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마그룹의 지주사 콜마홀딩스가 자사주 6.73%(247만3천261주) 소각을 결정했다. 이에 따라 6월 26일 기준 콜마홀딩스의 누적 자사주 소각 비율은 9.93%에 이르렀다. 콜마홀딩스의 이번 자사주 소각 결정은 발표 직전 예고 공시한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국내 상장기업 중 세 번째 이행이자 지주회사·화장품 업계에서는 첫 사례다. 콜마홀딩스는 지난 26일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기업의 자발적 기업가치 제고와 주주환원을 위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을 공시한 바 있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은 정부가 코리아디스카운트(저평가된 한국 증시) 해소를 위해 시행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기업 현황 진단을 포함해 주주환원 정책·자본관리 계획·자산재무구조화 등의 주주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다. 콜마홀딩스는 이번 밸류업 프로그램을 위해 주요 재무·비재무 지표를 분석하고 중장기 목표를 수립했다. 지난해 7월 발표한 주주환원 정책에 따라 비경상이익을 제외한 당기순이익 50% 이상 주주환원을 예고한 바 있다. 여기에 비정기로 발생하는 일회성이익(비경상이익)에 대해서도 일정 비율로 자사주 매입·소각·분기 배당 등으로 활용한다. 콜마홀딩스 측은 기업지배구조
“한국콜마는 화장품·제약·건강기능식품 산업에 진심인 고객을 가장 잘 도와주는 서비스 플랫폼 기업입니다!” 윤상현 한국콜마홀딩스 부회장이 콜마그룹의 아이덴티티를 이렇게 정의했다. 동시에 “시장 불확실성이 더해가는 상황에서도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콜마그룹을 설명할 단 한 문장의 정리가 바로 이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격식을 허물고 콜마의 미래와 발전 방향에 대한 생각을 최고 경영자부터 임원진, MZ세대 직원들과 공유한다는 취지로 지난 7일 진행한 콜마그룹 타운홀 미팅에서 밝힌 윤 부회장의 비전이 관심을 끈다. 가벼운 비즈니스캐주얼 복장으로 연단에 오른 윤 부회장은 그룹 정체성에 대한 정의와 미래 구상 공유, 그리고 구성원들의 다양한 의견 청취에도 역점을 뒀다. ‘DIVE into Kolmar’를 슬로건으로 내걸고 약 3시간에 걸쳐 진행한 타운홀 미팅에는 윤 부회장을 비롯해 △ 안병준 한국콜마홀딩스 대표 △ 최현규 한국콜마 대표 △ 종합기술원 문병석 원장 등 종합기술원에 근무하는 임직원 700여 명이 함께 했다. 그룹·회사의 방향성과 미래에 대해 임직원들이 질문하고 윤 부회장이 답변하는 방식으로 진행한 이날 윤 부회장은 지난 2009년 한국콜마 입사 이후
한국콜마홀딩스와 콜마그룹 관계사 전 임직원이 일주일 동안 대규모 봉사에 나서 사회공헌 활동을 펼쳤다. 한국콜마홀딩스·한국콜마·HK이노엔·콜마비앤에이치·(주)연우 등 전 관계사 임직원들이 지난 21일부터 25일까지 ‘콜마 커넥트 위크’를 실시했다. 콜마 커넥트 위크는 전사 차원에서 진행하는 봉사활동 프로젝트로 한 주 동안 집중 운영한다. 이 기간 동안 서울·세종·인천·부천 등 전국 사업장에서는 도시락 배달·배식 봉사·환경 정화 활동 등을 릴레이 식으로 전개했다. 윤상현 부회장과 각 관계사 대표들도 봉사활동에 참여했다. 도시락 나눔과 배식 봉사 활동에는 1천100여 명에 이르는 임직원이 동참했다. 도시락 나눔은 각 사업장이 위치하고 있는 서울 서초·송파구·인천 연수구·세종시 등에서 이뤄졌다. 노숙인과 취약계층을 위한 배식 봉사활동은 서울역과 탑골공원 인근의 무료 급식시설에서 진행했다. 서울 숭인동 지역 내 어르신들에게는 김장 김치를 전달했다. 사업장 소재지역 내 쓰레기 줍기 등을 포함한 환경 정화 활동도 실시했다. 1만 보를 걸을 때마다 1천 원 씩 기부액이 쌓이는 걸음 기부 활동 ‘걸음엔 이노엔’ 이벤트도 진행했다. 한 주 동안 콜마그룹 전 관계사 임직원들이