업으로부터의 발주량이 확대됐다”고 덧붙였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와 함께 모기업 코스메카코리아의 인수 효과가 가시화되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 2018년 6월 코스메카코리아가 인수한 잉글우드랩은 이후 강
미국 소재 화장품 연구개발 제조기업 잉글우드랩(대표 John Hwa Kim)이 2019년 3분기 실적을 발표했다. 이 회사는 올 3분기 △ 매출 298억 8천만원 △ 영업이익 9억 2천만원 △ 당기순이익 2억 5천만원을 기록했다. 지난 해 같은 기간에 비해 매출은 25.0%, 영업이익은 81.3%, 당기순이익은 93.4% 줄었다. 회사측은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감소했으나 연간 실적은 성장 추세다. 올 3분기까지의 누적 매출액은 970억 2천만원, 영업이익은 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249.0%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잉글우드랩은 재무건정성 확보를 위해 신규 고객사를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아울려 내년 생산능력을 2배 확대해 고객 대응력을 향상시킬 방침이다. 한국법인인 잉글우드랩코리아의 매출은 전 분기 대비 23.8% 성장한 50억 6천만원을 나타냈다. 이 회사는 9월 미국 FDA를 통해 OTC 제품 생산 가능 판정(VAI)을 받았다. OTC 전문 연구개발 제조기업으로 변화를 꾀하며 차별화된 제품을 제공해나갈 전략이다. 잉글우드랩코리아 측은 “모기업인 코스메카코리아와 연구소를 통합해 연구개발 시너지를 확보했다. 중복 개발 비용을 절감
잉글우드랩 인수 효과 입증…이달부터 새 공장 가동 들어가 화장품 연구개발·제조생산 전문기업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박은희)가 지난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성장세를 지속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오늘(15일) 공시를 통해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55.1% 성장한 953억 원, 영업이익은 1,145.4% 성장한 60억 원, 당기순이익은 584.9% 성장한 45억 원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이번 실적에는 올 6월 인수한 미국 화장품 ODM 기업 잉글우드랩의 실적이 코스메카코리아의 실적으로 반영돼 연결 매출과 수익 성장에 기여했다. 한국법인, 온라인 채널 고객사 확대 주효 한국 법인의 매출 성장 요인으로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온라인 채널 고객사의 확대가 주효한 것으로 보인다. 기존 온라인 판매 고객사의 매출이 확대됨에 따라 기존·신규 품목의 추가 오더가 이루어졌고 동시에 신규 온라인 고객사 유치도 이어졌다. 수출은 전년대비 소폭 하락세를 보였지만 잉글우드랩 고객사인 80여 곳의 글로벌 고객사를 활용해 수출 실적을 점차 회복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M&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