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모닝이 창간 7주년 특집으로 마련한 '글로벌 100대 뷰티기업을 통해 본 K-뷰티 출구전략'을 지난 1위~15위까지 기업들의 2022년 주요 경영활동을 일별한 데 이어 16위 부터 100위까지의 각 기업 세부 내용을 게재하는 것으로 일단락한다. 코스모닝의 올해 창간 특집 콘텐츠는 이렇게 마무리하지만 시장과 소비자의 변화 소용돌이 속에서 매 순간, 한 걸음 씩이라도 전진해 나아가야 하는 우리나라 화장품·뷰티 기업의 새로운 도전과 건투를 기대한다. <WWD 2022’s Top 100 Global Beauty Manufacturers 각 기업별 전체 내용은 아래 첨부문서 또는 코스모닝닷컴 자료실 → 통계&마케팅 자료실에서 볼 수 있다.>
‘브랜드 빌딩&파워·글로벌라이제이션·초개인화·클린뷰티(친환경·천연·자연)·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코로나19 팬데믹 3년을 겪으면서 K-뷰티가 해결하지 않으면 안될, 절체절명의 해결 과제를 요약할 수 있는 키워드다. 특히 2020년과 2021년, 팬데믹 전반기 2년 동안 이해하기도, 분석하기도 어려웠던 수출 전선의 상승세는 팬데믹 3년 째에 해당하는 2022년 개막과 동시에 최대 수출국 중국으로부터 빨간 신호가 켜지기 시작하면서 하락세에 접어들었고 이는 올해 들어서도 별다른 반전 기미없이 이미 7개월을 보냈다. 이러한 사실은 ‘브랜드 빌딩&파워’의 부재 또는 약세를 여실히 증명하는 한 가지 사례에 불과하다. 글로벌 시장에 대한 공략 수위를 높이고 시장 다변화에 대한 노력을 기울였다고는 하지만 중국 시장의 침체가 곧 산업 전체 수출 부진과 직결됐다는 점 또한 진정한 글로벌라이제이션은 여전히 갈 길이 멀다는 과제를 던지고 있다. 클린뷰티는 새삼스럽게 브랜드 콘셉트로 내세울 필요가 없을 정도의 ‘상식’이 됐음에도 여전히 해외 주요 바이어와의 미팅에서 이를 자사 만이 내세울 수 있는 특화 요소, 차별화 포인트로 착각(?)하고 있는 경우도 여전하다. 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